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8:28

경희궁 숭의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무덕문
계상당 춘화각 영취정
서암 덕유당 상휘당 광명전 어조당 용비루 장락전 봉상루
영렬천 자정전 집경당 회상전 융복전 융무당 집희당 경선당
위선당 태령전 자정문 영선당 사현합
태령문 향실 숭정전 정시합 흥정당 청한정 지효합 상의원
내삼청 숭양문
숭정문 승휘전 흥원문
직조청 내각( 규장각) 예문관 서방색 궁방 사옹원 사은원 양덕당
일영대 금루 호위청 선부관청 경현당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무겸청 연화문 광달문 화경문 경헌문 승화문
숭의문 서울특별시교육청 금상문 서울역사박물관 건명문 금천교 흥화문
남소 옥당( 홍문관) 약방( 내의원) 약원 도감군사대직청 빈청 전설사
오위도총부 정원( 승정원) 덕응방 내구 마구
개양문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271호 경희궁
<colbgcolor=#bf1400> 경희궁 숭의문
慶熙宮 崇義門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문로2가
( 기상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일부로 추정)
건축시기 1617년 ~ 1620년 (창건) / 철훼시기 미상
1. 개요2. 이름3. 역사4. 구조

[clearfix]

1. 개요

경희궁의 서쪽 궁문이다. 한양도성 돈의문 ~ 인왕산 구간 성벽과 가까이 있었다. 높은 지대에 있어 을 드나드는 사람들이 자주 이용하지는 않았다. 지금은 사라지고 없다.

2. 이름

'숭의(崇義)' 뜻은 직역하면 '의(義)를 숭상(崇)한다'이다. 여기서 '의(義)'는 유학에서 말하는, 인간이 늘 지켜야 할 5가지 도리인 '인예지신(仁義禮智信)'에서 따온 것이다. 전통적으로 '의(義)'는 서쪽을 가리키는 글자였기에[1] 서문의 이름으로 쓴 듯 하다.

3. 역사

1617년( 광해군 9년)에서 1620년(광해군 12년)에 경희궁을 창건할 때[2] 지었다.

1860년대에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대부분 경희궁 건물들을 공사 자재로 쓰려고 없앴다. 그러나 영역만은 살아남았고, 숭의문도 그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1890년대에 그린 서울 지도 《 수선전도[3]를 보면 경희궁 궁장과 궁문을 확인할 수 있다. #

그러나 일제강점기 이후 일제 경희궁 터에 경성중학교[4]를 짓고, 그나마 남아있던 경희궁 건물과 영역을 매각하면서 숭의문도 같이 헐렸다.

2025년 서울특별시교육청이 이전하고 나면 복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4. 구조

  • 《서궐도안》에 모습이 나와있다.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지붕은 맞배지붕이었다. #

[1] '인(仁)'은 동쪽, '예(禮)'는 남쪽, '지(智)'는 북쪽, '신(信)'은 중앙을 가리켰다. 한양도성 대문 이름을 지을 때에도 저 법칙을 적용했다. 서대문은 '문(敦門)', 동대문은 '지문(興之門)', 남대문은 '문(崇門)', 북대문은 '문(肅門)'인데 '정(靖)'은 '지(智)'와 뜻이 통한다. '신(信)'은 종로에 있는 각(普閣) 이름에 들어갔다. [2] 당시에는 경덕궁(慶德宮). 1760년( 영조 36년)에 경희궁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3] 북장로교 의료선교사였던 헤론(J. W. Heron) 박사의 유품으로, 김정호의 《수선전도》를 으로 새로 필사한 후 한글 영어로 지명을 수록한 것이다. 제작 연대의 경우 1890년( 고종 27년)에 지은 러시아공사관인 아라사공사관이, 1896년( 건양 원년)에 헐리는 서대문 밖의 모화관이 적혀 있어 그 사이에 필사한 듯 하다. [4] 현재 마포구 연남동에 있는 경성중학교와는 전혀 다르다. 그 곳은 1967년 개교했으며 한자가 '景'城으로 다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