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5 23:20:01

KBS 3TV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00년에 개국한 라디오 채널에 대한 내용은 KBS 제3라디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1981년에 폐국한 라디오 채널에 대한 내용은 KBS 제3방송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화이트.svg 송출 채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라디오
방송
중파
초단파
파일:KBS 1Radio 로고.svg · 파일:KBS 제2라디오 로고.svg · 파일:KBS 3Radio 로고.svg · 파일:KBS 한민족방송 로고.svg · 파일:KBS ClassicFM 로고.svg · 파일:KBS CoolFM 로고.svg · 파일:EBS FM 로고.svg · 파일:KFN 로고.png
단파 파일:KBS 한민족방송 로고.svg · 파일:KBS 월드 라디오 로고.svg
텔레비전
방송
지상파 파일:KBS 1TV 로고.svg · 파일:KBS 2TV 로고.svg · 파일:EBS 1TV 로고 2023.svg · 파일:EBS 2TV 로고 2023.svg
기타 파일:KBS 월드 로고.svg · 파일:KBS KOREA.png
인터넷
방송
보도 파일:KBS NEWS D 로고.svg
폐국 제3중파방송 · 라디오서울 · 파일:KBS 3TV 로고.svg · 교육 FM
† 위탁 송신, EBS 1, 2TV는 비수도권 한정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KBS 3TV 로고.svg KBS 3TV
KBS 제3텔레비전
}}}
악칭 <colbgcolor=#fff,#1f2023>KBS3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개국 1981년 2월 2일
폐국 1990년 12월 26일 ( EBS-TV 출범)
채널구분 지상파 방송
운영 유형 공영 교육방송
호출부호 HLQK-TV[1]
채널번호 UHF 34CHVHF- High 13CH '''
서울
'''
방송품질
화질
NTSC-M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282b9,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486-line/59.94㎐)]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2282b9,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M-FM 투 캐리어 스테레오)]
언어 한국어
가시청권 대한민국 전역
운영주체
편성
한국방송공사 TV본부
제작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방송본부
당시
방송
책임자
편성
장한성 (TV본부장)
소유 한국방송공사
후신 EBS 1TV

1. 개요2. 역사
2.1. KBS 제3텔레비전 탄생2.2. EBS로 독립
3. 프로그램

[clearfix]

1. 개요

KBS 3TV의 모습
1981년 2월 2일부터 1990년 12월 26일까지 한국방송공사 소속으로 운영되었던 채널. 현 한국교육방송공사 EBS-TV의 전신으로, 교양 프로그램은 KBS가 제작하고 교육 프로그램 제작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방송본부가 맡는 식이었다. 원시 EBS 당시 채널번호는 VHF 13번.[2]

2. 역사

CI 변천과정
파일:KBS 3TV 로고(1981-1984).svg 파일:KBS 3TV 로고.svg
KBS 3TV 1세대 로고 (1981년 2월 2일 ~ 1984년 10월 28일) KBS 3TV 2세대 로고 (1984년 10월 29일 ~ 1990년 12월 26일)

2.1. KBS 제3텔레비전 탄생

교육 목적의 방송이 탄생한 원인은 1980년 전두환 정부 과외 전면 금지령을 내렸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KBS MBC를 통해 가정고교방송이 신설, 방송되기 시작했는데, 정부 차원에서 과외 금지에 대한 대안으로 교육방송 채널의 별도 편성을 지시했다. 1980년 4월부터 시범적으로 시작된 고교생 대상의 TV 교육방송은 방영 초기부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그도 그럴 것이 당시 강사로 출연했던 이들이 서한샘, 이광용, 채영기 등 당대 각 과목의 초특급 1타강사였기 때문이다. 교육방송 전용 교재는 불티나게 팔려나갔고, TV가 없던 집에서도 방송과외 수업을 듣기 위해 TV를 구매했다.

