노선명이 비슷한 강원도 내륙의 철도 노선에 대한 내용은 금강산선 문서
, 옛 동해북부선의 대한민국 구간에 대한 내용은
동해북부선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bgcolor=white,black> 본선 철도 | ||||
평라선 | 강원선 | 금강산청년선 | 만포선 | 백두산청년선 | |
청년이천선 | 평남선 | 평덕선 | 평부선 | 평의선 | |
함북선 | 북부내륙선 | 황해청년선 | |||
제1지선 철도 | |||||
대건선 | 은산선 | 천성탄광선 | 고원탄광선 | 금야선 | |
신흥선 | 서호선 | 창흥선 | 북청선 | 두언선 | |
단풍선 | 금골선 | 일탄선 | 고참탄광선 | 대향선 | |
강덕선 | 청진항선 | 라진항선 | 천내선 | 문천항선 | |
송도원선 | 대각선 | 조양탄광선 | 봉천탄광선 | 개천탄광선 | |
청년팔원선 | 룡문탄광선 | 강계선 | 운하선 | 백무선 | |
오시천선 | 삼지연선 | 평양화전선 | 보산선 | 대안선 | |
룡강선 | 도지리선 | 서해갑문선 | 명당선 | 고비선 | |
덕산선 | 삼등탄광선 | 령대선 | 재동선 | 솔골탄광선 | |
관하선 | 득장선 | 잉포선 | 덕남선 | 장상선 | |
송림선 | 봉산선 | 룡성선 | 안주탄광선 | 개천선 | |
구봉산선 | 평북선 | 철산선 | 백마선 | 다사도선 | |
덕현선 | 무산선 | 세천선 | 고건원선 | 춘두선 | |
홍의선 | 두만강선 | 승리선 | 운봉선 | 은률선 | |
배천선 | 옹진선 | 금강산청년선 | 구성선 | 압록강선 | |
제2지선 철도 | |||||
직동탄광선 | 성산인입선 | 장진선 | 만덕선 | 신성선 | |
회둔탄광선 | 후산선 | 청남선 | 녕변선 | 삼공일선 | |
신온전용선 | 수풍선 | 장연선 | 정도선 | 부포선 | |
회령탄광선 | 안천전용선 | ||||
폐선된 철도 | |||||
최가령선 | 명학선 | 형봉선 | 보천선 | 청화력선 | |
잠진리선 | 마평선 | 석하리선 | 토해선 | 운산선 | |
과일선 | 토해선 | 태탄선 | 리원선 | 원산항선 | |
개천청년선 | 서해리선 | 서창선 | 룡암선 | 시정선 | |
남동선 | 박천선 | 강안선 | 홍군선 | 동포선 | |
성평선 | 회암선 | 안골선 | 금천탄광선 | ||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 |||||
}}}}}}}}} |
<colcolor=#fff><colbgcolor=#ED1C27> 금강산청년선 金剛山靑年線 | Kŭmgangsan Chongnyŏn Line |
|
노선 정보 | |
분류 | 본선철도 |
기점 | 안변역 |
종점 |
제진역 (법률상) 감호역 (사실상)[1] |
역 수 | 17개 |
개업 | 1929년 (동해북부선) |
소유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
운영 | |
사용차량 | 불명 |
차량기지 | 불명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125.9 ㎞ |
궤간 | 1,435 ㎜ |
선로구성 | 단선 |
사용전류 | 직류 3,000V 가공전차선 |
신호방식 | |
최고속도 | 불명 |
표정속도 | 불명 |
통행방향 | 왼쪽 |
개통 연혁 |
1929. 안변 ↔ 흡곡 (동해북부선·최초 개통) 1996. 안변 ↔ 금강산청년 (재개통) |
[clearfix]
1. 개요
동해북부선의 북한 치하 구간.금강산과 인접한 지역을 지나기 때문에 금강산을 붙이고, 재개통 공사 당시 청년돌격대를 동원하여 건설하였다고 해서 청년이 붙어 금강산청년선이 되었다.[2]
2. 노선 정보
자세한 내용은 동해북부선 문서의
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조선총독부 철도국에 의해 안변 - 양양에 이르는 동해북부선 노선이 계획되었고, 1929년 9월 1일부터 안변 - 흡곡 구간의 개통을 시작으로 양양역까지 노선이 건설되었고, 장기적으로 양양 - 강릉 - 포항까지 연결할 계획이었으나 일제의 지속되는 전쟁으로 인해 건설 우선순위가 자꾸 밀리면서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이 패망하고 광복이 찾아오면서 해당 계획은 그대로 백지화되고 만다.
