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경기도
1. 개요
경기도의 교육 내용을 정리한 문서2. 특징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만큼 똥통학교부터 명문학교까지 스펙트럼이 굉장히 넓어서 일괄적인 설명은 힘들고 각 시별로 떼놓고 봐야 설명이 가능하지만, 경기도 전체를 놓고 봤을 때는 교육열이 그다지 높은 지역은 아니다. 경기도는 신도시부터 농촌도시와 마계도시까지 복합적으로 섞여있는 곳이며 한 지역 내에서도 빈부격차가 심할 정도로 스펙트럼이 넓기 때문에 교육열이 서울 버금가는 수준은 못된다. 그나마 강남권 수준과 조금이라도 유사한 커리큘럼을 가진 지역은 고양시 일산이나 안양시의 평촌, 성남시의 분당 정도 뿐이다.[1]명문 고등학교인 경우는 해당 지역의 사람이 아니고서도 전국 모든 사람들이 알아주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용인시 수지구에 있는 수지고등학교는 용인 사람이 아니고서도 타 경기도 사람들에게 인지도가 높은 학교였다.
2.1. 고등학교 입학 방식
2000년부터 고입선발고사가 전면 폐지되었고, 중학교 시절의 내신점수를 200점 만점으로 산출해서 얻어낸 결과로 고등학교 진학 여부가 갈린다. 그러나 이 마저도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실시 지역은 이 선발방식도 싹 사라졌기에 커트라인 마저도 허물어졌다.2022년인 오늘날에는 경기도에서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미실시 지역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러나 수원, 성남, 안양권, 고양, 부천, 안산, 광명, 의정부, 용인처럼 인구가 나름 많은 지역 한정이며 여타 중소도시나 농어촌 지역은 엄연히 비평준화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신도시가 개발중인 김포시, 평택시, 파주시, 양주시도 평준화 도입 자체는 검토되고 있으나 아직 비평준화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심지어 안양과 인구가 비슷한 시흥시도 2022년 기준으로 비평준화지역이다. 그리하여 이들 지역은 학교 간 서열이 명확하다.
그렇지만 2012년부로 고입시험이 전면 폐지됐기 때문에 비평준화 지역도 내신성적으로 선발하지 시험을 쳐서 들어가지 않는다.[2] 그렇기에 비평준화 지역마저도 학교 수준은 대부분 비슷하다.
2.2. 국립학교의 부재
경기도에서 초•중•고 다합쳐서 국립학교가 단 한곳도 존재하지 않는다.[3]3. 남녀공학
전국에서 중고등학교 남녀공학이 1순위로 많은 지역이다. 시흥시, 안산시, 고양시, 남양주시의 경우 남녀공학 말고는 학교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처럼 단성학교가 아예 없는 지역들도 있고, 대부분은 끽해야 1개에서 2개가 끝이다.유독 경기도 답지않게 단성학교 개수가 많은 지역은 수원시와 부천시 두 곳 뿐이다. 수원은 지역의 역사가 깊어서 오래된 사립 단성학교가 많고, 부천은 인천 바로옆에 붙어있어서 인천의 문화 영향을 어느정도 받는 지역이기 때문이다.[4] 수원의 남중과 남고, 여중과 여고 개수를 다합치면 무려 15개정도 된다. 부천은 단성학교 개수가 총 7개이다.[5] 쉽게 말해, 수원과 부천만 아니라면 경기도에 사는 학생들은 남녀공학을 싫더라도 다녀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서울에서 경기도로 내려오는 인구가 급증하자 생긴 현상이다. 급상된 인구 유입 때문에 수많은 학교들이 남녀공학으로 세워졌으며, 대량의 학교들이 많이 필요한 탓에 전부 공립학교로 개교되었다. 이 때문에 경기도는 초중고의 90%가 공립학교이다. 사립학교는 오래된 구도심에 찾아보면 한두개 나오지만, 이 마저도 운영권한이 교육청으로 넘어가서 경기도에 있는 남중과 남고들도 대부분이 공립학교인것을 볼 수 있다.
4. 남녀합반
혼성반 역시 전국에서 제일 많은걸 넘어서 의무인 수준이다. 여기서 말한 혼성반의 기준은, 일부 학년만 합반인 경우를 말한게 아니라 전체 학년이 모두 다 합반인 경우를 말하는 것이다. 중학교는 공립중학교 기준으로 남녀합반이 아닌 중학교를 단 한 곳도 찾아볼수가 없고, 고등학교도 공립 고등학교라면 70%~80%가 남녀 합반이다.물론 고등학교는 학구열 문제 때문에 공립 고교일지라도 일부 학년정도는 남녀분반을 하는 지역들도 있다.
