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90c23, #c8102e 20%, #c8102e 80%, #990c23);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1공화국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카를 레너 | 미하엘 마이어 | 요한 쇼버 | 발터 브라이스키 | |
제3대2 | 제5대 | 제6대 | 제5대2 | |
요한 쇼버 | 이그나츠 자이펠 | 루돌프 라메크 | 이그나츠 자이펠 | |
제7대 | 제3대3 | 제8대 | 제9대 | |
에른스트 슈트레루비츠 | 요한 쇼버 | 카를 바우고인 | 오토 엔더 | |
제10대 | 제11대 | |||
카를 부레슈 | 엥겔베르트 돌푸스 | |||
연방국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
엥겔베르트 돌푸스 | 쿠르트 슈슈니크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
제2공화국 | ||||
초대2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카를 레너 | 레오폴트 피글 | 율리우스 랍 | 알폰스 고르바흐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요제프 클라우스 | 브루노 크라이스키 | 프레트 지노바츠 | 프란츠 프라니츠키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빅토르 클리마 | 볼프강 쉬셀 | 알프레트 구젠바우어 | 베르너 파이만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6대2 | |
크리스티안 케른 | 제바스티안 쿠르츠 | 브리지테 비어라인 | 제바스티안 쿠르츠 | |
제28대 | 제29대 | |||
알렉산더 샬렌베르크 | 카를 네하머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51905, #C8102E 20%, #C8102E 80%, #B51905); min-height: 31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카를 자이츠 | 미하엘 하이니슈 | 빌헬름 미클라스 | 카를 레너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테오도르 쾨르너 | 아돌프 샤프 | 프란츠 요나스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쿠르트 발트하임 | 토마스 클레스틸 | 하인츠 피셔 |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 |
프랑크 ·
동프랑크 ·
신성 로마 오스트리아 제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오스트리아 관련 직위: 오스트리아 총리 |
}}}}}}}}}}}} |
오스트리아 제12대 총리 | |
오스트리아 제3대 연방대통령 카를 레너 Karl Renner |
|
|
|
<colbgcolor=#000><colcolor=#FAE102> 출생 | 1870년 12월 14일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돌니 두나요비체 | |
사망 | 1950년 12월 31일 (향년 80세) |
오스트리아 공화국 빈 | |
재임기간 | 초대 연방총리 |
1918년 10월 30일 ~ 1919년 10월 21일 | |
제12대 연방총리 | |
1945년 4월 27일 ~ 1945년 12월 20일 | |
제3대 연방대통령 | |
1945년 12월 20일 ~ 1950년 12월 31일 | |
정당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사민당 ]]
|
가족 | 배우자 루이즈 레너 |
경력 |
내무부 장관 외무부 장관 오스트리아 초대·제12대 연방총리 오스트리아 제3대 연방대통령 |
[clearfix]
1. 개요
오스트리아의 초대 및 제12대 연방총리이자 제3대 대통령으로 현대 오스트리아 공화국의 국부로 간주된다.2. 생애
제1차 세계 대전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패배로 끝나고 찾아온 전간기 오스트리아에서는 사회민주당의 지지세가 매우 높았고, 공산당과 끝없이 투쟁해야 했던 독일 본토의 사회민주당과는 다르게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은 장애물 없이 노동자들의 몰표를 받았기 때문에 공산당에 의해 위협받을 일도 없었다.카를 레너는 이 사회민주당의 수장으로 초대 총리가 되어 독일계 오스트리아 공화국의 대독일 통일을 제창했지만 협상국에 의해 거부당했고, 오히려 티롤과 주데텐란트 지방을 잃으면서 정치적으로 타격을 좀 입었다. 그럼에도 1918년부터 1920년까지 무난하게 총리로 재임하며 공화국 오스트리아의 기반을 닦았다.
향후 레너는 사회민주당 정치인으로서 계속 활동하지만, 나치가 오스트리아를 합병했을 때 여기 어울리지 않고 정치에서 완전히 은퇴한 뒤 나치의 협력 제안을 원천 거부한다. 당초에는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합병에 찬성하였으나 순간의 광기로 끝날 줄 알았던 나치즘이 오스트리아까지 완전히 지배해버리게 되자 거리를 두게 된 것에 가깝다. #
이 영향인지 소련군이 오스트리아에 진주하자 레너를 총리로 추대했는데, 레너는 연합군 군정기에 사회민주노동당(SDAPÖ)의 당수이자 총리로서 오스트리아 공화국의 재건국을 진두지휘했다. 당시 소련의 요구로 내각 장관의 1/3과 내무장관, 교육부 장관을 공산당원으로 임명하긴 했지만 동시에 두 부서의 차관 두 자리에 공산당이 아닌 인사를 임명하여 오스트리아 공화국이 소련의 희망대로 공산화되거나 독일처럼 분단되는 것을 막았다. 오히려 소련에서 오스트리아 독립을 위해 자신들을 이용한 것이 아닌지 의심했을 정도다. 원로로서의 본인의 인망 역시 높은 편이어서 미국의 해리 S. 트루먼 대통령 역시 레너를 소련의 괴뢰 정치인이라 의심하지 않고 믿을 만한 정치인으로 인식하여 신뢰를 보냈다.
동독의 오토 그로테볼이나 북한의 조만식처럼 소련에 의해 '공산국가가 아닌 나라를 세우려는 겉포장'처럼 이용되다가 버려질 수도 있었지만, 그런 상황에서도 오스트리아가 분단되지 않고, 또 공산화되지도 않고 남은 것은 레너의 업적인 셈. 결국 소련의 기대와 달리, 1945년 11월 열린 전후 첫 총선에서 레너와 사회민주당은 76석을 확보해 겨우 4석 확보에 그친 공산당을 압도했고 보수 성향 인민당과 대연정을 구성해 공산당의 영향력을 배제하는 데 성공했다. 이 공로에 힘입어 12월 20일, 총선 결과에 따라 재건된 의회에서 대통령으로 추대되어 오스트리아의 세번째이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첫 대통령 자리에 오른다.
여기에는 특기할 만한 점도 있는데, 동독의 군정지휘관이었던 소련군 바실리 소콜롭스키 원수나[1] 북한 지역의 내정을 치스차코프 장군 대신 맡아 공산당 아닌 정치세력을 모두 극렬히 탄압한 정치장교 출신 테렌티 시티코프 장군에 비해 오스트리아에 진주한 표도르 톨부힌 원수는 특이하게도 소련 내에서도 덕장으로 유명한 인물로, 본래 소련에 피란을 와 있던 오스트리아의 망명 공산주의자로 공산국가를 세우려던 스탈린의 계획에 반대하고 현지의 명망있는 정치인으로 레너를 선택해 스탈린의 마음을 돌리게 해 결과적으로 레너에게 큰 도움을 주었다.
그렇게 1950년 12월 31일, 대통령 임기 중 사망했고 사후 빈에 있는 중앙 묘지 대통령 무덤에 안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