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20:22:38

평장사

중서시랑평장사에서 넘어옴
1. 개요2. 구성과 연혁3. 역임 인물
3.1. 초대 태조3.2. 2대 혜종3.3. 3대 정종3.4. 4대 광종3.5. 5대 경종3.6. 6대 성종3.7. 7대 목종3.8. 8대 현종3.9. 9대 덕종3.10. 10대 정종3.11. 11대 문종3.12. 12대 순종3.13. 13대 선종3.14. 14대 헌종3.15. 15대 숙종3.16. 16대 예종3.17. 17대 인종3.18. 18대 의종3.19. 19대 명종3.20. 20대 신종3.21. 21대 희종3.22. 22대 강종3.23. 23대 고종3.24. 24대 원종3.25. 25대 충렬왕3.26. 26대 충선왕3.27. 27대 충숙왕3.28. 28대 충혜왕3.29. 27대 충숙왕(후)3.30. 28대 충혜왕(후)3.31. 29대 충목왕3.32. 30대 충정왕3.33. 31대 공민왕3.34. 32대 우왕3.35. 33대 창왕3.36. 34대 공양왕


平章事

1. 개요

고려 중서문하성의 정2품직으로 재추에 해당한다.
오늘날 행정부의 부총리에 해당한다. 조선 시대의 좌찬성, 우찬성에 해당하는 직급이다.

2. 구성과 연혁

평장사는 수상 문하시중 다음가는 재신(宰臣)으로 문하시중이 없을 경우 평장사 중 판이부사가 수상, 판병부사가 아상(亞相, 부총리)이 되었다. 각부의 판사 등을 겸직했고 도병마사( 도평의사사)와 같은 재추회의에서 국가 중대사를 논의했다.

성종 당나라 관제를 수용하면서 중서문하(정사당)의 평장사직도 함께 들어왔다. 고려의 평장사는 중국사와 달리 중서·문하 시랑직과 일치된 형태였는데, 평장사직은 처음부터 중서성과 문하성의 합좌 회의에 참석할 자격을 나타내던 호칭에서 유래되었으므로 고려 중서문하성의 단일 기관적 성격을 드러낸다. 처음에는 내사평장사가 상위직이었던 것으로 보이나 이후 문하평장사가 상위직이 되었다. 문종 때 내사성을 중서성으로 개칭하면서 내사평장사도 중서평장사로 개칭하였다. 중서평장사는 내사평장사의 후신이므로 문하평장사가 상위직이었다.

고려사 백관지에 따르면 정2품 각 1인씩으로 문하시랑평장사, 중서시랑평장사가 있었고, 또 중서·문하에 각각 평장사를 두었다는 애매한 문장이 나온다. 이는 일반적으로는 평장사직이 문하시랑평장사 - 중서시랑평장사 - 문하평장사 - 중서평장사 4종류로 구성되었다는 뜻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고려사 개별 기사나 금석문에 따르면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 중서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 문하시랑 평장사 - 중서시랑 평장사 순의 4종류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원 간섭기로 인해 시행된 충렬왕 관제에서는 중서문하성이 첨의부로 바뀌고 평장사도 찬성사로 바뀌면서 길고 복잡한 동중서문하평장사의 명칭이 사라지고 단지 첨의시랑찬성사 - 첨의찬성사로만 구분하게 되었다. 공민왕 관제에서는 문종 관제를 복구했다고 하지만 여전히 문하평장사와 중서평장사가 정식 관명이었다. 고려사 백관지의 애매한 설명은 이러한 요인들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평장사직의 구성은 복잡했지만 어떤 큰 차이가 있다기보다는 연공서열에 따른 대우와 관련된 것이었기 때문에 꼭 4명으로 구성된 것은 아니었고, 정원도 들쭉날쭉해서 여러 사람이 같은 평장사직에 오르는 경우도 있었다.

평장사는 고려 후기에 여러 번 개칭되는데, 1275년 충렬왕이 중서문하성을 첨의부로 고치면서 찬성사(첨의시랑찬성사, 첨의찬성사)로 고쳤고, 1298년 충선왕이 재상이 너무 많다며 찬성사직을 전부 폐지했다가 다시 복원하였다. 1308년부터 잠시 중호(中護)로 개칭하고 정원을 3명 둔 적도 있었다. 공민왕 때 문종 대의 관제를 복구하여 평장사로 고쳤다가, 이후 평장정사(平章政事)[1],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으로 개칭하였다.