4.1. 중학교
공립학교 기준으로, 남녀분반 중학교가 절대로 존재하지 않는다. 쉽게말해 0개라는 뜻이다. 공립학교 기준이니 사립학교에는 남녀분반이 존재하기도 한다. 공립 중학교이면서 남녀분반인 경우는 해당 지역의 역사가 지나치게 깊은 탓에 생겨버린 변수이다.공립 중학교가 남녀분반인 유일한 케이스는 수원시에 있는 남수원중학교 단 한 곳만이 확인된다. 수원의 역사가 지독하게 깊은 탓에 아직까지도 남녀칠세부동석 문화가 잔재하는 것이다. 이 중학교를 제외하면 경기도에서 공립 중학교가 남녀분반을 하는 경우는 단 한 곳도 확인되지 않고 있다.
2000년쯤부터, 경기도 소재 중학교는 무조건 3년내내 남녀합반이었다. 20년쯤 전부터 이 시스템이 아닌 중학교는 경기도에서 단 한개도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2000 시드니 올림픽 시절부터, 경기도 소재의 모든 남녀공학 중학교가 전체 합반으로 운영되게끔 경기도 교육부가 혼성반을 의무로 시행할것을 장려했다. 따라서 경기도 사람들에게 남녀분반 중학교를 언급하면 문화충격 받거나 놀란다.
따라서 공립학교만 당첨된다면 경기도에 사는 중학생들은 무조건 혼성반에 배정되어 왔다. 출생년도로 치면 1990년생 정도이며, 이 출생년도 사람들부터는 남녀분반 중학교를 안 다녀본 경기도 사람을 찾아볼수가 없게 되었다.
4.2. 고등학교
남녀합반 일반고가 대한민국에서 찾아보기 유독 힘들었던 시절인 2010년대에 전체 학년 합반을 유일하게 유지하는 지역이 경기도였다. 면학분위기 조성의 문제, 역사전통 보존의 문제 등의 이유로 대한민국에는 2010년대에 일반고를 합반시키는 일이 드물었지만 경기도는 다른 지역들의 일반고들이 남녀 분반을 유지했었던 2010년대에 유일하게 전체 학년 합반 체제를 유지해 왔다.2022년인 오늘날은 출산율이 떨어지기에 굳이 경기도가 아니더라도 전국 많은 일반고들이 합반으로 많이 전환하는 추세지만, 경기도는 출산율이 낮지 않았을 2010년쯤부터 남녀합반 일반고가 제일 많았다. 겨울왕국(1편)을 미국에서 개봉했을 2013년 이전부터 이미 수많은 경기도 소재의 남녀공학 일반고들은 혼성반을 전체 학년 시행해왔다.
따라서 2012년 이후로 3년 내내 혼성반을 하는 고교가 아닌 고등학교를 경기도에서 찾아보기가 굉장히 힘들어졌다. 3년중 1년이라도 분반을 하는 고등학교 마저도 각 시에서 5개 미만이었다.
4.2.1. 해당했던 지역과 아닌 지역
물론 역사가 깊은 지역인 수원시, 화성시, 안성시 등이나 과천시처럼 중소도시는 일반고 합반에 해당하지 않았다. 대표적으로 수원은 2010년대 초중반까지 3년내내 남녀를 합반시키는 일반고가 단 한개도 없었다. 수원의 역사전통을 생각하면 당연한 결과다.주로 역사가 짧은 지역이나, 신도시, 뉴타운, 난개발 지역, 1990년대 이후에 발생된 지역에 3년전체 합반 고등학교들이 많았다.
4.2.1.1. 해당 지역
지역 불문하고 대한민국의 거의 모든 일반고가 합반이 필수불가결 수준으로 치닫게 만든 고교학점제가 전혀 없었고, 대한민국의 타 지역들의 일반고들은 전체 학년 합반을 하는 학교를 찾아보기가 희박했던 시절인 2010년대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그리고 당연하지만 공립학교 기준이다.2012년부터 고양시, 성남시, 용인시, 부천시가 유독 경기도에서 남녀합반이 가장 많은 곳이었다. 이 네 지역에 살면 공립 고교 기준으로 남녀분반은 절대로 못다닌다고 보면 된다.
