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00:37:31

의용소방대

자율소방대에서 넘어옴
파일:소방청 마크.svg 대한민국 소방조직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373A3C,#DDD
소방청 소속기관
중앙119구조본부 중앙소방학교 국립소방연구원 국립소방병원(예정) 국립소방박물관(예정)
소관단체 및 산하기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대한민국재향소방동우회 대한소방공제회 소방산업공제조합 한국소방시설협회
한국소방안전원 한국소방시설관리협회
시·도 소방본부
서울소방재난본부 부산소방재난본부 대구소방안전본부 인천소방본부 광주소방안전본부
대전소방본부 울산소방본부 세종소방본부 경기소방재난본부 경기북부소방재난본부
강원소방본부 충북소방본부 충남소방본부 전북소방본부 전남소방본부
경북소방본부 경남소방본부 창원소방본부 제주소방안전본부
세부 조직
119진압대 119구조대 119구급대 특수구조대 119항공대
소방정대 119구조견대 화재조사 소방학교 의용소방대
둘러보기
경찰청 · 해양경찰청 }}}}}}}}}}}}

1. 개요2. 대한민국 의용소방대
2.1. 계급2.2. 제복2.3. 차량2.4. 전국 의용소방대 현황
3. 해외
3.1. 일본3.2. 칠레3.3. 미국
4. 관련 문서

1. 개요

| Volunteer Firefighter

화재 진압, 구조, 구급 등의 소방 업무를 수행하거나 보조하는 관할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민간 봉사 단체이다. 경찰로 치면 자율방범대와 체계와 역할이 비슷하다. ''이 명칭은 기업, 산업체, 항구, 플랜트 등의 시설 내에 자체적으로 구성된 사설 소방대를 포함하는 광의적 표현이므로 단어 사용에 주의해야한다.

2. 대한민국 의용소방대

파일:의용소방대표지.jpg
의용소방대 표지[1]

약칭 의소대. 대한민국의 의용소방대는 의용소방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2] 및 각 시·도의 의용소방대 설치조례를 통해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 , 단위에서 설치하여 운영된다. 주민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관할 구역 내에 주소지가 등록되어 있는 안정된 수입이 있거나 신체가 건강하고 소방, 의료, 구급, 구조 관련 경력이 있거나 지식 및 기술을 갖춘 사람이라면 누구나 지원하여 임용될 수 있다. 그래서 관할구역을 떠나 이사를 가거나 심신장애를 가지게 된다면 해임된다. 지역에 따라 남, 녀 의용소방대가 분리되어있거나 혼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대부분 지자체에서 남성대, 여성대, 혼성대를 동시에 운용한다. 소방업무 관련 전문기술ㆍ자격자 등으로 구성하는 전문의용소방대를 설치할 수도 있다. 2018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에는 총 3,867개의 의용소방대가 설치되어있으며 94,257명의 대원이 활동하고 있다. 이는 소방공무원의 두 배에 약간 못 미치는 수준으로 전국 가용 소방인력의 2/3에 해당한다.

의용소방대원의 정년은 65세이며 관할 소방서장의 추천을 받아 시, 도지사가 임명한 대장과 부대장 아래에 부장, 반장, 대원을 둔다. 의용소방대원은 화재 발생 등 필요시에만 소집되어 소방공무원의 업무를 보조하며 평소에는 생업에 종사하지만 필요한 경우 전업 의용소방대로 구성된 전담대를 설치 할 수 있다. 주로 119지역대에 설치된다. 소집 명령이 떨어지면 해당 사고 현장으로 출동해야하며 소집 명령이 없더라도 자율적으로 출동하여 임무를 먼저 수행 한 뒤 보고 할 수도 있다. 산불 감시나 순찰 등 화재 경계 근무 또한 의용소방대의 임무이다.

의용소방대의 운영 예산과 경비는 지자체가 부담하며 국가의 보조금을 지원 받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민간 봉사 단체이긴 하나 각 대원은 시장 및 도지사로부터 출동 수당을 받으며 임무 수행 중 부상, 사망한 경우 조례에 따라 보상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주기적으로 소방서 소방학교 등에서 훈련 및 교육을 받아야하고 소방 통신시설, 소방용 차량, 화재진압장비 등을 지자체로부터 무상으로 대여받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의용소방대의 명의를 사용하여 기부금 모금, 영리 활동, 또는 정치 활동 등에 참가할 수 없다.

법적 근거를 통해 설립되긴 하였으나 근본이 민간 조직인 특성상 시민을 비롯한 지자체의 관심과 감시에서 멀어지면 부패하기 쉽다. # 사무실이 텅 비어있고 변변한 소화 장비 하나 갖춰져있지 못한 조직이 되어 세금만 낭비하는 단순 동네 친목 단체로 전락할 위험성이 높은 것이다.[3] 이러한 상황까지 악화된다면 이들은 실제 상황에서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이를 방지하기위해 소방서장이 1차적으로 이들을 감독하곤 있지만 의용소방대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해 초래한 결과는 온전히 시민에게 피해를 끼치기 마련이므로 시민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2.1. 계급

계급장 직위
파일:fire-volunteer-1.png 전국 의용소방대 연합회장
소방총감 소방정감에 대응
파일:fire-volunteer-2.png 시·도 의용소방대 연합회장
소방감에 대응
파일:fire-volunteer-3.png 시·군 의용소방대 연합회장
소방준감에 대응
파일:fire-volunteer-4.png 의용소방대장
소방정 소방령에 대응
파일:fire-volunteer-5.png 지역대장
소방경에 대응
부대장
소방위에 대응
파일:Untitled-6.png 부장
소방장에 대응
파일:Untitled-7.png 반장
소방교에 대응
파일:의용소방대원 계급장.png 대원
소방사에 대응

의용소방대장의 임기는 3년이고 한 차례 연임이 가능하다. 부대장의 임기는 3년이다.