조선 건국 후 문하시랑찬성사로 이어졌다가 1401년(태종 1) 관제 개편으로 의정부 찬성사로 개칭되고, 이후 좌·우 찬성으로 바뀌었다.[2]

3. 역임 인물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평장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colcolor=#373a3c,#ddd> [내의성] 평장사
최언위
문벌귀족기
(981~1170)
[내사문하성] 평장사
최승로 서희 최량 왕융 한인경 유방헌 위수여 진적 유진 최사위 최사위 김심언 진적 이예균 왕동영 최항 최항 강감찬 강감찬 유방 장영 최항 채충순 유방 이공 이공 서눌 서눌 류소 이단 이단 이단 황보유의 이단 류소 황보유의 박충숙 유징필 황주량 황주량 최충 최제안 황보영 이작충 최충 황보영 김영기 김원충 김원충 이자연 이자연 왕총지 김정준 박성걸 김정준 김원정
[중서문하성] 평장사
김원정 최유선 임종일 김의진 왕무숭 이정 문정 김약진 이정공 최석 이정공 김양감 최석 김양감 류홍 왕석 김행겸 류홍 최사제 정유산 이안 소태보 소태보 이자위 김상기 류석 김상기 임개 최사추 김선석 황영 최사추 위계정 김선석 임간 임간 이오 이오 위계정 오수증 최홍사 최홍사 이오 윤관 김경용 임의 임의 김경용 오연총 허경 오연총 이위 임간 허경 이자겸 김연 이자겸 김연 조중장 강증 김연 오수증 조중장 김준 임유문 김준 한안인 이자량 김고 임유문 최홍재 김약온 김약온 척준경 척준경 이수 이수 박승중 척준경 김부일 김향 최홍재 최사전 김향 문공인 최자성 최자성 김부식 이준양 임원애 최유 임원준 이자덕 최유 이중 이중 최진 최진 한유충 왕충 임원숙 이인실 이인실 고조기 김영관 최유청 문공원 유필 최관 유필 김영석 최자영 최윤의 이지무 양원준 최함 최유청 박순충 김영부 이지무 최유칭 김영윤 허홍재 허홍재
무신정권
(1170~1270)
임극충 서공 임규 양숙 정중부 윤인첨 윤인첨 한취 이광진 기탁성 민영모 송유인 최충렬 이공승 문극겸 한문준 최세보 이의민 박순필 이혁유 임민비 이광정 조영인 기홍수 임유 최당 최당 우술유 기홍수 이문충 최선 임유 기홍수 김준 차약송 최충헌 최충헌 김봉모 노효돈 이극서 조충 류광식 이연수 김의원 최보돈 최보순 왕규 김취려 최홍윤 금의 이규보 이자성 채송년 최린 기윤숙 김창 최자 김태서 류소 최자 김기손 송순 김기손 김기손 이세재 김기손 이세재 이장용 김순 최온 김지대 류경
원 간섭기
(1270~1356)
류경 김전 채정 김방경 김방경 원부 장길 유천우 황보기
(도)첨의찬성사·도첨의중호
유천우 류경 원부 박항 송송례 홍자번 홍자번 한강 한강 조인규 인후 강수형 박구 신사전 홍문계 김련 정가신 강수사 송분 인후 정가신 인후 김혼 차신 송분 한희유 정인경 최유엄 한희유 김지숙 최유엄 임익 이덕손 최수황 류비 김혼 차신 채모 김부윤 김혼 안향 최유엄 류비 오윤부 이지저 민훤 정해 왕유소 설영임 조윤통 류비 이혼 김흔 최충소 이혼 김심 김문연 인후 김심 류청신 이진 류청신 배정 박의 권부 이호 권단 홍선 설영임 설경성 민종유 정지연 최비일 오형 권한공 최성지 김사원 이설 김이용 김이 조연수 오잠 오잠 박허중 오잠 박허중 조련 허유전 박전지 윤보 이호 민종유 송영 권준 김이 한악 임중연 전영보 원충 정방길 강융 임중연 전영보 임자송 원충 전언 채홍철 임중연 조적 채하중 민상정 조위 안문개 홍빈 김인연 정천기 오계유 강윤성 윤환 김륜 권겸 박충좌 유방세 김영후 강윤성 전사의 손수경 안축 윤계종 이군해 류돈 이군해 윤신계 손홍량 윤안숙 염제신 허백 윤신계 이곡 류탁 김인호 조일신 조익청 전윤장 윤시우 김자 류탁 정을보 조유 홍언박 김승택 홍언박 류탁 이공수 강윤충 원호 기륜 강순룡 박새안불화 홍언박 윤환 김경직 김인호 김보 최천택 박수년 허백 황석기 강윤충 권적
여말선초
(1356~1392)
[중서문하성] 평장사·평장정사
류탁 허백 황석기 김용 황석기 김용 전보문 김일봉 김승택 이승경 정자후 이겸 안우 이공수 김용 경천흥 류탁 정세운 정세운 이방실
도첨의찬성사
유인우 김용 이공수 경천흥 황상 이성서 송경 안우경 최영 이인복 이구수 이인복 송경 안우경 최영 이구수 김보 이춘부 이인임 권적 이성서 윤택 안우상 우제
문하찬성사
한방신 황상 안우경 최영 강인유 안사기 목인길 지용기 정몽주 지용기 정몽주 배극렴 설장수 조준 권중화 조준 류만수 권중화 윤호 성석린
}}}}}}}}}}}} ||