고양, 성남은 지역 면적의 3분의 2 이상이 신도시로 덮혀있는 탓에 3년 내내 합반을 하는 고등학교들 투성이고, 부천은 무려 4개나 되는 신도시 개수 때문에 역사가 오래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관내 모든 남녀공학 고교들이 3년 내내 합반이며, 용인은 심각하도록 난개발이 심해서 남녀분반 고등학교가 단 한곳도 존재하지 않는다. 시흥시, 안양시는 원체 인구가 적은 탓에 이 지역들 역시 남녀분반 고교가 한곳도 없다.
4.2.1.1.1. 고양시
대진고등학교는 사립학교 특성 상 2022년인 오늘날까지도 전체 학년 분반을 철저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다른 사립학교인 세원고등학교는 2012년부터 1학년만 분반이고 2학년과 3학년은 전원 합반으로 운영되어 왔다.2012년부터 고양 소재의 일반고들은 1학년만 분반이고 2학년과 3학년은 전원 합반으로 운영되어 왔다. 2014년이 되자, 1학년까지 전체 학년 모두 합반으로 운영하는 일반고가 70% 이상이었다.
4.2.1.1.2. 성남시
대진고등학교는 사립학교 특성 상 2022년인 오늘날까지도 전체 학년 분반을 철저하게 유지하고 있다. 심지어 분당대진고는 2014년까지 등하교하는 정문 마저 남녀를 철저하게 나누기까지 했다. 같은 사립학교였던 송림고등학교도 전체 학년이 분반이었지만 대진고처럼 등하교 마저 남녀를 분리하지는 않았다.분당에는 2012년부터 남녀분반 고등학교가 단 한개도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다만 대진고와 송림고는 1학년 때 남녀분반을 실행한다.
4.2.1.1.3. 용인시
95년생~97년생 세대의 용인 사람들중에 홍천고등학교가 용인의 유일한 2010년대 시절의 남녀분반 학교였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꽤 많다. 그러나 용인의 유일했던 분반 고등학교인 홍천고 마저 2014년부터 전체 학년 모두 남녀 합반으로 운영되었으니 홍천고가 용인 소재의 유일한 분반 학교였다는 사실은 98년생 신입생들부터는 해당하지 않는 사실이다.2012년까지만 해도 기흥구에 1학년 만큼은 분반을 유지했던 고등학교들이 나름 존재했다. 그러나 2013년이 되자 이 소수의 분반 고등학교들 마저 거의 완벽하게 사라졌다. 심지어 사립학교였던 신갈고등학교 마저 2013년부터 전체 학년 합반으로 변경되었다. 2013년에 마지막으로 남았던 구성고등학교가 1학년을 분반으로 운영했으나 홍천고랑 마찬가지로 2014년부로 분반 교실이 몽땅 사라졌다.
2014년부터는 기흥구, 수지구, 처인구 소재의 모든 일반고가 전체 학년 합반으로 운영되어 왔다. 즉, 2014년부로 용인 소재의 모든 일반고는 공립 사립 할 것 없이 30개 가량 되는 고등학교가 모두 다 전체 학년 합반이었다.
4.2.1.1.4. 부천시
사립학교인 시온고등학교만이 유일한 부천 소재의 남녀분반 학교였다. 시온고는 애초에 사립이니 논외이고, 2014년부터 부천 소재의 모든 공립 고등학교가 전체 학년 합반이었다. 심지어 2012년부터는 계명고등학교 딱 한 곳 만 존해했었으며, 계명고도 1학년만 분반으로 운영되었다.심지어 사립학교인 시온고도 1학년만 전원 분반이었으며 2학년과 3학년은 분반이 문이과당 딱 1개씩 밖에 없어서 운이 나쁘지 않는이상 2학년과 3학년은 무사히 합반으로 다니는 학생들이 수두룩했다.
4.2.1.2. 비해당 지역
2010년대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이들 지역은 공립학교여도 철저하게 전체 학년이 분반으로 운영되었다.현재는 교육과정 변화로 아닌곳이 많아졌다.
