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회 부의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2대 의회[1] | ||
이행득 → 이중구 | 이행득 → 김석근 | 방동석 | |||
제3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3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조정순 | 이재진 | 오유근 | 문일권 | ||
제4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4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김기영 | 이성구 | 이선재 | 유기종 | ||
제5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5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최종오[2] → 유대운 | 이성구 | 민연식 | 이양한[3] → 임동규 | ||
제6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6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백의종 | 유대운[4] → 정창희 | 박주웅 | 민연식 | ||
제7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7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이종필 | 김기성 | 김진수 | 임승업[5] → 하태종 | ||
제8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8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양준욱 | 진두생 | 성백진[6] | 김진수 | ||
제9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9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김인호 | 강감창 | 조규영 | 김진수 | ||
제10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10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김생환 | 박기열 | 김기덕 | 김광수 | ||
제1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제1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 ||||
남창진 | 우형찬 | 이종환 | 김인제 | ||
|
}}}}}}}}} |
<colbgcolor=#ae1932><colcolor=#ffffff> 제9대 서울특별시의회 전반기 부의장 강감창 姜玪昌|Kang Kamchang |
|||
|
|||
출생 | 1962년 3월 5일 ([age(1962-03-05)]세) |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 |||
거주지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 ||
본관 | 진주 강씨 | ||
재임기간 | 제9대 서울특별시의회 전반기 부의장 | ||
2014년 7월 16일 ~ 2016년 6월 30일 | |||
링크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ae1932><colcolor=#fff> 가족 | 배우자, 1남 1녀 | |
학력 |
임하국민학교 (졸업) 임하중학교 (졸업) 안동공업고등학교 (졸업) 인하대학교 ( 건축학 / 학사) 인하대학교 대학원 ( 건축공학[1] / 석사[2]) |
||
병역 | 대한민국 육군 학사장교 복무만기 전역 (예비역 대위) | ||
소속 정당 |
|
||
약력 |
체육청소년부 차관 비서관 안동정보대학 겸임교수 강건축사사무소 대표 제7~9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제8대 서울특별시의회 건설위원회 위원장 제9대 서울특별시의회 부의장 서울특별시의회 새누리당 대표의원 서울특별시의회 자유한국당 대표의원 자유한국당 서울특별시당 수석부위원장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건축사 출신 정치인. 전직 서울특별시의회 부의장으로서, 11년간 송파 4선거구에서 활동한 3선 서울특별시의원이다. 현재 당적은 국민의힘이다.2. 생애
1962년 3월 5일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서 태어났다. 임하국민학교, 임하중학교, 안동공업고등학교(현 경북하이텍고등학교), 인하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1986년 인하대학교 대학원에서 건축계획 전공으로 건축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2007년 재보궐선거에서 송파 제4선거구 ( 석촌동, 가락1동, 문정2동)에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하여 70.85%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으며 서울특별시의회에 초선 의원으로 입성했다. 이후 건축위원회, 도시건축공동위원회 등 소속으로 본인의 전문 분야인 건축과 도시계획 관련 현안들을 처리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새누리당 후보로 송파 제4선거구에 출마하여 3선에 성공한다. 이때 제시한 100대 공약이 우수한 평가를 받으며 매니페스토 약속대상을 수상한다. 기사 소속 정당이 77대 29라는 압도적 의석수 열세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개인기를 발휘하여 제9대 서울특별시의회 부의장과 새누리당- 자유한국당의 서울시의회 대표의원직을 역임하였고, 기사 지역현안에 대해서는 협치를 통해 풀어 나가면서도 정무적이고 이념적인 시 정책에는 타협하지 않으며 서울시의회 내 야당의 역할을 톡톡히 수행했다. 4년간 100대 공약이행도 82.4%, 상임위 출석률 100%, 조례발의 128건, 본회의장 발언 34회 등의 열정적인 의정활동을 펼치며 3선 의원으로서의 모범을 보이기도 하였다. 기사1 기사2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민선 7기 송파구청장 선거에서 당시 자유한국당 후보로 하마평에 올랐으나 자신의 시의원 선거구에 출마하였다. 정당보다 정책을 보고 투표하고, 힘있는 여당 후보 대신 주민의 힘을 보여달라는 전략으로 선거운동을 펼쳤으나 40%의 득표율을 기록하고 아쉽게 낙선하였다. 당시 박근혜 대통령 탄핵의 후풍으로 해당 지역구의 구의원 및 구청장 선거에서 범보수 후보가 도합 35% 가량의 득표율을 기록한 것에 비하면 유의미한 개인 기량과 득표력을 보여 준 셈.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민선 8기 송파구청장 유력 후보로 하마평에 오르고있지만 결국 탈락했다.
2022년 3월 30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송파구청장 출마를 선언하며 국민의힘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기사 과거 가락시영아파트 (현 헬리오시티)의 3종 상향 경험을 살려 송파구 내 아파트들의 재건축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세입자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들도 펼칠 것이라고 공약했다.
