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12 20:00:06

임진강철교

임진강철교
臨津江鐵橋
Imjingangcheolgyo (Rail Bridge)
파일:IMG_5251_2.jpg
임진강 상공에서 바라본 임진강철교
<colbgcolor=#000><colcolor=#fff> 위치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노상리

1. 개요2. 역사3. 상세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attachment/e0662240a4a4dbdf0d804cd31b0f77a5.jpg
임진각에서 바라본 임진강철교 하행선[1]
파일:IMG_5228_2.jpg
파일:임진강철교하행선.jpg
<rowcolor=#fff> 북측 장단면쪽에서 바라본 하행선과 끊긴 상행선 철교 교각만 남은 상행선 철교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과 장단면을 잇는 철교. 임진강을 남북으로 건넌다. 경의선 임진강역 도라산역을 잇는다.

2. 역사

6.25 전쟁 이전에는 단선철교 2개가 나란히 있었다. 이 철교를 지나가는 경의선 철도가 원래 복선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쟁통에 모두 파괴되었고, 경의선 철도 개성역까지 가지 못하고 문산역에서 단절되었다. 다만 철도중단점 운천역 근처 여우고개에 있었는데 군용 선로 때문에 여우고개 구간까진 살아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여우고개 터널은 물이 찬 상태로 방치된 폐터널로 전락하고 철도중단점이 바로 앞에 서있었다. 그러다 2000년 경의선 복원을 시작하면서 다시 연결되었다.

1997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 전철화 계획이 나왔을 때까지만 해도 문산역까지만 전철화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고, 실제로 2009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을 개통할 때도 문산역까지만 개통했다.

전쟁 이후 하행선 철교만 복구돼서 임진각과 판문점을 잇는 도로교로 사용되었고[2], 상행선 철교는 교각만 남은 상태로 방치되었다. 그러나 2000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개성공단사업, 경의선 철도 연결사업과 통일로 국도연결사업을 하기로 하면서 임진강을 건너는 다리를 신축하게 된다. 그 결과물이 통일대교와 임진강철교다. 철도 연장으로 인해서 임진강철교가 다시 철도교로 환원되자, 도로교 역할을 하는 통일대교를 새로 만든 것이다.

2021년 12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도라산역 연장의 일환으로 전철화되었다.

3. 상세

경의선 임진강역 도라산역을 잇는 교량으로, 단선교량이다. 추후 복선으로 확장도 불가능한 단선 교량이기 때문에 복선화와 전철화를 위해서는 임진강철교 옆에 또다른 새로운 교량을 시공해야 하거나 교각만 남은 상행선 철교를 복원하거나 기존의 모든 교량을 철거하고, 복선 교량으로 재시공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하지만 임진각국민관광지 때문에 교각만 남은 상행선 철교에다가 교각을 보강하고, 상판을 재시공하는 등의 복원을 한국철도공사가 실제로 추진할 지는 아무도 모르는 사실이다.

물론 남북통일이 된다면야 경의선의 중요성을 감안해서 하기 싫어도 복선교량화 시켜야 할 것은 분명하긴 하지만... 그때가 되면 복원된 하행선 철교와 교각만 남은 상행선 철교는 완전히 부수고 하행선 옆에 병렬로 신선을 놓거나 기존선은 관광열차용으로 전환하고 신선을 놓는 방법 등이 논의될 법 하다. 물론 사료로서 가치가 있어 하행선 철교는 부술 수 없다. 아니면 서울-개성 구간의 기존선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차후 복복선화가 사실상 필수이기 때문에, 한강철교처럼 기존 하행선 철교를 그대로 운영하고 나머지 복선철교 1개, 단선철교 1개를 추가 신설하는 방식으로 건설할 수도 있다.

4. 관련 문서



[1] 하행선 철교 아래에 있는 다리는 원래 자유의 다리가 아니라, 파주시가 관광의 목적으로 비슷한 자리에 다시 놓은 다리이다. 본래 자유의 다리는 교각만 남았던 상행선 철교( 서울역 방면) 옆에 나란히 나무로 지었던 임시 다리로, 임진강철교가 무너진 뒤 임진강 남측과 북측을 이어줬으나 임진강철교 하행선 교각이 도로교 건설에 재활용되면서 임시 다리는 철거되고 자유의 다리를 임진강철교 가까이로 옮겨 도로교로 쓴 것이다. 민통선 이북 지역으로 가는 도로라서 통행량이 적었기에 경의선 문산역- 개성역 복원 후에는 신 자유의 다리는 인도교로 바뀌고 통일대교가 대신 도로교가 된 것이다. [2] 1984년도 주한미군에 복무했었던 이가 유튜브에 자신이 그 해에 자대에서 출발, 파이어 베이스(Fire Base)에 가면서 찍은 편도 풀 타임 컬러풀 영상을 올렸는데, 여기 도로교 시절 양측 노반따라 난 도로와 노반 양측의 끝자락 근처 즈음에 있던 군부대의 상시검문소도 찍혔다. 32분부터 임진강철교 최종접근 및 통과이니 급한 사람들은 32분부터 보자. 또한 중간중간 K-311 K-511로 추정되는 차도 나와서 저게 국군인지 미군인지 구별해보는 재미도 있으니 참고. 여기서 파이어 베이스란, 진지의 한 종류이자 소초로 중/소대급이 어느 방향으로든 강력한 화력투사가 가능하도록 설계돼 있다. 이는 주요 지점을 비슷한 형태로 배치하는 유럽의 성형 요새의 특징으로, 여기서 따온 진지형태로 보인다. 또한 한국군의 진지들도 보면 GOP를 제외한(GOP는 산을 따라서 직선으로 건설된 요새선이다) 대부분 진지가 이 형식으로, GP도 역시 이 형태이다. 또한 일반 보병부대 진지도 중간 통과도로로 떨어지게 되면 자연스럽게 이 형태로 만들어지게 되기에, 사단 전체가 이 진지형식으로만 구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 사람이 간 곳은 민통선 내부의 미군소초로 보인다. 즉 여기서의 파이어 베이스는 미군소초를 의미하는 듯하다. 참고로 소초는 파이어 베이스 진지의 중심 지휘시설 밀집지역에 주로 자리한다. 즉 이 사람이 간 소초가 바로 그 소초, 파이어 베이스 진지의 중심인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