3.1. 초대 태조

3.2. 2대 혜종

3.3. 3대 정종

3.4. 4대 광종

3.5. 5대 경종

3.6. 6대 성종

3.7. 7대 목종

3.8. 8대 현종

3.9. 9대 덕종

3.10. 10대 정종

3.11. 11대 문종

3.12. 12대 순종

3.13. 13대 선종

3.14. 14대 헌종

3.15. 15대 숙종

3.16. 16대 예종

3.17. 17대 인종

3.18. 18대 의종

3.19. 19대 명종

3.20. 20대 신종

3.21. 21대 희종

3.22. 22대 강종

3.23. 23대 고종

3.24. 24대 원종

3.25. 25대 충렬왕

3.26. 26대 충선왕

3.27. 27대 충숙왕

3.28. 28대 충혜왕

3.29. 27대 충숙왕(후)

3.30. 28대 충혜왕(후)

3.31. 29대 충목왕

3.32. 30대 충정왕

3.33. 31대 공민왕

3.34. 32대 우왕

3.35. 33대 창왕

3.36. 34대 공양왕



[1] 백관지에서는 평장사를 평장정사로 고쳤다가 이후 첨의찬성사로 고친 것으로 설명한다. 그런데 고려사에는 중서평장정사라는 명칭만 2번 나올 뿐이고 동시기에 평장사도 폐지되지 않고 사용되고 있어 다소 애매한 감이 있다. 참고로 정동행성의 종1품 관직인 평장정사와는 구별해야 한다. [2] 그런데 고려시대 평장사는 조선시대 좌찬성, 우찬성과는 다르게 경우에 따라서 좌의정, 우의정의 업무도 일부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좌의정의 전신은 문하시중, 우의정의 전신은 수문하시중이지만 조선시대에는 삼정승이 모두 공석인 경우는 없었으며 적어도 한 사람이라도 임명되어서 업무를 수행한 것과는 다르게 고려시대에는 문하시중이 없을 경우 평장사가 수상 노릇을 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3] 사망. 임명시기 불명. 한림원령 평장사로 언급. 다만 이때의 평장사가 성종 때 설치한 내사시랑평장사, 문하시랑평장사 등 평장사 관직의 전신인지는 불명. 고려사 백관지에서는 찬성사(평장사)직의 연혁을 다루면서 성종 때부터 기술함. [4] 평장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5] 사망. 임명시기 불명. [6] 유배. 임명시기 불명. [7]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8]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1020년 2월 기사에 문하시랑으로 언급. [9] 문하시랑 평장사로 임명. 1020년 2월 기사에 문하시랑으로 언급. [10] 내사시랑 평장사에 임명. [11] 문하평장사로 전임하여 재임 중. [12] 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로 전임. [13] 수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로 전임. [14]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15] 상서좌복야 동내사문하평장사로 전임. 문하시랑이나 내사시랑이 아니라 상서좌복야로서 평장사를 겸직한 것이 특이하다. [16] 평장사로 언급. 임명시기 불명. [17] 문하시랑 동평장사로 전임. [18] 내사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로 임명. [19] 평장사로 임명. 연임인지 전임인지 불명. [20] 문하시랑 평장사로 임명. 연임인지 전임인지 불명. [21] 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로 임명. 전임인지 연임인지 불명. 1047년 12월 졸기에 문하시랑평장사로 언급. [22] 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에 임명. 1038년 4월 2일 졸기에 평장사로 언급. [23] 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로 전임. [24] 사망. 임명시기 불명. [25] 내사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에서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26]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전임시기 불명. 최충 이전일 수 있음. [27]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28]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29] 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로 전임. [30] 1061년(문종 15) 내사문하성을 중서문하성으로 개편. [31] 1061년 12월 17일,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전임. [32] 사망. 임명시기 불명. [33]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34] 사망. 임명시기 불명. [35]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하여 재임 중. 전임시기 불명. [36]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37]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38] 중서시랑 평장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39] 사망. 임명시기 불명. [40]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41] 사망. 임명시기 불명. [42] 사망. 임명시기 불명. [43]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44]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전임. [45]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46] 사직. 