6.25 전쟁이전 전 구간이 북측에 속했지만 전후 남쪽구간이 간성 이남이 남측에 돌아오고, 북측에서 중요성이 떨어지며 철거하였다가 남북 대화 분위기 속에 1996년 외금강( 금강산청년역)까지 복구하였다.
이후 2007년 5월 17일 금강산청년역에서 출발한 열차가[3]가 감호역을 거쳐 남한측의 제진역에 왔다가 돌아가는 시험운행을 했다. 하지만 박왕자 씨 피살사건으로 남북관계 경색 금강산 관광 금지 등 사용되지 않게 된 노선이기도 하다.
3. 기타
- 관동팔경의 일부를 통과하기도 한다.
- 북한의 군청 소재지 이전으로 몇몇 역은 제 이름과 달라진 역이 많다. 구 통천역은 동해역으로 개명되고 고저역자리가 통천역이 되었고, 장전역 위치에 고성역이 들어서고 구 고성역은 없어졌다. 정주영이 소판 돈을 훔쳐 열차를 탄 송전역도 없어졌다.
- 훗날 남북통일이 된다면 남쪽의 동해선 본선, 삼척선, 영동선 동해역 이북, 동해북부선 등과 함께 동해선으로 통합될 것으로 보인다. 제진역과 감호역에는 '동해선철도남북출입사무소'가 설치되어 있다.
- 남북공동조사단에 따르면 감호역부터 안변역까지 구간이 태풍과 홍수로 유실되어 사용할 수 없다고 한다. 사실상 전 구간이 폐선 수준이라 봐도 무방히다.
- 금강산청년역부터 안변역 구간은 1997년도에 지어져 20년이 지나 다른 구간에 비해 굉장히 노후화 됐다고 한다. 그래서 일부 구간에서만 필요할 때 열차를 운행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이유로 남북공동조사단은 버스를 타고 이동했다. # 실제로는 위에 쓰여진 것처럼 전 구간이 유실되었다.
4. 역 목록
기점거리 | 역간거리 | 역명 | 분기선 | 소재지 | |
0.0 | 0.0 | 안 변 | 安 邊 | 강원선 | 강원도 안변군 |
8.9 | 8.9 | 오 계 | 梧 溪 | ||
14.9 | 6.0 | 상음청년[4] | 桑陰靑年 | ||
25.2 | 10.3 | 동정호[5] | 洞庭湖 | 강원도 통천군 | |
31.4 | 6.2 | 명 고[6] | 鳴 皐 | ||
6.6 | 38.0 | 금봉강[7] | 金峯江 | ||
9.4 | 47.4 | 시중호[8] | 侍中湖 | ||
54.3 | 6.9 | 통 천[9] | 通 川 | ||
61.0 | 6.7 | 동 해[10] | 東 海 | ||
|
|
|
|
||
70.2 | 5.1 | 렴 성 | 濂 城 | 강원도 고성군 | |
75.7 | 5.5 | 두 포[11] | 豆 浦 | ||
86.2 | 10.5 | 남 애 | 南 涯 | ||
93.2 | 7.0 | 고 성[12] | 高 城 | ||
101.0 | 7.8 | 금강산청년[13][A] | 金剛山靑年 | ||
109.2 | 8.2 | 삼일포 | 三日浦 | ||
114.8 | 5.6 | 감 호[A] | 鑑 湖 | ||
- 군사분계선 - | |||||
125.9 | 11.1 | 제 진[16] | 猪 津 | 동해북부선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
[1]
2024년 남북관계 악화로 인해 감호역 이남 - 군사분계선 간 철로를 철거함에 따라 통행이 불가능해졌다.
[2]
청년돌격대는
현역 군복무 대신
노가다를 시키는 북한의 제도다.
신의주청년역 등등 북한에서 청년돌격대를 부려먹어서 만든 건물은 청년이란 이름이 주로 뒤에 붙는다.
[3]
남한에는 금강산역으로 알려졌다.
[4]
최초 개업당시 역명은 상음(桑陰).
[5]
개업 당시 역명은 자동(慈東).
[6]
개업 당시 역명은 흡곡 (歙谷).
[7]
개업 당시 역명은 패천 (沛川)
[8]
개업 당시 역명은 송전 (松田).
[9]
개업 당시 역명은 고저 (庫底)
[10]
개업 당시 역명은 통천(通川).
[11]
개업 당시 역명은 두백 (荳白).
[12]
개업 당시 역명은 장전 (長箭).
[13]
개업 당시 역명은 외금강 (外金剛).
[A]
대한민국
국가철도공단에서 역사를 준공하였다.
[A]
[16]
남한 소속, 남한 최북단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