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7-12 16:51:53

북청선

1. 개요
1.1. 노선의 명칭
2. 역 목록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white,black> 본선 철도
평라선 강원선 금강산청년선 만포선 백두산청년선
청년이천선 평남선 평덕선 평부선 평의선
함북선 북부내륙선 황해청년선
제1지선 철도
대건선 은산선 천성탄광선 고원탄광선 금야선
신흥선 서호선 창흥선 북청선 두언선
단풍선 금골선 일탄선 고참탄광선 대향선
강덕선 청진항선 라진항선 천내선 문천항선
송도원선 대각선 조양탄광선 봉천탄광선 개천탄광선
청년팔원선 룡문탄광선 강계선 운하선 백무선
오시천선 삼지연선 평양화전선 보산선 대안선
룡강선 도지리선 서해갑문선 명당선 고비선
덕산선 삼등탄광선 령대선 재동선 솔골탄광선
관하선 득장선 잉포선 덕남선 장상선
송림선 봉산선 룡성선 안주탄광선 개천선
구봉산선 평북선 철산선 백마선 다사도선
덕현선 무산선 세천선 고건원선 춘두선
홍의선 두만강선 승리선 운봉선 은률선
배천선 옹진선 금강산청년선 구성선 압록강선
제2지선 철도
직동탄광선 성산인입선 장진선 만덕선 신성선
회둔탄광선 후산선 청남선 녕변선 삼공일선
신온전용선 수풍선 장연선 정도선 부포선
회령탄광선 안천전용선
폐선된 철도
최가령선 명학선 형봉선 보천선 청화력선
잠진리선 마평선 석하리선 토해선 운산선
과일선 토해선 태탄선 리원선 원산항선
개천청년선 서해리선 서창선 룡암선 시정선
남동선 박천선 강안선 홍군선 동포선
성평선 회암선 안골선 금천탄광선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

1. 개요

파일:attachment/북청선.jpg
신북청역에서 상리역까지 이르는 철도 노선. 길이 51.7km. 평균 역간 거리는 4.7km.

신북청역에서 북청역까지의 9.4km 구간은 1929년 부설되었다. 그러다 일제 말기인 1944년 북청군 내륙의 북청광산[1]에서 나오는 철광석의 수송을 위해 북청역에서 상리역까지 가는 연장선을 착공했다가 광복을 맞았으며, 연장 구간은 북한에 의하여 1960년 10월 6일에 완공, 개통히였다.

단선이며 비전철화되었다. 하긴 현재의 북한의 철도 환경으로서는 전철화되어 봤자 쓰지도 못하는 게 현실이지만, 그래도 기대가 되는 것과 안 되는 것의 차이는 심하게 큰 법. 선로 상태도 심각하게 나빠서 덕성역을 지나가면 거의 노면전차 수준이다. 그야말로 변변치 못한 노선. 화물 전용 노선이라서 그런 건지도 모른다.

1.1. 노선의 명칭

이 노선을 부르는 명칭도 자료마다 다르다. 세 가지로 불리는데, 북청선, 덕성선, 북청철산지선이 그것. 일부 자료에서 덕성선이라고 표기하는 이유는 북한이 1980년 덕성군에서 나오는 광물 자원을 수송하기 위해 연장하면서 이름을 바꾸었기 때문이며, 북청철산지선이라고 표기하는 이유는 종점인 상리역이 철산로동자구 소속이며 덕성군은 원래 북청군에서 떨어져 나온 군이기 때문이다. 엔하위키에서는 1929년 부설 당시의 명칭인 북청선을 따라갔으며 이것이 나무위키에도 이어졌다.

2. 역 목록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
북청선 역 목록
역 명 역간거리 기점거리 종점거리 분기노선 비고 소재지
신북청 新北靑 기점 0.0 51.7 평라선 함남 북청군
량 가 良 家 4.4 4.4 47.3
북 청 北 靑 5.0 9.4 42.3
라하대 羅下坮 5.0 14.4 37.3
덕 성 德 城 4.6 19.0 32.7 함남 덕성군
주의동 主義洞 3.7 22.7 29.0
양 승 陽 勝 3.1 25.8 25.9
도 평 島 坪 4.4 30.2 21.5
삼 기 三 岐 5.1 35.3 16.4
송 중 松 中 7.9 43.2 8.5
상 일 上 一 4.5 47.7 4.0
상 리 上 里 4.0 51.7 0.0

[1] 광복 당시 행정구역산 이곡면 상리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