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01 20:28:09

한창여객

파일:연제구 CI.svg 부산광역시 연제구의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2438f><colcolor=#fff> 시내버스 국제여객 동원여객 삼성여객 한창여객
마을버스 연산버스 연제교통 태성여객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
}}}}}}}}} ||
한창여객 주식회사
韓昌旅客 株式會社
Hanchang Transport Co., Ltd.
업종명 운수업
설립일 1967년 10월 11일
대표 이수열
본사 부산광역시 연제구 월드컵대로 420 ( 거제동)
전화번호 051-809-5306
면허대수 시내: 정규 63대, 예비 3대
마을: 정규 6대, 예비 1대
자본금 1억원 (2022.12)
매출액 180억 3,847만 8,063원 (2022)
영업이익 2억 6,321만 5,560원 (2022)
순이익 3억 4,258만 4,251원 (2022)
자산총액 103억 7,429만 5,116원 (2022.12)
주주 이수열: 30.00%
이균필: 15.00%
이정희: 13.00%
이성연: 12.00%
이정연: 10.00%
이경민: 10.00%
이현정: 10.00%
임직원 173명 (2022.12)
1. 개요2. 차고지
2.1. 과거에 사용했던 차고지
3. 면허 체계
3.1. 타 회사 출신 면허
4. 차량운용대수5. 운행 노선6. 폐선·철수한 노선7. 현재 보유차량8. 과거 보유차량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운수회사. 본사는 연제구 월드컵대로 420 ( 거제동)에 위치한 연제공용차고지에 있다.

1960년에 금성교통으로 설립하였다.

1982년에 세륭여객을 분리독립시키며 28번을 세륭여객에 넘긴다.[1] 이때 금성교통에서 현재의 한창여객으로 사명을 변경한다.

운행노선은 33번, 33-1번, 133번 단 3개 노선이지만 차량대수가 50대를 넘고 33번과 133번 둘 다 수요와 수익이 무지막지한 노선이라[2] 한창여객의 미래를 밝혀주고 있다. 심지어 33번의 경우 노선 대부분이 도시철도와 겹치는데도 가축수송에 몸살을 앓는다.

이 회사는 차량 대차 관련 특이점이 있는데 오래전부터 한 번에 차량을 몰아서 대차하는 것이 거의 전통[3]처럼 되어 있다. 물론 물갈이 시즌이 아닐 때에도 드문드문 신차를 들여오기는 하지만 그 수가 매우 적으며 이 회사의 경우 9~10년 간격으로 한번에 수십대의 신차를 투입한다. 또다른 특징으로는 부산진15를 제외하면 모두 33이 들어간다.

차량은 전 차량 현대버스를 운용한다. 2006년까지는 현대버스와 대우버스를 섞어가며 출고했지만 2007년부터는 현대버스만을 출고하기 시작했으며 2006년식 BS090이 2014년 8월에 대차되면서 대우버스는 전멸되었다.[4]

부산에서 AM927/937 차량을 가장 많이 운행한 업체이자[5] 마지막까지 AM937E 입석차량을 운행한 회사이며, 부산에서 유일하게 AM937E 냉방차량[6]을 운행했던 회사로도 유명하다.[7] 좌석버스로도 과거 33번 좌석에 AM937 차량을 주력으로 운행하기도 했다. 부산에서 아시아자동차의 차량을 일반, 좌석버스로 모두 운행한 유일한 회사이기도 하다.[8]

2004년 대경교통 폐업 때에 53번, 83-1번 노선 운용 지분과 차량을 몇 대 들여왔다.[9] 그러나 53번은 낮은 수요와 133번과의 중복으로 폐선하였다.

이 회사에 다녔던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디젤이 구형 뉴 슈퍼 디젤보다 먼저 대차됐다.

연제공용차고지의 좁은 부지로 인해 전기버스가 아직 없다. 같은 입주 업체인 국제여객과 동원여객도 마찬가지.[10]

2. 차고지

영업소 소재지 보유 노선 CNG충전소 전기충전소 비고
본사( 연제공용차고지) 부산광역시 연제구 월드컵대로 420 ( 거제동) 33번, 33-1번, 133번 시종착
부산진15번 주박
O X

2.1. 과거에 사용했던 차고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성지로 130 ( 초읍동) - 구. 본사. 연제공용차고지로 이전 후 현재는 15층 아파트가 들어섰다.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새싹로 284 ( 초읍동) - 문수주차장으로 민간주차장이었다. 운휴차량 차고지이기도 해서 가끔씩 이곳에 자사 시내버스이나 마을버스가 주차되어 있는걸 볼 수 있었다. 현재는 요양병원과 초읍동주민센터가 들어섰다.
  • 만덕영업소: 부산광역시 북구 상학로 38-39( 만덕동 811번지) - 33번 회차지점 / 33번, 133번 주박
    1973년 만덕1동 택지개발과 함께 부지를 매입하여 차고지로 사용하였다. 당시 111번, 120번의 기점이었고 당시 국일여객의 차고지였다. 1984년에 111번이 화명동으로 연장되고, 120번은 대도운수로 넘어갔다. 또한 국일여객도 삼진여객에 합병되었다. 1984년 이후 부터 쭉 75번의 차고지로 사용되었다. 75번이 폐선된 이후에는 첫차 승객과 막차 승객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33번과 133번 익일 새벽시간 기점행 운행 차량이 일부 주박했었다. 이후 만덕5구역 재개발로 인해 2017년에 차고지가 폐쇄되었으며 차고지 부지에는 금정산e편한세상이 들어섰다. 33번은 현재도 금정산e편한세상 주위를 한바퀴 돌아서 회차한 뒤 금정산뉴웰시티아파트에서 휴식을 취한다.