4.2.1.2.1. 수원시
2016년 기준으로는 망포고등학교가 유일하게 전체 학년 합반으로 운영했다. 그러다가 2017년에 대평고등학교가 합류했다. 201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전체 학년으로 운영되는 고등학교가 단 한 곳도 존재하지 않았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합반 교실이 단 한 개도 없는 곳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었으나, 어디까지나 잉여반 1~2개 뿐이었다.장안구나 권선구 쪽은 잉여반 마저 없는 경우가 대다수였고, 그나마 합반 개수가 조금 됐었던 학교는 광교고등학교 뿐이었다.
4.2.1.2.2. 안성시
교육에 대해 특별히 보수적인 지역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1990년대 들어서 안법고등학교가 처음으로 남녀공항으로 전환을 하였다.4.2.1.2.3. 화성시
비봉고등학교를 제외하면 합반으로 운영되는 고등학교는 찾아보기 드물었으며, 심지어 동탄 소재의 고등학교들 마저도 분반이었다.5. 교육 성향
5.1. 대한민국에서 가장 개방적이었던 교육(2009년 ~ 2022년)
학생인권조례를 전국에서 가장 먼저 시행한 지역이다. 대표적으로 고등학교에서 핸드폰 수거를 처음으로 금지한 지역이다.[6] 물론 학교마다 학칙은 상이하기 때문에 아무리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일지라도 2022년인 오늘날까지도 수거를 하는 고등학교들이 종종 있으나, 없다고 봐도 무방한걸 넘어서 학교장이 교내에 와이파이까지 틀어주는 고등학교(일반고)들이 다수 존재한다.경기도의 교육이 이렇게 진보적이게 된건 2009년 이후의 일이다. 그 이전에는 옆동네인 서울특별시가 교육에 더 진보적이었으며, 고등학교 남녀합반도 원래는 서울이 많았었다. 2014년에 당선된 이재정 교육감의 9시등교 공약이 있었다.[7]
2014년 이후로 교육에 있어 전국에서 가장 개방적인 지역이 되었다.
5.2. 다시 생긴 보수 교육감(2022년 ~ 현재)
그러나 2022년에 경기도에서 다시 보수 교육감이 등장했다. 임태희 교육감은 경기도가 여지껏 13년동안 전국에서 가장 진보적인 교육 커리큘럼 체제를 유지해온 탓에 학생들의 면학분위기 저하는 물론이고 지나친 학생인권조례 때문에 생긴 교권 추락까지 전부 해결하겠다고 한다. ~그러나 정작 고등학교들 중 대다수가 9시 등교를 유지하면서[9] 임태희의 주요 공약인 등교시간 자율화가 유명무실해졌다. 그리고 학생인권조례를 손 보겠다고는 했지만 실제로 그러지 않았다.
6. 교복
중학교 교복은 정말로 형식만 갖춘 민무늬 천쪼가리에 넥타이 조차 없는 경우가 많지만, 고등학교의 경우 평범하기 짝이 없는 일반고임에도 불구하고 예쁜 교복들이 즐비해 있다시피 하다. 넥타이에 줄무늬가 있고 여학생들의 치마에는 체크무늬가 있는 경우가 많다.여학생의 교복은 넥타이 대신 리본인 고등학교도 지역마다 1~2곳은 존재하기 마련이다. 특히 개교 년도가 2006년 이후인 고등학교에 이런 교복이 많다. 많이 예쁜 교복은 매체에서 배껴다가 쓰기도 한다. 일산신도시의 교복은 중학교 교복까지 수준급이니 말 다 했다.
경기도는 새로 생긴 고등학교가 많[10]기 때문에 세련된 디자인의 교복들이 나오기 마련이기 때문에 예쁜 교복들이 많다.