결국 정부가 언론통폐합 이후로 교육방송 독립 개국 작업에 착수하여 1981년 2월 2일부터 기존의 KBS 1TV KBS 2TV에 이어서 3번째 KBS 소속채널인 KBS 3TV로 출범하여 방송을 시작했다.[3]

그 당시를 경험했던 세대들에게는 지금의 EBS-TV가 아닌 KBS 3TV라는 호칭이 익숙한 실정이다. 본래는 교육 및 학습 위주로 방영하게 된 채널이었으며 KBS의 소속채널이긴 하지만 KBS 1TV, KBS 2TV와는 달리 교육 및 학습 위주의 프로그램을 방영했기 때문에 독립적인 성향이 짙었으며 1, 2TV와는 달리 상업광고[4][5]를 보내지 않았고 주로 강의나 학습방송[6], 다큐멘터리를 주로 편성했고, 애니메이션은 1TV와 2TV에서 이미 편성하고 있었기 때문에 편성이 없었다.[7]

1980년대에 대학입시 준비를 경험한(소위 학력고사 세대) 사람들이라면 'TV고교가정학습'이라는 명칭이 다소 익숙할 것이다.[8] 방송기술 분야로 가자면 국내 UHF TV 방송의 효시가 이 고교과외 TV방송이라 할 수 있겠다. 이후 독립된 방송국을 가진 뒤에도 가정고교 시리즈는 KBS 3TV의 플래그십 프로그램으로 군림하게 되었다. 대표강사로는 주로 학원 강사나 현역 교사를 기용하였는데, 이규희, 강영은 서강대 교수, 안영휘 중앙대 교수, 서한샘 한샘학원 원장[9], 천한신 한샘학원 강사 등이 있다.

하지만 UHF 34번[10] 채널로 방송을 내보냈기 때문에 UHF 특성상 VHF 방식에 비하여, 대역폭이 매우 협소한데 불구하고 그때 당시 UHF중계소를 도시마다 마련하지 못할정도로 재정적환경이 부족했으며 그마저도 농어촌 및 중소도시에는 UHF중계소가 없는곳이 많았던터라 TV교육방송의 혜택이 전국민 모두 향유하지 못할정도로 난시청 지역이 많아 제대로 된 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여론이 많았고, 운영면에서도 KBS와 KEDI가 같이 운영하는 식이라 어쩡쩡하게 운영된데다가 방영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 교육 프로그램이나 다큐멘터리 같은 교양 프로그램이라는 특성상 시청률도 한자릿수대에 머물렀기 때문에[11] KBS 입장에서도 나름대로 애물단지였다. 이로 인해 불만을 반영해서 1987년에 VHF 13번으로 채널을 변경했다. 개국 초기에는 오전방송을 실시하지 않으면서도 타 채널과 동일하게 오후 5시 30분[12]에 방송을 시작했지만 당시 시청률 확보를 위해서 1987년 5월 11일부터 방송시간을 한 시간 앞당겨서 오후 4시 30분[13]에 시작하게 되었다. 그래서 오후 4시 30분부터 5시 30분에 한해서 시청률이 약간 높아졌다.

KBS의 지상파 채널에 속했기 때문에 공식명칭으로 'KBS 제3텔레비전이라 불렸다. 기존의 1TV, 2TV와는 달리 상업광고 없이 그대로 시작하게 되었으며 방송 로고장면이 나올 때는 성우가 KBS 제3텔레비전입니다.라고 알려주고 거기에는 정지 영상 그림체가 등장했으며 하단 우측에는 KBS3 이라는 로고가 있었다.[14] KBS3 로고를 넣은 사진 혹은 그림만 달랑 한장 띄우고 아무런 배경음도 없이 나레이션만 나오는 식으로 타 KBS국들에 비해 매우 무미건조했다.[15][16]

한편, 1988 서울 올림픽 경기를 중계했던 적도 있었는데[17], 서울 올림픽 당시 KBS가 IOC 대한민국 주관 방송사로 승인되었기 때문에 1, 2, 3TV 모두 서울 올림픽 경기방송을 보냈던 것. 이 때문에 교육채널이 왜 스포츠 중계방송을 내보냈냐는 일부 시청자들의 항의도 있었지만 그래도 교육방송의 주 업무를 등한시하지는 않았고 당시 KBS 3TV는 교육방송이라는 특성상 아침 방송이 없는 대신 저녁 방송을 타 방송사보다 1시간 이른 4시 30분부터 시작했는데, 다른 방송채널들이 대부분 프로그램의 편성을 중단하던 와중에도 3TV 정규방송은 편성 중단없이 그대로 다 방송했다. 올림픽 중계는 원래 방송을 하지 않던 오전 시간대 및 낮 시간대에 방송했다.

