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0.5px -11px" |
국가 | 대한민국 | |||
대통령 | |||||
광역자치단체 | 특별시 | 특별시장 | |||
광역시 | 광역시장 | ||||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시장 | ||||
도 | 도지사 | ||||
특별자치도 | 특별자치도지사 | ||||
기초자치단체 | 시 | 군 | 자치구 | ||
시장 | 군수 | 구청장 | |||
시 구급 | 일반구 | 행정시 | |||
구청장 | 시장 | ||||
읍 면 동급 | 읍 | 면 | 동 | ||
읍장 | 면장 | 동장 | |||
통 리급 | 통 | 리 | |||
통장 | 이장 | ||||
반급 | 반 | ||||
반장 | }}}}}}}}} |
1. 개요
1. 개요
邑 長 | Head of Eup농촌과 어촌 지역 및 시, 군 관할 지역의 읍(邑)을 총괄하는 최고책임자이자 읍 행정복지센터(구 읍사무소) 기관장 역할도 하는 공무 수행자. 농어촌 지역 및 시군 관할 지역 중 읍(邑)에 속하거나 면(面) 지역이 읍(邑) 지역으로 승격된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농어촌 지역 및 시군 관할 지역의 읍 지역에 관한 공무 수행, 민원 처리, 농어촌 주민 고충, 재해 복구 지원, 읍내 재정 지원 등의 총책임을 맡는 기관장으로서 시장 및 군수가 임명한다. 일반적으로 사무관(5급)이 맡게 된다. 인구 7만 명이 넘어가는 읍은 대읍이라고 따로 분류하고 대읍에서는 서기관(4급)이 읍장을 할 수도 있으나, 인구가 7만이 넘더라도 대읍으로 승격되지 않은 경우에는 5급이 읍장을 맡는다. 이는 일반구 규모의 행정구역의 구청장이 대다수 4급이라는 점에서 읍장이 4급이라는 것은 다소 과하다는 행정 관례였으나 현재는 인사 적체 해소용으로 갓 승진한 서기관을 보임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5급이 맡는 경우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의 존재로 인해 이론상 20대도 읍장을 할 수 있으나, 이런 경우는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