정책통이자 도시계획 전문가로서 지역 주민들에게 의정활동 평가가 좋은 정치인이지만, 본선보다 치열한 당내경선을 뚫는 것이 1차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결국 공천에서 탈락했다.
3. 의정 활동
지역구에서는 계파나 이념보다는 지역의 입장을 우선 생각하는 의정활동으로 정평이 나 있다. 정무적인 이슈에 앞장서서 의견을 내고 편을 가르기보다는 지역의 이슈와 현안들에 대한 정책적 처방을 제시하는 것이 지역정치인의 역할이라는 의정 철학을 지속적으로 밝혀 왔다.실제로 강감창 전 의원의 11년간 의정활동 기간동안 지역구인 송파 을 지역구 출마 후보자들을 보자면 친이로 분류되는 박계동 전 의원 ( 17대 총선), 박근혜 정부의 유일호 전 경제부총리 ( 18, 19대 총선), 친유로 분류되는 김영순 전 송파구청장 ( 20대 총선), 친홍으로 분류되는 배현진 최고위원 ( 2018년도 보궐선거, 21대 총선) 등 다양한 계파의 당협위원장 및 국회의원들로부터 지역정책 및 도시계획 전문가로 공천을 받았다.
대표적인 의정활동 성과로는 잠실지하광역환승센터 공간 명소화, 석촌호수 및 석촌고분 명소화 등 도시공간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살려 지역의 공간환경을 개선하고 교통 편의성을 늘리는 정책들이 있다. 또한 원래 2종 재건축 규제가 적용되던 헬리오시티의 종 상향을 이뤄내는 등, 지역의 주택 공급과 공간 명소화 정책에서 큰 성과를 거둔 바 있다.
경제정책, 개발정책 측면에서는 도시개발 과정에서 사회적 약자들과 취약계층이 배제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계속 보여왔다. 개미마을 주민 보상 문제처럼 개발의 방향을 유지하면서도 사회적 약자가 상생할 수 있는 방향의 의정활동을 펼쳐 왔다. “사람을 담는 도시를 만들자"가 의정활동 모토이다.
반대로 석촌전통시장 노점상 문제처럼 일부 사안에 대해서는 기존 기득권들과 타협하는 방향의 의정활동을 펼쳐 비난을 받는점도 있다. 노점상인협회의 손을 들어주며 기존계획을 수정하여 철거하지 않고 적절한 선에서 마무리 지었다. 그 결과 노점상의 존재로 인해 상권 분위기가 저하되었고 상인들과 노점상 모두 공멸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결국 석촌시장은 시장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고, 석촌동 주민, 가락동 주민, 석촌시장 상인 모두로 부터 지탄을 받고 있다. 이러한 사건은 서강석 후보의 가산점과 더불어 경선에서 낙선한 여러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4. 여담
- 2007년 재보궐선거 당시 처음 선거운동을 하던 당시 초등학교 2학년이던 아들이 일기장에 “요즘 엄마 아빠가 선거운동을 하느라 집에 늦게 돌아와서 힘들다. 나는 나중에 절대 정치인은 되지 않을 것이다. 가족들이 너무 힘들다.” 라고 적어서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1년 뒤 자신의 의정활동을 지켜본 아들이 일기장에 “나는 이다음에 커서 서울시장이 될 것이다. 교통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모노레일을 깔고, 노약자들과 어린이들을 위한 일을 할 것이다.” 라고 적은 것을 보고 큰 감동과 동기부여를 받았다고 한다. 출처
5.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 송파 4 |
[[자유민주연합| |
6,922 (20.76%) | 낙선 (3위)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경북 안동 갑 | 2,329 (4.68%) | 낙선 (4위) | ||
2007 |
상반기 재보궐선거 ( 광역의회의원) |
서울 송파 4 |
|
5,389 (70.85%) | 당선 (1위) | 초선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13,173 (45.92%) | 재선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새누리당| |
14,552 (55.17%) | 3선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자유한국당| |
13,513 (39.73%) | 낙선 (2위) |
6.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자유민주연합| |
1995 - 2006 |
창당 정계 입문 |
|
2006 | 합당[3]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06 - 2007 | 탈당[4] |
|
2007 - 2012 | 복당 |
[[새누리당| |
2012 - 2017 | 당명 변경 |
[[자유한국당| |
2017 - 2020 | 당명 변경 |
[[미래통합당| |
2020 | 합당[5] |
|
2020 - 현재 | 당명 변경 |
[1]
건축계획 전공
[2]
석사 학위 논문 :
老人福祉施設의 實態에 關한 硏究 : 仁川市 老人亭을 中心으로(노인복지시설의 실태에 관한 연구 : 인천시 노인정을 중심으로, 1986).
[3]
한나라당에 흡수 합당
[4]
공직자 신분으로 인한 탈당
[5]
새로운보수당,
미래를 향한 전진 4.0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