7. 대학
경기도의 대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국립 | ㄱ | <colbgcolor=#fff,#191919> 경인교육대학교(경기캠퍼스) |
ㅅ |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 ||
ㅎ | 한경국립대학교 · 한국교통대학교(의왕캠퍼스) | ||
사립 | ㄱ | 가천대학교 · 가톨릭대학교 · 강남대학교 · 경기대학교 · 경동대학교(메트로폴캠퍼스)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 |
ㄷ | 단국대학교 · 대진대학교 · 동국대학교 (바이오메디캠퍼스) · 동양대학교(동두천캠퍼스) | ||
ㄹ | 루터대학교 | ||
ㅁ | 명지대학교(자연캠퍼스) | ||
ㅅ | 서울신학대학교 · 서울장신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수원가톨릭대학교 · 수원대학교 · 신한대학교 | ||
ㅇ | 아신대학교 · 아주대학교 · 안양대학교 · 연세대학교 (삼애캠퍼스) · 예원예술대학교(양주캠퍼스) · 용인대학교 · 을지대학교(성남캠퍼스 · 의정부캠퍼스) | ||
ㅈ | 중부대학교(고양캠퍼스) · 중앙대학교(다빈치캠퍼스) · 중앙승가대학교 | ||
ㅊ | 차의과학대학교 · 총신대학교(양지캠퍼스)(대학원) | ||
ㅋ | 칼빈대학교 | ||
ㅍ | 평택대학교 | ||
ㅎ | 한국공학대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 한국항공대학교 · 한세대학교 · 한신대학교 · 한양대학교 ERICA · 협성대학교 · 홍익대학교 (화성캠퍼스) · 화성의과학대학교 |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대학원)은 경기도에 대학원만 있는 캠퍼스이다.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
경기도의 전문대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문대학 | ㄱ | <colbgcolor=#fff,#1c1d1f> 경기과학기술대학교 · 경민대학교 · 경복대학교 · 계원예술대학교 · 국제대학교 · 김포대학교 |
ㄴ | 농협대학교 | ||
ㄷ | 대경대학교 (서울한류캠퍼스) · 대림대학교 · 동남보건대학교 · 동서울대학교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동원대학교 · 두원공과대학교 | ||
ㅂ | 부천대학교 | ||
ㅅ | 서영대학교(파주캠퍼스) · 서울예술대학교 · 서정대학교 · 수원과학대학교 · 수원여자대학교 · 신구대학교 · 신안산대학교 | ||
ㅇ | 안산대학교 · 여주대학교 · 연성대학교 · 오산대학교 ·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웅지세무대학교 · 유한대학교 | ||
ㅈ | 장안대학교 | ||
ㅊ | 청강문화산업대학교 | ||
ㅎ | 한국관광대학교 | ||
기능대학 | I | ICT폴리텍대학 | |
ㅎ | 한국폴리텍I대학(성남) · 한국폴리텍II대학(화성) ·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반도체) | }}}}}}}}}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
경기도의 대학원대학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국립 | ㄱ | <colbgcolor=#fff,#191919>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
ㅎ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 ||
사립 | ㄱ | 구세군사관대학원대학교 · 국제법률경영대학원대학교 | |
ㄴ | 능인대학원대학교 | ||
ㄷ |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 ||
ㅅ | 선학유피대학원대학교 · 성서침례대학원대학교 ·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 ||
ㅇ |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 온석대학원대학교 | ||
ㅈ | 제네바신학대학원대학교 | ||
ㅎ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
서울특별시의 대학보다는 덜하지만, 인천광역시의 대학과 함께 선호도가 높다.
대학생들이 수도권 지역의 촘촘한 교통망과 상권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1]
분당은 정자역에 유명한 강사들이 학원으로 초정받아서 강의를 하는 경우도 많았다. 대표적으로
2014년 1월에
설민석 강사가 정자동의 한 보습학원에서 한국사 강의를 진행한 적이 있었다.
[2]
남단의 충청남도는 2016년 기준 시험을 보고 난 다음 고등학교에 들어갔지만 경기도는 그러지 않았다.
[3]
국립 초•중•고가 없는 다른 광역자지단체로는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울산광역시가 있다.
[4]
인천은 지역 자체가 역사가 오래된 지역이기 때문에 개교년도가 오래된 단성 학교들이 굉장히 많다. 부천은 인천의 땅을 떼어서 만들어낸 지역이기 때문에 부천에 개교된 중고등학교 역시 역사가 오래된 단성학교들이 많다.
[5]
이 마저도
2018년 부터의 개수이며
2017년까지는 남중과 여중이 하나씩 더 있어서 9개였다. 이 남중과 여중 두 학교가 통합되어서 2018년에
남녀공학으로 변한 것이다.
[6]
체벌금지는 경기도가 아닌
서울특별시가 제일 먼저 시행했다.
[7]
9시등교의 혜택을 본 학생들은 1996년생~2008년생이다.
[8]
그러나 이재정이 재임한 시절에도 9시 등교를 시행하지 않은 학교들을 제재하지 않았다.
[9]
2022년 이후 등교시간을 더 앞당긴 학교들은 대부분 원래부터 9시 등교를 실시하지 않았다.
[10]
이 영향으로
혼성반 고교가 전국에서 제일 많은 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