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6-07 14:33:38

만덕선

1. 개요2. 만덕선 스위치백3. 역 목록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white,black> 본선 철도
평라선 강원선 금강산청년선 만포선 백두산청년선
청년이천선 평남선 평덕선 평부선 평의선
함북선 북부내륙선 황해청년선
제1지선 철도
대건선 은산선 천성탄광선 고원탄광선 금야선
신흥선 서호선 창흥선 북청선 두언선
단풍선 금골선 일탄선 고참탄광선 대향선
강덕선 청진항선 라진항선 천내선 문천항선
송도원선 대각선 조양탄광선 봉천탄광선 개천탄광선
청년팔원선 룡문탄광선 강계선 운하선 백무선
오시선 삼지연선 평양화전선 보산선 대안선
룡강선 도지리선 서해갑문선 명당선 고비선
덕산선 삼등탄광선 령대선 재동선 솔골탄광선
관하선 득장선 잉포선 덕남선 장상선
송림선 봉산선 룡성선 안주탄광선 개천선
구봉산선 평북선 철산선 백마선 다사도선
덕현선 무산선 세천선 고건원선 춘두선
홍의선 두만강선 승리선 운봉선 은률선
배천선 옹진선 금강산청년선 구성선
제2지선 철도
직동탄광선 성산인입선 장진선 만덕선 신성선
회둔탄광선 후산선 청남선 녕변선 삼공일선
신온전용선 수풍선 장연선 정도선 부포선
안천전용선
폐선된 철도
최가령선 명학선 형봉선 보천선 청화력선
압록강선 마평선 석하리선 토해선 운산선
과일선 토해선 태탄선 리원선 원산항선
개천청년선 서해리선 서창선 룡암선 시정선
남동선 박천선 강안선 회령탄광선 동포선
성평선 회암선 안골선 금천탄광선 홍군선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1. 개요

허천역 만덕역을 기점으로 하는 철도.

개통 시기는 불명이지만 북한교통연보에 따르면 전철화는 1989년에 이루어졌다. 이 때 단천청년역 - 허천역 - 만덕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단풍선의 남은 허천역 - 홍군역 구간은 그대로 씹혔다.

몇몇 의문이 가는 부분이 있는 노선이기도 하다. 아래에 서술될 허천역에 존재하는 스위치백 시설이나, 허천역 - 부동역 사이의 터널의 문제라든가( 부동역 문서 참고). 대개는 위성 사진으로 그러한 의문점이 해결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자면 신흥선 장진선 강삭철도 구간의 경우 여러 자료에서 제시되어 오던 강삭철도 구간이 어디에 정확히 존재하는지 확실하게 위성사진으로 규명되어 위키에 작성된 경우. 그런데 만덕선의 경우는 운행체계나 터널의 현황 등을 알아야 이러한 의문점을 풀 수 있다는 점에서 다소 난감한 경우이다. 위성사진으로 터널을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궤간은 1,435mm 표준궤이며 상기 서술되었듯이 1989년 전철화되었다. 길이 10.3km. 이는 모든 터널이 직선이고 스위치백 구간을 포함했다는 전제 하에 계산된 거리.

2. 만덕선 스위치백


일반적인 스위치백의 경우 N자형으로 되어 있어서 진입 → 후진 → 전진의 순서로 이동하게 된다. 만덕선의 스위치백은 특이하게도 이 중에서 "진입"에 해당하는 구간이 쏙 빠진 형태를 띄고 있다. 이는 만덕선이 기본적으로 단풍선의 지선으로 분류되기 때문인데, 전철화는 단천청년역에서 허천역까지 전철화된 후 남은 단풍선을 따라가는 게 아니라 엉뚱하게 만덕역 방향으로 이어지므로(...) 단천청년역을 출발한 전기철도의 종착역이 만덕역이라는 가정 하에 열차의 이동을 서술하도록 하겠다.

열차가 허천역으로 진입하면, 열차의 진행 방향으로 먼저 승강장의 왼쪽 부분에 선다. 승강장의 오른쪽 부분으로 서게 되면 스위치백을 이용할 수 없다.

구글 어스로 승강장 끝부분을 확대해서 잘 보면 두 개의 선로가 승강장측 선로로 합쳐지는 부분이 있는데, 바로 이게 스위치백의 핵심.

그 다음에 승객을 싣고 천천히 560m를 뒤로 후진하기 시작한다. 거리가 길고 높이차가 심해서 후진할 때 선로가 멀리 보이는 영동선의 스위치백 구간( 도계역 - 심포리역 구간)과는 달리 이 허천역에서의 스위치백은 바로 옆에 나란히 깔린 선로가 허천역으로 들어올 때 사용한 선로이다.

이렇게 560m를 후진하면 선로의 끝부분에 다다른다. 1.5km 정도를 후진해야 해서 반드시 역무원이 있어야 하고 이 때문에 주위 역세권이 아예 없는 주제에 역이 설치되고 심지어 배치간이역 타이틀까지 획득한 흥전역 나한정역과는 달리, 이 열차가 후진해야 하는 거리는 500m 정도이기 때문에 허천역에서 커버가 가능하고, 이 때문에 흥전역과는 달리 후진 완료 지점에 따로 역을 두지 않고 있다.

이제 후진을 완료했으면 선로를 바꾸고 좌측으로 달리기 시작하면 만덕역 방향으로 나가게 된다.

여담으로 이 스위치백 구간을 제외한 길이가 9.8km. 대부분의 자료는 이 때문에 만덕선의 길이를 9.8km로 잡고 있으나, 스위치백 구간을 넣으면 실제 길이는 약 10.3km이다.

3. 역 목록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
만덕선 역 목록
역 명 역간거리 기점거리 종점거리 분기노선 비고 소재지
허 천 虛 川 기점 0.0 10.3 단풍선 함남 허천군
부 동 釜 洞 6.6 6.6 3.7
만 덕 滿 德 3.7 10.3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