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5 14:36:18

KSR 계획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KSR 계획
<rowcolor=#ffffff> 1993년 1997년 2002년
KSR-I KSR-II KSR-III
<rowcolor=#ffffff> KSLV 계획
<rowcolor=#ffffff> 2013년 2018년 2022년 2030년
KSLV-I 나로 KSLV-II TLV KSLV-II 누리 KSLV-III
KSLV-s
<rowcolor=#ffffff> 국방부
한국형 고체연료 발사체
<rowcolor=#ffffff> 민간 개발 우주발사체
<rowcolor=#ffffff>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이노스페이스
블루웨일 시리즈 한빛 시리즈 한빛-TLV
<rowcolor=#ffffff> 엔진
누리호 75톤급 엔진 누리호 7톤급 엔진
<rowcolor=#ffffff> 관련 문서
나로호/역사 누리호 75톤급 엔진/연소 시험 누리호/필요성에 대한 찬반양론 누리호 7톤급 엔진/연소 시험 대한민국의 우주개발사
관련 틀 : 대한민국의 인공위성 | 대한민국의 우주개발계획 }}}}}}}}}


1. 개요2. KSR-I3. KSR-II4. KSR-III5. 같이 보기

1. 개요

발사 역사(0초~23초)
한국형 과학관측 로켓(Korea Sounding Rocket).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만든 우주개발용 로켓이다. 우주개발용이라고 해서 실제 우주까지 올라가는 로켓이 아니고, 여러 관측용 장비가 탑재되어 여러가지 관측임무를 수행하는 로켓이다. 포물선 궤도를 그리며 최고고도에서 관측을 수행한 뒤 다시 해상으로 떨어지는 방식.

2. KSR-I

파일:KSR-I.jpg
발사 사진 시험 발사 영상(1993.06.04)
  • 직경: 0.42m
  • 길이: 6.7m
  • 총중량: 1.2t
  • 유료하중: 150kg
  • 최고고도: 75km
  • 추력: 8.8t

처음 계획이 세워진 것은 1987년 천문우주과학연구소(현 한국천문연구원)의 연구 제안이었다. 하지만 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된 것은 1990년 항공우주연구소(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설립 이후. 1993 대전 엑스포 일정에 맞춰 개발하여 6월 4일과 9월에 각각 발사되었으며 한반도 상공의 오존층 관측과 로켓 성능에 관련된 자료수집이 주 목적이었다. 2회 발사 모두 성공하였다.[1]
  • 1회 발사성과: 고도 39km 낙하거리 77km
  • 2회 발사성과: 고도 49km 낙하거리 101km

3. KSR-II

파일:중형과학로켓(KSR-Ⅱ).jpg
발사 사진
시험 발사 영상
  • 직경: 0.42m
  • 길이: 11.04m
  • 총중량: 2t
  • 유료하중: 150kg
  • 최고고도: 160~258km
  • 추력: 8.8t

KSR-I의 뒤를 이어 2단형으로 개발된 관측 로켓. 중형과학로켓이라고 명칭하고있다. KSR-I에서 얻은 로켓성능에 관련한 자료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KSR-I과의 차이는 2단 분리형, 페어링 사용, 추력편향기능 도입이 있다. 1997년 발사해 160km 이상으로 날아가 X선 관측을 하는 데 사용되었다. 7월에 발사하였으며 1차 발사 때는 비행 자체는 성공했으나 도중에 통신이 두절되어 데이터 수집에는 실패하였고, 2차 발사 때는 데이터 수집까지 모두 성공했다.

당시 개발 도중에 고체연료 로켓의 특성상 탄도미사일로 쉽게 전환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미국에서 비밀리에 항우연을 기습적으로 방문하는 일도 벌어졌다.

그로부터 20년이 훨씬 지난 2021년 한미 미사일 사거리 지침의 폐기로, 한국은 로켓 및 미사일 개발의 제한을 완전히 벗어나게 되었다.

4. KSR-III

파일:KSR-III Launch_s.jpg
발사 사진
개발/발사 영상
  • 직경: 1m
  • 길이: 13.5m
  • 총중량: 6.1t
  • 유료하중: 150kg
  • 최고고도: 42.7km
  • 추력: 13t

현재 대덕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연구동에 전시되어 있다.

본래 정부는 KSR-I부터 KSR-III까지 각각 1단형, 2단형, 3단형 과학로켓으로 개발하여 단 수를 순차적으로 늘려가려고 했었다. 다만 KSR-III에 액체추진체를 사용하기로 하면서 단계적인 기술확보를 위해 1단 액체 + 2단 고체 로켓으로 이루어진 기본형을 먼저 개발한 뒤에 1, 2단 액체 + 3단 고체로 이루어진 응용형을 개발하기로 하였다. 굳이 액체추진체를 사용한 이유는 KSR-III을 향후 위성발사에도 응용해먹으려는 노림수도 숨어있었는데, 액체로켓은 고체로켓에 비해 추력조절이나 재점화 등 위성발사에 유용한 장점이 많고, 또한 군사용으로 사용 가능해 국제적으로 규제받기 쉬운 고체로켓 대신 보다 개발이 수월한 액체로켓을 쓰는 것이 정치적으로도 낫기 때문이다.
파일:attachment/KSR 시리즈/KSR-III_1.png
당시의 계획도

하지만 1997년 12월 개발을 시작하고 얼마 안 돼서 1998년 북한 대포동 1호를 발사하는 등 상황이 달라지면서 계획은 바뀌게 된다. 목표가 3단형 과학로켓 개발에서 액체로켓 핵심기술 확보로 변경된 것. 따라서 로켓 역시 딱 핵심기술만 사용된 1단형 액체로켓으로 바뀌었다. 로켓이 바뀌면서 목표성능도 바뀌어 본래는 기본형이 200km, 응용형이 700~900km의 최고고도에 도달하는것이 목표였으나 변경된 뒤에 실제 발사된 로켓의 최고고도는 42.7km였다. 2002년 11월 28일 발사하여 성공.

이후 KSR-III의 엔진을 다발로 묶는 방식(클러스터링)으로 인공위성 발사능력을 갖춘 국산 우주발사체를 개발하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이 경우 연료, 탑재위성을 제외한 발사체만의 순수무게가 전체 로켓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면서 발사 실패의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2] 이로 인해 러시아와의 기술 협력으로 선회했고, 그 결과물이 나로호 로켓이었다.

당시 계획이 변경되기 전까지 개발하던 기본형 관련 기술(2단 고체모터기술 및 단분리 기술)은 계획이 변경되면서 지상시험으로 검증하였다.

5. 같이 보기


[1] 만일을 대비해 하나를 더 만들었는데 2회 발사까지 모두 한 번에 성공하는 바람에 나머지 하나는 한국우주박물관에 기증되었다. [2] 이렇게 된 이유는 저 액체로켓 구조가 연료 일부로 터빈을 돌려 압력을 만드는 터보펌프식이 아닌 가압물질로 밀어내는 가압식이라 탱크를 연료-산화제-가압물질로 3개나 탑재해야했기 때문이었다. 연료를 많이 실을수록 가압용 물질도 덩달아 늘어나야하기 때문에 무게가 확 무거워지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