임명시기 불명. [47]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48]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49]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50] 중서시랑 평장사로 치사. 임명시기 불명. [51] 문하시랑 동평장사로 전임. [52] 문하시랑 동평장사로 전임. [53]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54]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55]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56]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전임. 1116년 05월 10일 졸기에 문하시랑 평장사로 기록. [57]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전임. [58] 문하시랑 동평장사로 전임 및 치사. [59]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전임 및 치사. [60] 중서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61] 중서시랑 평장사로 재임 중. [62]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전임. [63] 중서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전임. 이후 1117년 2월 9일 기사에 중서시랑 평장사로 언급. [64] 중서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임명. [65] 중서시랑 평장사로 치사. [66]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전임. 이후 1117년 11월 24일 기사에 문하시랑 평장사로 언급. [67] 1105년 2월 9일 기사에서는 중서시랑 평장사로 치사했다고 했으나, 여기(1117년 12월 2일 기사)에서는 문하시랑 평장사로 치사한 오수증이 사망했다고 함.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한 후 사망한 것인지 단순 오기인지 불분명. [68] 시기 불명이나 이전에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사망. [69]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이때 임유문, 김준 2인을 문하시랑 평장사로 임명. [70] 사망. 임명시기 불명. [71] 사망. 임명시기 불명. [72] 연임. [73] 이때 임유문, 최홍재 2인을 문하시랑 평장사로 임명. [74]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75]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76]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77] 유배. 임명시기 불명. [78]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전임. [79]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임명. [80] 문하시랑 평장사 연임? [81]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전임? [82] 파직. 임명시기 불명. [83] 중서시랑 평장사로 복직. [84] 1146년 9월 15일 기사를 보면 이후진으로 개명한 듯함. [85] 사망. 임명시기 불명. [86]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87]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88]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89] 치사를 청함. 임명시기 불명. [90] 중서시랑 동평장사로 임명된 후 치사. [91]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92] 사망. 임명시기 불명. [93] 문하시랑 동평장사로 전임. [94] 평장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95] 평장사로 언급. 임명시기 불명. [96] 평장사로 언급. 임명시기 불명. [97] 사망. 임명시기 불명. [98] 사망. 임명시기 불명. [99] 지난 1150년 12월 26일 중서시랑 평장사로 임명한 바 있는데, 이때(1161년 12월 27일) 중서시랑 평장사로 삼아 치사케 했다고 함. [100] 사망. 임명시기 불명. [101]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전임. [102] 사망. 임명시기 불명. [103] 문하시랑 동평장사로 전임. [104] 사망. 임명시기 불명. [105] 사망. 임명시기 불명. [106] 문하평장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107] 중서평장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108] 1174년 10월 05일 기사에 중서시랑평장사로 언급. 전임한 것으로 보임. [109] 사망. 임명시기 불명. [110] 사망. 임명시기 불명. [111] 사망. 임명시기 불명. [112] 1179년 5월 9일 민영모, 송유인 2인을 동중서시랑평장사에 임명. 동중서문하평장사의 오기인지 중서시랑 동평장사의 별칭인지 불명. [113] 사망. 임명시기 불명. [114] 사망. 임명시기 불명. [115] 사망. 임명시기 불명. [116] 기홍수, 임유, 최당 3인을 중서시랑평장사에 임명. [117] 문하평장사로 전임 후 치사. [118]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119] 사망. 임명시기 불명. [120]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이후 1208년 윤4월 6일 기사에 문하평장사로 언급. [121]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전임. 