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 · 니시-로젠 협정 · 베베르-고무라 각서 · 포츠머스 조약 · 일본령 가라후토 · 잔류 러시아인 |
사건사고 | 오쓰 사건 · 삼국간섭 · 러일전쟁 · 러시아 내전( 일본의 시베리아 개입) · 소련-일본 전쟁 · 쿠릴 열도 분쟁( 북방 영토의 날 · 2020 도쿄 올림픽 조직위원회 사이트 독도 및 쿠릴열도 표기 논란) | |
외교 | 러일관계( 러시아 제국-일본 제국 관계 · 2020년대) · 6자회담 · 한러일관계 | |
기타 | 소련군 vs 자위대 · 러시아군 vs 자위대 · 일본-만주 관계 · 러시아계 일본인 · 일본계 러시아인 · 라페루즈 해협(소야 해협) | }}}}}}}}} |
1. 개요
잔류 러시아인(残留ロシア人)[1]은 포츠머스 조약에 의해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일본에 할양된 남사할린(일본명 가라후토)에 그대로 잔류하고 있던 당시 러시아 국민 중 원주민[2]을 제외한 주민을 가리킨다. '잔류노인'(残留露人)[3]이라고도 불렀다.2. 역사
2.1. 기원
일본군은 1905년 7월에 러일전쟁에서의 사할린 전투에서 사할린 전역을 점령했다. 1905년 11월에 발효된 포츠머스 조약에 의해 남사할린이 일본에 할양되었다. 이전까지 남사할린에 살던 러시아 국민은 그대로 잔류할지, 북사할린이나 러시아 본토로 이주할지를 선택해야 했다. 대부분의 주민은 이주를 택했지만 200명 남짓한 소수는 잔류를 택했다. 이것이 잔류 러시아인의 기원이다.2.2. 일본령 시절
잔류 러시아인들은 재산권이 보장됐기 때문에 일본령이 된 가라후토에서도 예전 같은 생활을 할 수 있었다.이들 중 상당수는 직접 만든 빵을 구워 러시아 빵이라는 이름으로 역 앞에서 판매하고 있었다. 이 러시아 빵은 당시 가라후토의 기념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러시아 빵의 판매 소리는 가라후토의 풍물시였다.
잔류 러시아인들은 대개 일본인 사회에 동화되었다. 자제를 일본인 학교에 보냈기 때문에, 일본인 학교에 다니는 잔류 러시아인은 일본어를 말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일본인이 경영하는 기업이나 상점에 근무하는 사람이나 일본인을 상대로 장사를 하는 사람도 나타났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 소련이 수립되자, 적백내전 때 백군을 지지했던 백계 러시아인 중에서 일부가 일제 치하의 남사할린으로 망명해 정착하기도 했다.[4] 1905년부터 남사할린에 정착하는 잔류 러시아인과 1917년 이후 망명해 남사할린에 정착하게 된 백계 러시아인은 대부분 일본인들로부터 같은 러시아인으로 인식되었다.
2.3. 1945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후반에 이르러 전황이 악화되자 미나미가라후토에 정착해 있던 러시아인의 상당수는 일본 정부로부터 적성 외국인으로 분류되어 감시 구류 대상이 되었다. 반대로 소련군이 진주하자 이들 상당수는 공산화에 의해 지금까지의 재산을 잃었고, 그 중에는 정치범으로 처벌되는 사람도 있었다.소련 치하 직후는 다소 혼란스러웠다. 남사할린 거주민의 절대 다수인 일본인은 40만 명이나 있었는데 이들은 1948년까지 모두 일본으로 철수했고, 그 자리를 새로운 러시아인들이 채우고 있었다. 이 사이에 잔류 러시아인은 무국적으로 취급돼 1950년대까지 소련 국적 취득이 허용되지 않았다.[5] 전후에 사할린은 러시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었고 잔류 러시아인 역시 이들과 빠르게 동화되었다.
러시아어와 일본어가 가능한 잔류 러시아인 중에서는 통역으로 수입을 얻는 사람도 있었다.[6]
3. 여담
잔류 러시아인은 민족으로서의 러시아인뿐만 아니라 폴란드인과 우크라이나인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은 무국적이었지만 폴란드인에 대해서는 1918년 독립한 폴란드 정부로부터 1920년대 말부터 1930년대 초까지 국적을 부여받아 사할린에 거주하는 재일 폴란드인으로 취급받았다. 사할린 거주 폴란드인 42명은 1945년 소련 가라후토 점령 이후 새로 폴란드 국적을 다시 취득한 뒤 1948년 가라후토를 떠나 조국인 폴란드로 향했다.4. 관련 문서
[1]
잔류로시아진(ざんりゅうロシアじん). 러시아의 일본어 발음에서 유래
[2]
아이누족 등.
[3]
잔류로진(ざんりゅうつゆじん). 러시아를 한자로 옮긴 노서아(露西亞)에서 유래
[4]
마르칸 보리시코 등
#
[5]
전후 처리 과정에서 무국적자가 된 비슷한 상황으로는 일본 본토 내 조선인이 국적을 잃고
조선적이 된 것과 유사하다. 이 경우 1948년까지는 한반도에 정식 국가가 존재하지 않았고, 1948년 이후에는 한반도 국가가 이들의 국적 취득을 불허하진 않았지만 단일한 국가가 아닌 남북한으로 갈리면서 국적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고, 개인에 따라서는 양쪽 모두 선택하지 못해 무국적이 조선적으로 남았다.
[6]
이후 1960년대부터는 소일관계가 완화되면서 사할린을 찾는 일본인 관광객도 있었고, 냉전 종식 후에는 그 수가 대폭 늘면서 일본어를 습득한 러시아인이 늘어났지만 구세대처럼 일상생활을 위해 일본어를 배운 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