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범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좁은 의미 |
[[자연과학| 자연과학 ]]
물리학 ·
화학 ·
생물학 ·
지구과학 ·
천문학
|
넓은 의미 |
[[형식과학| 형식과학 ]]
수학 ·
통계학 ·
전산학 ·
논리학 ·
암호학 ·
언어학(생성이론)
|
|
[[응용과학| 응용과학 ]]
거대과학 ·
공학 ·
건축학 ·
경영학 ·
법학 ·
행정학 ·
의학 ·
치의학 ·
한의학 ·
간호학 ·
약학 ·
수의학 ·
농학 ·
임학 ·
수산학 ·
가정학
|
||
[[사회과학| 사회과학 ]]
정치학 ·
경제학 ·
사회학 ·
인류학 ·
심리학 ·
지리학 ·
사회복지학 ·
신문방송학 ·
종교학
|
||
[[인문과학| 인문과학 ]]
언어학 ·
문학 ·
사학 ·
고고학 ·
미술사학 ·
음악사학 ·
철학
|
||
비과학 | 변경지대의 과학 · 병적 과학 · 쓰레기 과학 · 유사과학 · 비과학 · 반과학 | }}}}}}}}} |
1. 개요
建 築 學 / Architecture응용과학의 한 분야로, 인간이 사용하기 위한 공간을 심미적, 실용적으로 설계, 공학적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실제 사용할 수 있게 현실화 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학문을 뜻한다.
건축학은 모든 학문이 결합된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이 문명을 이룩한 후 건축이란 인간이 사용하는 모든 공간으로 영역을 넓혔다. 이에 자연스럽게 건축은 심미적, 실용적 요구가 발생되었으며, 따라서 당시 그 공간을 향유하는 인간의 각종 요구에 따른 변화와, 그 변화를 실현시키기 위한 무수한 학문들에 의해 발전했다. 가령 고딕양식의 경우, 당시 교황청은 프랑스 왕국의 왕조이자 유럽 최대 규모의 가문인 카페 왕조와 연합하면서 그 세력을 키웠고, 이를 과시하기 위해 스테인드 글라스와 같은 종교적 색채를 띈 예술적 구조물을 포함하는 양식의 성당을 원했으며, 이에 따라 당시의 모든 공학적 요소들이 동원되었다. 이처럼, 건축학은 시대를 반영하는 문명의 안식처이자 거울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