이후 1208년 윤4월 6일 기사에 문하평장사로 언급. [122] 중서시랑 평장사에 임명. 이후 1203년 7월 19일 졸기에서 중서평장사로 언급. [123] 중서평장사에 임명. [124] 중서시랑평장사에 임명. [125]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전임. [126] 사망. 임명시기 불명. [127] 사망. 임명시기 불명. [128] 사망. 임명시기 불명. [129] 사망. 임명시기 불명. [130] 평장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131] 사망. 임명시기 불명. [132] 사망. 임명시기 불명. [133] 사망. 임명시기 불명. [134] 사망. 임명시기 불명. [135] 사망. 임명시기 불명. [136] 사망. 임명시기 불명. [137] 사망. 임명시기 불명. [138] 사망. 임명시기 불명. [139] 사망. 임명시기 불명. [140]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전임. [141] 사망. 임명시기 불명. [142] 중서평장사 김기손에게 문하평장사를 겸직하게 함. [143] 문하평장사에 연임. 중서평장사의 겸직을 중지. [144]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전임. [145]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 [146] 사망. 임명시기 불명. [147] 1269년 4월 17일 유배. 임명시기 불명. [148] 1270년 5월 25일까지는 파직된 상태였으나 이후 평장사로 복직한 듯함. 1270년 12월 15일 다시 파직됨. [149] 사망. 임명시기 불명. [150] 사망. 임명시기 불명. [151] 문하시랑 평장사로 전임하여 재임 중. [152] 사망. 임명시기 불명. [153] 첨의찬성사로 전임. [154] 첨의시랑 찬성사로 전임. [155] 찬성사로 전임하여 재임 중. [156] 사망. 임명시기 불명. [157] 1281년 12월 19일 기사에 송송례가 이전에 찬성사로 치사했음을 언급. 임명시기 불명. [158] 첨의찬성사에 연임. 이후 1290년 1월 21일 첨의찬성사로 언급되는데 이때까지 계속 재임 중인 것으로 보임. [159] 홍자번, 한강 2인을 첨의찬성사에 임명. [160] 첨의시랑 찬성사로 전임. 이후 1288년 6월 17일 기사에 첨의찬성사로 언급. [161] 사망. 임명시기 불명. [162] 사망. 임명시기 불명. [163] 사망. 임명시기 불명. [164] 사망. 임명시기 불명. [165] 1291년 09월 12일 기사에 찬성사로 언급. 임명시기 불명. [166] 1292년 11월 28일 기사에 전 찬성사로 언급. [167] 첨의찬성사 연임. [168] 첨의시랑 찬성사로 전임. [169] 1297년 08월 11일 인후를 도첨의시랑 찬성사, 김혼을 시랑 찬성사, 차신을 찬성사로 임명. [170] 첨의시랑 찬성사로 전임. [171]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172]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173] 도첨의시랑 찬성사로 전임. 이후 1301년 7월 18일 기사에 시랑 찬성사로 언급. [174] 도첨의찬성사 임명. 이후 1301년 7월 18일 기사에 찬성사로 언급. [175] 사망. 임명시기 불명. [176] 사망. 임명시기 불명. [177] 사망. 임명시기 불명. [178]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179] 시랑 찬성사로 전임. [180] 사망. 임명시기 불명. [181] 사망. 임명시기 불명. [182] 첨의시랑 찬성사에서 시랑 찬성사로 전임. [183] 찬성사 연임. [184] 찬성사 연임. [185] 사망. 임명시기 불명. [186] 도첨의찬성사. [187] 자의 도첨의 찬성사. [188] 도첨의찬성사. [189] 도첨의찬성사 재임인지 연임인지 불명. [190] 1307년 3월 27일 도첨의찬성사에 임명. 이혼 열전에서는 첨의시랑찬성사로 기록함. 이후 중호(中護)로 개칭됨. [191] 자의도첨의사사 찬성사. [192] 권수(權授)찬성사. [193] 1307년 3월 27일 밤, 전 왕(충선왕)의 인사 단행으로 류비, 이혼, 김흔, 최충소 등이 임명되었다. [194] 찬성사에서 중호로 전임. [195] 첨의중호. [196] 찬성사 재임. [197] 중호에서 찬성사로 전임. [198] 찬성사에서 첨의정승으로 전임. 찬성사 임명시기는 불명. [199] 고려사 이진 열전에 '왕(충선왕)이 가상히 여겨서 받아들이고 정당문학 상의도첨의사사(政堂文學 商議都僉議司事)로 〈단계를〉 뛰어넘어 임명하였다가 찬성사(贊成事)로 승진시켰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동시대의 인물들과 관력을 비교할 때 류청신이 찬성사에서 첨의정승으로 승진했을 무렵 찬성사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0] 첨의찬성사로 강등. [201] 배정, 박의, 권부, 이호 4인을 찬성사로 임명. [202] 사망. 임명시기 불명. [203]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04] 찬성사에 재임. [205] 사망. 임명시기 불명. [206] 민종유, 정지연, 최비일 3인을 첨의찬성사 임명 후 치사시킴. [207] 사망. 임명시기 불명. [208]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09]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10] 첨의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11] 첨의찬성사로 전임. [212] 오잠, 박허중 2인을 첨의찬성사로 임명. [213] 첨의찬성사에 연임. [214] 첨의찬성사에 연임. [215] 오잠, 박허중, 조련 3인을 첨의찬성사에 임명. [216] 첨의찬성사로 전임. [217] 허유전, 박전지, 윤보, 이호, 민종유 5인을 수첨의찬성사에 임명. [218] 사망. 