2.2. 제복

의용소방대원 복제 세칙

정복, 기동복, 방한복, 조끼, 정모, 기동모, 직위표장, 모자표장(정장, 약장), 지휘장, 소매표장, 배지, 직위표, 가슴표장, 셔츠, 넥타이 및 넥타이핀, 금장단추, 요대 및 버클, 이름표, 등판표시, 깃표장, 단화, 기동화가 지급된다. 정복 및 정복에 달리는 부착물의 경우 대장 및 지역대장 이상 계급에만 지급된다.

전담의용소방대 및 전문의용소방대는 지역 특성에 맞는 복제를 따로 정하여 지급할 수 있으므로 지자체마다 상이할 수 있다.

2.3. 차량

의용소방대의 소방차도 '의용소방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따라 소방용 차량으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엄연히 긴급자동차에 해당되어 경광등 사이렌 부착이 허용되며 출동 중에는 일반 운전자들의 양보 의무가 있다. 주로 자체 예산으로 구입한 차량이나 시.도소방본부, 소방서, 119안전센터, 지역대에서 퇴역한 차량을 재활용하기도 하고 지자체 또는 민간에서 기탁한 차량을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다수의 소방차를 만드는 한서정공에서 의용소방대 전용 소방차를 만들기도 한다.

2.4. 전국 의용소방대 현황

  • 2018년 기준
시·도 대 수 (대) 대원 수 (명)
총합 3,867 94,257
서울소방재난본부 192 4,496
부산소방재난본부 178 4,274
대구소방안전본부 83 1,762
인천소방본부 100 2,374
광주소방안전본부 48 1,230
대전소방본부 46 1,186
울산소방본부 69 1,586
세종소방본부 26 647
경기소방재난본부
경기북부소방재난본부
423 11,218
강원소방본부 295 8,026
충북소방본부 169 4,642
충남소방본부 370 8,660
전북소방본부 355 7,801
전남소방본부 537 11,651
경북소방본부 402 11,013
경남소방본부 454 10,223
창원소방본부 69 2,045
제주소방본부 51 1,423

3. 해외

3.1. 일본

일본에서는 소방단[4]으로 부르며 각 시정촌 단위에서 설치된다. 전국에 2200여개의 소방단이 설치되어 있고 약 86만 명의 대원이 활동한다. 일본 소방공무원 수가 16만 명인 것과 비교했을 때 소방단의 비중이 상당히 크다. 조직은 단-분단-부-반으로 구성되고 단급은 지자체별로 하나만 설치된다. 지자체의 규모가 크거나 원래의 지자체가 합병되어 하나가 되었을 때에는 단과 분단 사이에 방면대를 조직하여 관할구역을 분담하는 경우도 있다. 대원의 수당은 지자체에서 지급한다. 운영 예산과 장비 또한 지자체의 보조를 받을 수 있고 지자체의 재정상태에 따라 이것이 불충분할 경우 반상회나 지역기업으로부터 후원을 받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신입 단원의 입단이 줄어들면서 단원 수 감소와 단원의 평균 연령 증가가 문제가 되고 있다.

3.2. 칠레

칠레의 의용소방대는 매우 유명한데, 실제로는 만18세 이상의 성인들이 자원봉사하는 청년단(靑年團)이자 공제조합이다. 칠레는 정부 높으신 분들 시민사회 여론 야경국가주의를 신봉하기 때문에 경찰공무원[5] 소방공무원이 따로 없다. 전국소방협의회 온나라의 곳곳에서 열심히 활약하는 의용소방대의 소방본부를 대행하고 있지만. 지진 해일처럼 대규모의 재해 칠레군의 영역이다.

3.3. 미국

가장 대표적인 의용소방대로 무려 미국이 탄생한 개척시기 때부터 있어왔다.

이들은 정부의 힘이 약하자 공동체와 마을을 보호하고자 자발적으로 모였으며 평소에는 소방 업무를 하다가, 일이 없으면 교회를 짓거나 아이들을 가르치는 등 광범위한 일을 자발적으로 해왔다.

미국인구의 1/3 이상이 자원봉사자일 정도로 미국에는 자원봉사문화가 활발하며 이들이 없이는 미국이 돌아가지 않을 정도이다.

다만 어떤 조직이든 결국 돈이 조직이 돌아가는 거의 모든것을 결정하다 보니 조합이 아닌 사람 즉 회비를 내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엄격하게 서비스가 제외된다. 어느정도냐면 일단 불난곳을 소방차가 출동해서도 조합이 아니라면 화재를 진압하지 않는다

당연히 동부나 서부의 대도시들 보다는 중부나 남부 혹은 북서부의 시골처럼 정부에 지원을 받기 어렵고 외진곳에서 많이 있다. 미국 드라마에서 이들을 보기 어려운 이유.

4. 관련 문서


[1] 색상은 지자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2] 초기에는 소방법에서 규정하고 있었다. [3] 사실 운영자금이 무척 적게 책정되는 터라 친목 단체로서의 기능도 거의 하지 못 한다. 주에 한번씩 캠페인 1시간쯤 하고 끝나는 경우가 허다하며, 빈번이 취소되기도 한다. [4] 消防団(しょうぼうだん) [5] 100년 전에는 도시 시골을 다스리는 자치경찰이 있었고, 지금은 미국 FBI와 비슷한 수사경찰 칠레 경찰군이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