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지상파 | 공영방송 | |
|
|||
민영방송 | |||
|
|||
유료방송 | 채널사업자 | 종합편성채널 | |
|
|||
복수채널사업자 | |||
|
|||
일반채널사업자 | |||
<colbgcolor=#fff,#1f2023>
|
|||
플랫폼 |
위성방송
케이블 MSO
케이블 개별 SO
IPTV
|
||
제도 | |||
<colbgcolor=#fff,#1f2023> 영상물 등급 분류 제도 ·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시청 등급 분류 제도 · 애니메이션 의무 편성 제도 · 국산영화 의무 상영 제도 | |||
기관 | |||
방송통신위원회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 영상물등급위원회 | |||
분류 | |||
방송 · 뉴스 · 드라마 · 예능 · 교양 · 영화 · 애니메이션 · 라디오 · 매체별 방송 · 인터넷 방송 · 케이블 방송 · 텔레비전 방송 · 대한민국의 방송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라디오 방송 |
중파 초단파 |
|
단파 |
|
||
텔레비전 방송 |
지상파 DMB |
|
|
기타 |
|
||
폐국 |
제3중파방송 ·
라디오서울 ·
|
||
† 위탁송신, EBS 1, 2TV는 비수도권 한정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f2023> |
KBS NEWS D | }}} | ||
Digital · Disaster · Depth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국가 | <colbgcolor=#fff,#1f2023>[[대한민국|]] | ||||
개국 | 2021년 7월 19일 ([age(2021-07-19)]주년) | ||||
호출 부호 |
UHD MMS |
HLKA-UHDTV (서울) | |||
채널 번호 |
52 (수도권)|9-2 (가상) | ||||
방송 품질 |
화질 | 720p, 1080p[1] | |||
음향 | 2채널 돌비 디지털 | ||||
언어 | 한국어 | ||||
가시청권역 | 수도권[2] | ||||
운영 | 편성본부 | ||||
소유 |
[clearfix]
1. 개요
KBS에서 UHD 혁신서비스로 시작한 보도전문채널. 2021년 4월부터 디지털 매체를 중심으로 인터넷 뉴스 채널인 KBS 24시 뉴스를 현재의 KBS NEWS D로 개편하여 KBS의 MMS 채널 UHD 9-2에서 블록 형태로 편성되고 있다. 이후 연내 9-2 채널은 일반적인 24시간 뉴스 채널 NEWS D에서 재난 전문 채널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PD저널KBS는 KBS NEWS D 채널의 롤모델을 FOX가 2021년 개국한 FOX 웨더라고 설명한다. 김민철 KBS 재난미디어센터 팀장은 "미국의 대표적인 민영방송 채널인 폭스는 지난 10월 FOX 웨더 채널을 런칭하며 40명을 고용했는데, 기자와 앵커 22명 중 12명이 기상학자"라고 말하며, 현재 재난방송 명목으로 방송중인 ‘D-Live’의 경우, 월~금 2시 30분부터 4시까지 90분 생방송을 하는데 기자 6명이 투입된다고 말한다. 이런 방송을 주 7일, 24시간 하기 위해선 더 많은 인력과 예산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일례로 일본의 웨더뉴스도 진행캐스터 10명과 기상전문가 7명이 돌아가며 3시간씩 진행하고, 평상시 심야엔 자막과 그래픽을 반복해서 송출하고 있다. 현재 시범서비스 중인 재난 등 보도전문채널에 대해선, 2022년 내로 법제화를 거쳐 2023년부터 본방송을 한다는 게 방통위 계획이다. 기자협회보
2. 역사
KBS는 2020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7월 올림픽 전문 채널로 첫 MMS 채널을 론칭하였다. 올림픽 기간 중에도 부가 채널로 KBS NEWS D를 송출하고 있었으나,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가구에만 해당되었고, 이후 올림픽이 끝난 뒤 UHD 9-2 채널을 KBS NEWS D로 전환하였다. KBS NEWS D의 전신인 온라인 채널 KBS 24시 뉴스는 2010년 3월 3일 ([age(2010-03-03)]주년)에 개국하였고, 2021년 5월부터 KBS NEWS D 브랜드를 도입하였다.방통위는 2022년 론칭을 목표로 KBS와 손잡고 재난전문방송을 송출하기로 계획하고 있다. 이용자 입장에선 MMS 채널이다보니 자연스럽게 리모컨으로 채널을 돌리다 재난전문채널을 시청할 수 있다.
방통위는 재난방송 정보의 핵심플랫폼 역할을 할 '재난방송 종합정보센터'를 구축해 모든 방송사가 보다 심층적인 재난방송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24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재난방송 종합상황실'도 방통위에 구축해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한다. 이와 함께 생생한 재난정보 전달을 목표로 방송사의 취재인력이 닿지 않는 전국 곳곳에 이장·통장·방송사 교통통신원 등으로 구성된 1만 명 규모의 '시민안전통신원'을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재난 현장영상 촬영, 재난관련 콘텐츠 재제작·공유 교육 등을 실시하겠다는 계획이다. 머니투데이
3. 상징
3.1. 로고
|
|
2021년 7월 19일 ~ 현재[3] | 2021년 8월 30일 ~ 현재 |
3.2. Depth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