임명시기 불명. [219]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20]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21]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22]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23] 찬성사에 연임. [224] 찬성사에 재임. [225] 찬성사에 연임. [226]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27]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28]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29] 사망. 임명시기 불명. [230] 1339년 9월 12일 기사에 전 찬성사로 언급. 임명시기 불명. 다만 충혜왕 복위 전인 충숙왕 때로 보인다. [231]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32] 1341년 5월 23일 기사에 전 찬성사로 언급. 임명시기 불명. [233]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34] 사망. 임명시기 불명. 다만 충목왕 즉위 전인 충숙왕, 충혜왕 때일 가능성이 크다. [235] 찬성사에 재임. [236] 사망. 임명시기 불명. [237]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38] 사망. 임명시기 불명. [239] 도첨의찬성사에 재임. 1349년 9월 2일 기사에 찬성사로 언급. [240] 이군해, 윤신계, 손홍량 3인을 도첨의찬성사에 임명. [241] 1350년 12월 3일 기사에 전 찬성사로 언급. 임명시기 불명. [242] 사망. 임명시기 불명. [243]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44] 유배. 임명시기 불명. [245] 좌천. 임명시기 불명. [246] 전 찬성사로 언급. 임명시기 불명. [247] 찬성사에 연임. [248] 이후 1353년 3월 17일 기사에서는 첨의찬성사로, 1353년 10월 10일 기사에서는 찬성사로 언급. [249] 朴賽顔不花, 박사인부카. [250]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51] 찬성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52] 1356년 6월 20일 기사에 찬성사로 언급. 현직인지 전직인지 불명. 좌천. [253] 사망. 임명시기 불명. [254] 1359년 12월 29일 기사에 전 첨의찬성사로 언급. [255]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256] 중서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257] 문하평장사 [258] 중서평장사. [259]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로 전임. [260] 중서시랑 문하평장사로 전임. [261] 1358년 7월 3일 사망. 임명시기 불명. [262] 1359년 1월 29일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에 임명. [263] 1360년 8월 5일 사망. 임명시기 불명. [264] 1361년 4월 15일 사망. 임명시기 불명. [265] 1360년 3월 25일 중서평장정사에 임명. [266] 1361년 11월 13일 평장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67] 이상 3인은 1361년 11월 19일 평장사로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68] 1361년 12월 19일 중서평장사에 임명. [269] 1362년 3월 1일 기사에서 문하평장사였다고 언급. 김용이 교지를 위조하여 살해. [270] 1362년 1월 28일 중서평장정사에 임명. [271] 1362년 12월 22일 찬성사에 재임 중. [272] 찬성사에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73] 찬성사에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74] 찬성사상의에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75] 찬성사상의에 재임 중. [276] 1363년 11월 7일 기사에 전 찬성사로 언급. [277] 찬성사에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78] 찬성사에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79] 찬성사에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80] 찬성사에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81] 찬성사에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82] 이상 2인을 도첨의찬성사에 임명. [283] 찬성사에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84] 사망. 임명시기 불명. [285] 1371년 7월 10일 기사에 전 찬성사로 언급. [286] 1374년 9월 19일 기사에 전 찬성사로 언급. 임명시기 불명이나, 1365년 9월 20일 이미 평리에 재임 중이었고, 1369년 4월 28일 회왕의 문안사절이 된 것으로 보아 이때쯤 첨의찬성사가 된 것으로 보임. [287] 1371년 7월 16일 찬성사에 임명. [288] 이상 3인은 문하찬성사로 전임. [289] (문하)찬성사에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90] (문하)찬성사에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91] (문하)찬성사에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92] 공양왕 총서에서 1388년 11월 당시 이상 2인을 찬성사로 언급. [293] 이상 2인은 공양왕 즉위 후 문하찬성사에 재임. [294] 문하찬성사에 재임 중. 임명시기 불명. [295] 상의찬성사로 전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