2.2. EBS로 독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교육방송공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EBS의 전신 KBS3TV의 방송종료 영상
지난 10년간 저희 KBS 제3텔레비전을 시청해 주신 시청자 여러분 감사합니다.
방송을 통한 국민의 평생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지난 1981년 2월 2일 국내 최초로 UHF로 개국한 KBS 제3텔레비전은
방송구조 개편에 따라 12월 26일로 방송 제작업무를 종료하고
송출 부문을 제외한 모든 업무를 문교부[18]로 이관하게 됐습니다.
제3텔레비전은 그간 성인 대상 평생 교육 프로그램인 TV공개대학과,
국제화 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외국어 회화를 비롯해서
수준 높은 예술, 문화, 교양,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함으로써
교육 전문 채널의 사명과 역할에 충실하고자 노력해 왔습니다.
저희 KBS는 제3텔레비전으로 방송되던 수준 높은 프로그램 중에서
필요한 것은 제1텔레비전 제2텔레비전[19]을 통해서 계속 제작, 방송해 드리겠습니다.
저희 KBS는 12월 27일부터 제3텔레비전의 자체 프로그램 제작업무를 종료합니다.
지난 10년간 저희 KBS 제3텔레비전을 사랑해 주신 시청자 여러분께 거듭 감사를 드립니다.
출처:1991년 KBS 연지
1985년에는 KEDI 직제 개편으로 교육방송부가 '교육방송본부'로 승격되었고, 1989년 정관 개정에 따라 방송담당 부원장제가 신설되었다. 하지만 교육방송 운영과정에서 KEDI와 KBS간의 불협화음이 끊이지 않았고 이러한 이원화된 방송체계때문에 아예 교육방송을 따로 독립시키자는 의견이 제기되면서 결국, 1990년 12월 27일부로 KBS에서 분리되어 KEDI 교육방송본부는 '교육방송원'으로 개편된 후 완전히 KEDI 산하 방송국이 되어 EBS로 명칭을 변경했다.

1990년대 중반 당시엔 EBS를 KBS 3TV로 재통합하는 방안이 진지하게 논의되기도 했다. EBS가 KBS로부터 분리된 이후로 부족한 예산과 저조한 시청률로 인해 제기능을 못한다는 지적이 많았기 때문이었다. 만약에 이 당시에 재통합이 확정되었으면 EBS는 당대 방송정책의 난맥상을 보여주는 흑역사 방송국으로 이름을 남겼겠지만 이러한 논의는 KBS와 EBS 모두 탐탁지 않게 여기면서 현재까지도 별개의 방송국으로 운영되고 있다.

1997년부터 KEDI에서 분리되어 한국교육방송원이라는 독립 법인으로 개편된 후 2000년 6월부터 기존의 EBS를 재편해 한국교육방송공사로 출범하게 되었다.

