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5 22:03:02

정상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인 경찰공무원에 대한 내용은 정상진(경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정상진
鄭尙鎭[1]
Юрий Данилович Тен
파일:external/monthly.chosun.com/0708_456.jpg
<colbgcolor=#0047a0> 출생 1918년 5월 5일
러시아 제국 블라디보스토크
사망 2013년 6월 15일(향년 95세)
카자흐스탄
국적
[[러시아 제국|]][[틀:국기|]][[틀:국기|]]→
[[소련|]][[틀:국기|]][[틀:국기|]] →
[[북한|]][[틀:국기|]][[틀:국기|]]→
[[소련|]][[틀:국기|]][[틀:국기|]] →
[[카자흐스탄|]][[틀:국기|]][[틀:국기|]]
직업 군인, 정치인
직업 소련군 태평양함대 군관
강원도 원산시 인민위원회 교육부 차장
함경남도 인민위원회 교육부 차장
문예총 부위원장
김일성종합대학 노문학부장
조선인민군 병기총국 부국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 제2부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 제1부상
대한민국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학력 소련 크즐오르다 사범대 노문학부 학사
가족 배우자, 슬하 2녀

1. 개요2. 생애
2.1. 독립운동 이전2.2. 한인 출신으로 한반도 상륙작전에 참전하다2.3. 광복 이후
3. 참고자료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정상진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 해군 군관으로 청진 상륙작전에 참전한 독립운동가이자 북한의 문화선전성 제1부상(차관급)을 지낸 대표적인 소련파 인물이다.

2. 생애

2.1. 독립운동 이전

1918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태어났다. 1937년 8월 제빵공장의 노동자였던 부친[2]이 소련안전기관에 체포되어 총살당했다. 그는 부친의 죽음 이후부터 소련의 체제를 믿지않았다고 한다. 이후 스탈린의 강제이주 정책에 그도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를 당했다. 1940년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크즐오르다주 사범대학을 졸업하고 크즐오르다주 잘라가 쉬구역의 중등학교에서 문학 교사로 지냈다.

2.2. 한인 출신으로 한반도 상륙작전에 참전하다

파일:1946년_정상진.png
소군정 당시 소련 해군 장교 시절 가족사진(1946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해군에 입대, 태평양 함대 해군 보병 군관으로 배치되어 웅진, 나진, 청진 등 상륙작전에서 활약하여 적기훈장을 수여받았다. 당시 한반도에 상륙한 소련군 중 유일한 조선인이었다. 승전 후 소련 군정사령부로부터 석방권을 받아 청진시의 정치범들을 석방했다.
2010년 KBS 다큐멘터리 '한국전쟁' 에서 인터뷰 중인 정상진

2.3. 광복 이후

파일:북한_문화사절단_대표.jpg
1955년 해외순방 당시 정상진

8.15 광복 1945년 9월 19일에 소련 정치부의 지시로 원산항에 귀국하는 김일성을 마중했다. 그는 '김성주입니다.'라고 인사하는 김일성을 알아보지 못하고 소련 정치부에 김일성은 없었다고 보고하면서 그가 김일성임을 알았다고 한다.

소련의 정책에 따라 김일성 종합대학 러시아 어문학과 학과장직과 문학 및 예술협회 부회장을 지냈으며, 6.25 전쟁 당시에는 조선인민군 병기총국 부국장을 지내다 1952년 문화선전성 제1부상(차관급)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1957년 숙청되었는데, 숙청 이유는 최승희, 홍명희 같은 인물들을 비호했다는 이유였다. 숙청 후 소련 국적자였으므로 살해되진 않고 소련으로 귀국했다. 소련에서 타쉬켄트의 고급당학교에서 수학했으며, 1961년 크즐오르다 알마티의 레닌기치(고려일보) 편집부에서 언론인으로 활동하였다.

1991년 소비에트 한인재단의 이사장, 1992년부터는 북한민주화 및 해방 재단의 이사장직을 겸임했다. 1989년부터 여러 차례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좌우대립 상황에서 소련의 정책, 김일성 관련 등을 폭로하기도 했다. 그 역시 북한 공산정권의 성립에 가담했지만, 김일성에게 숙청된 후엔 반북주의자가 됐으며, 소련 붕괴 후엔 대놓고 반북 활동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에 회원으로 참여, 북한 민주화에 대해 자문 활동을 하기도 했다.

아래의 인터뷰 내용을 볼 때, 조선 독립을 강조하며 정상진을 조선어 학교에 보낼 정도로 민족주의 정신이 있던 정상진의 아버지가 대숙청 당시 억울하게 죽는 것을 보고, 이게 '소수민족의 자유'를 강조하던 레닌의 소련이 맞냐, 소련은 1937년에 망했다는 식으로 굉장히 분노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에는 일단 소련의 정책에 맞춰가며 활동했지만, 1991년 소련이 무너질 때는 소련 자체의 존속보단 공산주의를 포기하고 ' 민주화된 느슨한 연방체제'로의 전환을 원했다고 한다.

따라서 소련의 내부 사정을 폭로하거나 북한 민주화를 돕는 것이 본인의 기존 신념이나 행적을 부정하는 행위라고 보기는 어렵고, 오히려 늦게나마 기회가 오자 자신의 신념에 상당히 충실하게 행동한 인물이라고 볼 수도 있다.

파일:한국전쟁 정상진.jpg
2010년 KBS 다큐멘터리 '한국전쟁'에 나와 증언하는 모습.

2013년 6월 15일 노환으로 사망하였다.

3. 참고자료

KBS파노라마 카레이스키150
KBS파노라마 홈페이지

정상진 인터뷰
정상진 인터뷰 2

4. 관련 문서


[1] '進'으로 나온 자료도 있다. [2] 부친의 고향은 함경북도 명천군 출생이다. 출처, 참고로 정상진의 본관은 하동 정씨이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