3. 면허 체계

  • 부산 70 자 5201 ~ 5267
    • 한창여객 주 면허.
  • 부산 71 자 36##호 전반부[11]
    • 한창여객의 좌석버스 면허. 일반버스와 달리 화진여객(현 태영버스), 해동여객보다 더 뒤의 면허를 받았다.
  • 구 번호판: 부산 5 자 20##

3.1. 타 회사 출신 면허

  • 부산 70 자 1402, 1405, 1408, 1410, 1418, 1421호
    • 구.대경교통 면허. 53번과 83-1번을 인수하면서 넘어왔다.

4. 차량운용대수

  • 시내버스
    • 33번: 25대
    • 33-1번: 15대
    • 133번: 23대
    • 예비차: 3대
    • 도합: 66대
  • 마을버스
    • 부산진15번: 6대
    • 예비차: 1대
    • 도합: 7대

5. 운행 노선

5.1. 시내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33 연제공용차고지 시민도서관 - 부산진고교 - 부산시민공원 - 하마정 - 부전시장 - 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 부산진우체국 - 개금역 - 주례역 - 서부시외버스터미널. 사상역 - 북부면허시험장 - 모라역 - 구포시장 - 덕천역 - 남산정역 - 만덕그린코아 - 만덕역 구만덕 7~9
33-1 부산의료원 - 사직역 - 미남역 - 제1만덕터널 - 만덕역 - 구만덕 - 남산정역 - 덕천역 - 구포시장 - 모라역 - 북부면허시험장 서부터미널 9~11
133 시민도서관 - 어린이대공원 - 부산진구청 - (← 전포역 ←) - 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 부산진우체국 - 개금역 - 신주례LG아파트 - 백양마을 - 서부산공업고등학교 - 모라역 - 구포시장 - 덕천역 - 남산정역 - 만덕그린코아 - 백운공원 - 만덕그린코아 - 만덕초읍터널 연제공용차고지 11

5.2. 한창버스 마을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부산진
15
원당골 초읍초등학교 - 어린이대공원 - 삼광사 - 부암교차로 - 부산진구청 롯데호텔백화점. 서면역 10

6. 폐선·철수한 노선

7. 현재 보유차량

7.1. 현대자동차

8. 과거 보유차량

8.1. 자일대우버스

8.2. 현대자동차

8.3. 기아


[1] 세륭여객은 이후 87년도에 태진여객의 계열사가 되면서 사명을 대일여객으로 변경하여 운행하다가 2004년 태진여객에 인수된다. [2] 33번과 133번 두 노선 다 운송수익금이 상위 30위권의 흑자노선이다. 33번은 하루 평균 이용객수가 약 2만 4천명으로 부산에서 가장 많은 승객수를 자랑하며 133번도 약 1만 6천여명이 이용하는데 특히 운송수입금은 꾸준히 60만원을 넘긴다. [3] 유사한 사례로 경기도 용인시 경남여객이 있다. [4] 이중 BS106은 2012년에 조기대차되어 아산여객으로 넘어갔었다. [5] 다만 좌석버스는 부산여객에 더 많았다. [6] 95년식 냉방초기형으로 저전고형 차량이었다. 부산에서 고전고형 AM937은 좌석버스 이외에는 운행하지 않았다. [7] 잘 다니던 AM937E중 1대가 2000년 중순 즈음 브레이크 파열 사고가 나자 멀쩡하던 다른 차까지 몽땅 교체시켜 버렸다. 하지만 96년도 이후로 AM937E를 전혀 구매하지 않은 것을 보면 언제부터인가 아시아자동차에 그다지 눈길을 주지 않았던 모양이다. 우연의 일치인지 대구에서도 AM937E 입석차량을 마지막으로 운행한 회사인 경상버스의 번호도 대구 70 자 52XX이고 부산에서 AM937E 입석차량을 마지막으로 운행한 한창여객 역시 부산 70 자 52XX의 번호를 사용한다. 부산에서 AM을 가장 많이 운용한 업체지만 AM907은 단 한대도 운행하지 않았다. [8] 동원여객 화신여객은 일반버스만, 부산여객, 삼신교통, 삼화PTS, 구 우진공항버스는 좌석버스만 운행했다. [9] 이 과정에서 부산 70 자 1402, 1405, 1408, 1410, 1418, 1421호가 유입되었다. 본래 대경교통과 한창여객은 차고지가 건물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었다. [10] 국제여객의 계열사인 ㈜서호는 전기버스가 있고, 동원여객은 다대포영업소 소속으로 수소버스가 있다. [11] 3600호대 단위 후반부는 태화교통(현 태영버스) 주 면허이다. [12] 삼화PTS에 합병되었다. [13] 2호선 개통으로 승객 감소가 심해져서 폐선된 노선. 33번과 달리 진시장으로 갈 때 신만덕 방향으로 운행했다. [14] 대공원 셔틀버스로 1번도 있었으나 둘 다 공기수송으로 폐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