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 |
<tablebgcolor=#97d2fd><tablebordercolor=#97d2fd> |
등장인물 [[은혼/장편 시리즈| 장편 ]]
|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00"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무라타 테츠야 | 하야시 류잔 · 502호 | 이토 카모타로 | 오토히메 · 카메나시 | |
게이머 성인 | 키라라 · 우라라 | 이와 · 레이 | 백혈구왕 · 폴테가 · 바쿠 | |
호우이치 | 후미코 · 베이다 | 히지카타 타메고로 | 사카타 킨토키 | |
토키코 | 오비 하지메 | 이케다 야에몬 · 이케다 아사에몬 | 도자에몬 |
[1]
土方爲五郞, Hijikata Tamegorou.
타메고로라는 이름은 히지카타의 모티브인 히지카타 토시조의 친형 히지카타 타메지로에게서 "타메"를, 히지카타 토시조의 매형이자 신선조의 후원자였던 사토 히코고로에게서 "고로" 를 각각 따와서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은혼 바라가키편에서 언급되는 인물. 히지카타 토시로는 첩의 자식이었으므로 본처 소생인 형과는 배다른 형제였다. 집안 뿐 아니라 본가의 마을에서 천대받던 토시로에게 유일하게 상냥하게 대해준 게 바로 맏형 타메고로. 비록 한마디밖에 없었지만 성우는 사쿠라이 토오루[2].
그러나 강도들이 쳐들어 온 날, 동생을 보호하려다가 그만 눈을 잃게 된다. 이를 목격한 토시로는 분노하여 괴한들을 모조리 소도로 도륙했다. 이 사건이 바로 토시로가 바라가키라 불리게 된 사건.[3]
토시로가 진선조로 떠난 이후로 직접적인 교류는 없었으며 매번 편지를 보내는 것이 유일한 대화였다. 하지만 어째서인지 타메고로 본인은 토시로가 보낸 편지에 답장을 보내지 않았는데...
바라가키편 마지막에 밝혀지지만, 작중 시점에서는 고인. 즉, 작중이 시작되기 전 이미 사망했다고 밝혀졌다.
그 사건 이후 교류가 없었던 것 같았지만 진선조가 되어 떠나기 하루 전에 딱 한 번 형의 집에 찾아온 적이 있었다. 이후 떠나기전 토시로에게 편지 보내라는 말을 남겼고 히지카타는 쿨하게 말없이 나갔으니 진선조로 지내는 이후로도 형에게 편지를 보내왔었다.
하지만 그 날의 사건으로 눈을 크게 다쳐 실명했기 때문에 편지를 읽을 수 없어서 타메고로의 아내[4]가 대신 읽어줬는데 사실 그 편지는 백지였다. 이것을 알게 된 사사키 테츠노스케인 토시로의 형수는 형제 사이에 달리 말이 필요없는 끈끈한 우정으로 이어져 있다고 해석했다. 그 때 형수는 "그 사람은 동생의 편지를 읽으며 매일 웃었죠. 그가 떠난 이후엔 제가 남편의 묘로 와서 편지를 읽고 있어요."라고 말했다.
사실 백지로 보낸 이유는 별 건 아니고 히지카타가 쓸 말을 못 찾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지를 보내달라는 형의 말대로 매번 보냈던 것.
그런 백지의 편지에도 매번 웃었는 걸 보면 토시로가 쓸 말을 못찾았으나 편지를 보내달라는 자신의 말에 꼬박꼬박 보내는 게 귀엽게 보였거나 그래도 살아있다는 사실을 알고 기뻐한 것으로 보인다. 즉, 상술한 테츠의 해석이 틀리지는 않은 셈.
[1]
왼쪽이 히지카타 타메고로, 오른쪽은 어렸을 때의
히지카타 토시로.
[2]
토시, 편지 보내렴
[3]
이 날 이후 형을 지키지 못한 무력감에 토시로는 모든 도장에 싸움을 걸고다니며 도장깨기를 하고 다녔는데 자신을 지키려던 형이 그렇게 된 죄책감에 스스로를 싸움에 몰아넣으며 학대하고 싶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4]
성우는
후카미 리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