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크어족 Turkic Language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
보편 튀르크어파 | 차가타이어파 | 동부 차가타이어파 | 위구르어 · 에이누어 · 일리 투르키어 | |
서부 차가타이어파 | 우즈베크어 · 우즈베크 남부 방언 | ||||
차가타이어† | |||||
오구즈어파 | 동부 오구즈어파 | 투르크멘어 · 우즈베크 오구즈 방언 · 호라산 튀르크어 | |||
서부 오구즈어파 | 튀르키예어 · 아제르바이잔어 · 가가우즈어 · 오스만어† | ||||
남부 오구즈어파 | 카슈카이어 · 아프샤르어 · 차하르마할어 · 아이날루어† | ||||
살라르어 | |||||
시베리아어파 | 남시베리아어파 | 사얀어파 | 투바어 · 토파어 · 두하어 | ||
알타이어파 | 북부 알타이어 | ||||
예니세이어파 | 서유구르어 · 하카스어 · 푸위 키르기스어 · 쇼르어 | ||||
출름어파 | 출름어 | ||||
북시베리아어파 | 돌간어 · 사하어 | ||||
킵차크어파 | 킵차크-노가이어파 | 카자흐어 · 시베리아 타타르어 · 노가이어 · 카라칼파크어 · 페르가나 킵차크어† | |||
킵차크-불가르어파 | 바시키르어 · 타타르어 | ||||
킵차크-쿠만어파 | 카라차이-발카르어 · 쿠미크어 · 크림 타타르어 · 카라임어 · 우룸어 | ||||
킵차크-키르기즈어파 | 남부 알타이어 · 키르기스어 | ||||
아르구어파 | 할라지어 | ||||
오구르어파 | 추바시어 · 불가르어† |
추바시어 Чӑвашла Чăваш чĕлхи Chuvash language |
||
<colcolor=#fff,#000><colbgcolor=#00b5cc> 유형 | 교착어 | |
어순 |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 |
서자방향 | 좌횡서 | |
문자 | 키릴 문자 | |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 [[추바시야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
|
원어민 | 104만 명 | |
계통 |
튀르크어족 오구르어파 추바시어 |
|
언어 코드 | <colcolor=#fff,#000><colbgcolor=#00b5cc> ISO 639-1 | CV |
ISO 639-2 | CHV | |
ISO 639-3 | CHV | |
글로톨로그 | chuv1255 |
[clearfix]
1. 개요
러시아의 볼가 강 유역에 위치한 추바시야 공화국에서 쓰이는 언어이자 추바시인들이 쓰는 언어로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17세기 후반부터 러시아 제국 정부에서는 토속 신앙을 믿는 추바시인들을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시키기 위해 추바시어가 구사 가능한 선교사들을 파견하였는데, 선교사들에 의해 1769년부로 추바시어 문법책이 출간되었으며, 1873년에 추바시인 교육자 이반 야코블레프(Иван Яковлев, 1848년 4월 25일 ~ 1930년 10월 23일)에 의해 키릴 문자가 추바시어에 도입되었다.2. 계통
추바시어가 속하는 오구르어파는 튀르크어족의 언어 중 가장 먼저 갈라져나온 것으로 추정되며, 원래는 하자르 칸국의 하자르어나 불가르 칸국의 불가르어와 같이 오구르어파를 이루고 있었으나 하자르족이 멸망하고 불가르인들이 점차 슬라브화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오구르어파에는 추바시어만 남게 되었다. 가장 먼저 다른 튀르크어와 갈라졌기 때문에 다른 튀르크어와는 차이점이 큰 편으로, 당연히 다른 튀르크어와는 말이 통하지 않는다. 그래서 원시튀르크어를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있어서는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언어로 떠받들어지고 있다.3. 문자와 발음
문자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ӑ/ə/, ӗ/ɘ/, ҫ/ɕ/, ӳ/y/의 네 글자가 추가로 사용된다. 발음 면에서는 특이하게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분이 없으며, 모음 사이에 오는 무성음 к, п, с, т 등은 유성음으로 발음된다. 이 점은 역시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분이 없고, 마찬가지로 ㄱ, ㅂ, ㅈ, ㄷ 등이 모음 사이에 유성음으로 발음되는 한국어의 특성과 거의 비슷하다. 또한 추바시어는 중국어나 러시아어처럼 치경구개음과 권설음이 모두 있는 언어인데, ҫ/ɕ/와 ш/ʂ/의 두 발음은 추바시어에서는 서로 구별되는 발음이다. 모음의 경우 아래 표처럼 모음조화 역시 존재한다.전설모음 | е/ɛ/ | ӗ/ɘ/ | и/i/ | ӳ/y/ |
후설모음 | а/a/ | ӑ/ə/ | ы/ɯ/ | у/u/ |
다른 튀르크어와 비교해 보면 공통 튀르크어의 y 발음은 추바시아어에서는 ҫ 내지는 ч에 대응된다. (예: ҫул "길", чӗре "마음") 또한 원시 튀르크어의 ĺ, ŕ 발음이 ş, z 발음으로 변하지 않고 남아 있는 것도 특징이다. (예: кӗр "가을", хӗл "겨울")
{{{#!folding 【문자 목록 보기】 |
문자 (대문자/소문자) |
이름 | 발음 | ||
А а | а | /a/ | |||
Ӑ ӑ | ӑ | /ə/ | |||
Б б | бӑ | /b/ | |||
В в | вӑ | /ʋ/ | |||
Г г | гӑ | /ɡ/ | |||
Д д | дӑ | /d/ | |||
Е е | е | /ɛ/ | |||
Ё ё | ё | /ʲo/ | |||
Ӗ ӗ | а | /ɘ/ | |||
Ж ж | жӑ | /ʐ/ | |||
З з | зӑ | /z/ | |||
И и | и | /i/ | |||
Й й | йӑ | /j/ | |||
К к | кӑ | /k/ | |||
Л л | лӑ | /l/ | |||
М м | мӑ | /m/ | |||
Н н | нӑ | /n/ | |||
О о | о | /o/ | |||
П п | пӑ | /p/ | |||
Р р | рӑ | /r/ | |||
С с | сӑ | /s/ | |||
Ҫ ҫ | ҫа | /ɕ/ | |||
Т т | тӑ | /t/ | |||
У у | у | /u/ | |||
Ӳ ӳ | ү | /y/ | |||
Ф ф | фӑ | /f/ | |||
Х х | хӑ | /χ/ | |||
Ц ц | цӑ | /ts/ | |||
Ч ч | чӑ | /tɕ/ | |||
Ш ш | шӑ | /ʂ/ | |||
Щ щ | щӑ | /ɕː/ | |||
Ъ ъ | хытӑлӑх палли | /-/ | |||
Ы ы | ы | /ɯ/ | |||
Ь ь | ҫемҫелӗх палли | /ʲ/ | |||
Э э | э | /e/ | |||
Ю ю | ю | /ju/ | |||
Я я | я | /ja/ |
4. 문법
어순은 SOV 어순을 띠고 있다.추바시어 명사는 주격과 속격(-ӑн), 대격(-на), 처격(-ра), 탈격(-ран), 조격(-па)의 6개 격을 가지고 있다. 격변화 형태는 모음조화나 자음동화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복수형은 -сем으로 끝난다. 그래서 추바시인을 가리키는 말도 чăвашсем이다.
5. 기타
문명 5 훈족의 지도자 아틸라가 해당 언어를 사용한다. 실제 훈족의 언어를 고증할 수 없기 때문에 대체제로 추바시어를 사용한듯 하다.추바시어 위키백과가 존재한다.
들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