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조의 왕자에 대한 내용은 인성군 문서 참고하십시오.
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안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
|||
}}}}}}}}} |
조선 예종의 왕자 인성대군 | 仁城大君 |
||
봉호 | 인성군(仁城君) → 인성대군(仁城大君)[1] | |
시호 | 효소(孝昭) | |
본관 | 전주(全州) | |
이름 | 분(糞) | |
부왕 | 조선 예종 | |
모후 | 장순왕후 한씨(章順王后 韓氏) | |
묘소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 |
생몰 기간 |
음력 | 1461년 11월 30일 ~ 1463년 10월 24일 |
양력 | 1461년 12월 31일 ~ 1463년 12월 4일 |
[clearfix]
1. 개요
조선 전기의 왕족. 예종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한명회의 딸 장순왕후 한씨이다. 즉, 한명회의 외손자이며 현숙공주와 제안대군은 그의 이복동생이다.2. 생애
1461년(세조 7년) 12월 31일에[2] 태어났다. 예종이 1450년 생이니까 무려 11세(!)에 첫 아들을 낳은 것이다. 세는나이 기준으로도 12살이다. 어머니 한씨는 16세[3]였는데 인성대군을 낳고 불과 5일 뒤에 산후병으로 세상을 떠났다.1463년(세조 9년) 12월 4일에[4] 풍질로 불과 2세의 나이로[5] 요절했다.
3. 사후
사망 후 할아버지 세조는 영순군 이부[6]와 윤사로, 정인지, 신숙주 등에게 명하여 상지관을 데리고 정인사에 가서 장지를 고르게 했다. 묘는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의경세자의 묘소 동쪽에 조성되었다. 그해 12월 4일에[7] 효소라는 시호가 추증되었고 인성군(仁城君)으로 추봉되었다.1472년( 성종 3년) 4월 1일에[8] 인성대군(仁城大君)으로 승격되었다.
인성대군의 제사를 모시는 장소는 여러 번 바뀌었다. 1465년( 세조 11년) 8월 15일에[9] 인성군의 제사를 평원대군의 사당에서 맡게 했다가 1470년( 성종 1년)에 어머니 장순왕후의 혼궁으로 신주를 옮겼다. 그러나 3년 뒤에 장순왕후의 신주가 종묘로 옮겨져 혼궁을 폐하자 갈 곳이 없어진 인성대군의 신주는 묘소에 묻고 속절에만[10] 제사를 지내게 했다. # 그리고 1488년(성종 19년)에 다시 평원대군의 사당에 부제하게 했다. #
일제강점기에 묘가 서삼릉의 비공개구역으로 이장되었다.
4. 여담
- 이름 '분(糞)'의 뜻은 대변이다.(...) 그것도 왕세자의 적장자인 원손[11]의 이름을 왜 이렇게 지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2] 다만 고종의 어렸을 때 이름이 '개똥'이었던 것처럼, 오래 살라는 의미에서 아명을 일부러 천하게 짓는 풍습에 따른 것이 아닐까하고 추측하는 정도[13]. KBS1 드라마〈 왕과 비〉에서는 세조( 임동진 분)가 "이름을 천하게 지으면 오래 산다고 하여 그렇게 지어줬더니 도리어 요절했다!"며 빡쳐서 분노하는 장면[14]이 나오기도 했다.
5. 가족과 후손
아기 때 죽었으니 당연히 부인도 없고 자녀도 없다.[15] 그러다가 고종 때 세종의 5남 광평대군의 14대손인 이백연을 인성대군의 봉사손으로 정하여 제사를 지내게 했다.
[1]
봉호는
인천도호부(仁川都護府)에서 따왔다.
[2]
음력 10월 24일.
[3]
세는나이 17세.
[4]
음력 10월 24일.
[5]
세는나이 3세.
[6]
세종의 5남
광평대군의 외아들. 인성대군에게는
당숙이다.
[7]
음력 11월 5일.
[8]
음력 2월 23일.
[9]
음력 7월 24일.
[10]
俗節. 제삿날 이외에 철을 따라 사당이나 선영에 차례를 지내는 날.
[11]
인성대군 생전에 예종은 왕세자였다.
[12]
다만 뜻이 뜻인지라,
전주 이씨 일부 족보에서는 '숙(璛)'이라는 비공식적인 휘를 쓴 경우도 있다.
[13]
민간 사이에 알려진 바로는 이름을 멋있고 기품있게 지으면 귀신이 시기해서 일찍 죽게 만든다란 얘기가 전해지고 있다.
[14]
이 장면은 세조 재위 말년을 묘사한 것으로, 원손(인성대군)은 물론 장남(의경세자), 둘째 며느리(장순왕후) 등이 모두 요절한 것을 두고 효령대군(
김인태 분)에게 한탄하는 장면이다.
[15]
아무리 대를 잇는 것이 중요하던 조선시대였음에도 후사 없이 요절한 모든 왕자들이 다 양자를 들인 것은 아니다. 인성대군처럼 아기 때 죽은 왕자들이나 역모에 휘말린 왕자 등등은 양자조차 들이지 못했고 전자의 경우는 그나마 양자가 아닌 봉사손으로나마 제사를 지내 줄 사람이 생겼다는 그나마의 위안 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