3. 프로그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BS 3TV/프로그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KBS 3TV는 운영주체 이관으로 인한 제작 중단 및 폐국 직전까지도 HLQK-TV를 사용했으며 독립하여 재개국한 EBS TV가 호출부호로 HLQL-TV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그로부터 7년 뒤 '한국교육방송원법' 제정/시행에 따라 한국교육방송원으로 재편되면서 교육부로부터 완전히 독립한 이후의 일이었다. 교육FM 역시 처음에는 HLCO-FM을 받았으나 이후 HLQL-FM을 새로 부여받았다. 참고 자료: 1998년 전기연감(518p, 호출부호는 1996년 기준), 1999년 전기연감(486p) [2] 서울(남산) 지역 기준. 관악산, 용문산을 포함한 지방은 UHF로 송출되었다. 1987년 이전에는 남산도 UHF(CH 34)로 송출. [3] 다만 KBS 3TV에서 일요일을 제외하면 오전 방송은 일절 시행하지 않았기에, KBS 1TV와 MBC 아침시간을 이용하여 몇 년간 유지되어 왔으며, 가정고교방송 재방송이 폐지된 이후에도 1991년 봄 개편으로 2시간짜리 와이드 아침 종합뉴스인 KBS 뉴스광장 MBC 뉴스와이드를 론칭하기 이전까지 아침뉴스가 시작하기 전에 어학강좌 등 교육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관행이 남아있었다. [4] 1981년 3월 7일부터 1994년 9월 30일까지는 1TV도 상업광고를 제한적이지만 블록광고 형식으로 편성했었다. [5] EBS-TV 개국 이후로도 상업광고를 보내지 않았다가 1997년이 되어서야 상업광고를 시작하였다. 다만 공식적으로는 그런 것이고, 비공식적으로 이미 EBS-TV 개국초창기부터 방송제작비 충당 문제 때문에 협찬광고를 내보낸다는 명목으로 교양, 강좌 등 비교과계통 프로그램을 한정하여 교양프로그램 전후에 상업광고 몇편씩을 내보냈었다. 이게 공식화된 것이 1997년이라는 것. [6] 미국 PBS의 프로그램을 들여와서 방영하기도 했다. Sesame Street, The Electric Company 등이 대표적이다. [7] EBS로 채널로 바꾼 이후에 애니메이션을 하나둘 편성하기 시작했지만 1990년대 후반까지도 만화영화의 편성 비율이 그리 높지 않았다. EBS에서 애니메이션을 적극적으로 편성하기 시작한것은 1999년 이후의 일이었다. [8] 일본에서도 대한민국 EBS 수능특강과 비슷한 ' NHK 고교강좌'가 있으나 한국에 비하면 그 규모와 질이 정말 낮은 편이다. [9] KBS 3TV가 EBS로 변경된 후 몇년 뒤 다솜방송을 개국하게 된다. 다솜방송은 2015년 터너코리아(현 워너미디어코리아)를 통해 진출한 타임워너 계열 애니 채널 부메랑 코리아의 전신이다. [10] 이후 주한미군이 1996년부터 2012년까지 AFN Korea TV방송을 송출하는 대역이 되었다. [11] 이 당시의 시청률 조사방식은 전화설문조사였기는 했지만 시청률 조사방식이 달라도 어쨌든 시청률이 낮은 것은 분명한 사실이었다. [12] 오후 5시 15분에는 KBS 1, 2TV 화면조정시간이 개시되는 시간으로 특별한 경우가 있지 않으면 정규방송시간을 앞당기지 않는다. [13] 화면조정시간도 마찬가지로 4시 15분에 개시되었다. [14] MBC에서도 이와 같은 그림체 방식을 1984년까지 사용한 바 있었고 KBS를 비롯한 지방 방송국에서는 대략 1990년대 초반까지 이 형식을 사용했다. [15] 물론 KBS 1TV 및 2TV도 아무런 배경음 없이 "KBS 제1텔레비전입니다", "KBS 제2텔레비전입니다" 라고 배경화면과 함께 나레이션만 나오는 식이었지만 1984년을 기점으로 1TV는 풍경영상을 내보내는 식으로, 2TV는 애니메이션을 내보내는 방식으로 대체된 반면에 KBS 3TV는 ID영상을 풍경영상으로 대체한다거나 하는 것 없이 그대로 유지했다. 참고 [16] 다만 일부 지역국의 경우에는 1,2TV가 정적인 ID를 탈피했는데도 여전히 멘트와 함께 정적인 배경으로 처리하는 방식의 ID가 좀더 유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례로 KBS 부산의 경우 "KBS 부산방송총국 제X텔레비전입니다" 라는 멘트가 뜨기도 했다. 이 방식은 EBS로 독립한 후 초창기 ID 연출까지 잠깐이나마 고스란히 유지되었다. [17] 상업광고 편성을 하지 않았기에 비인기 종목 위주로 중계방송했다. 단적인 예로 경기시간이 4시간 넘게 걸리는 사이클 도로 경기 전체를 대한민국 방송역사상 전무후무하게 생중계해준 게 이곳이다. [18] EBS가 생겨남과 동시에 대한민국 교육부로 개칭되었다. [19] KBS 바둑왕전이 폐국 이후 KBS 2TV로 옮겼으며 2023년 현재는 KBS 1TV에서 방송하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