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7 21:54:20

은해사

파일:대한불교조계종 로고.svg 파일:대한불교조계종 로고(유색배경).svg
25교구 및 본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9A26A, #B9A26A 20%, #B9A26A 80%, #B9A26A); color: #231916; min-height: 31px"
{{{#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231916> 직할교구 제2교구 제3교구 제4교구 제5교구
조계사 용주사 신흥사 월정사 법주사
<rowcolor=#231916> 제6교구 제7교구 제8교구 제9교구 제10교구
마곡사 수덕사 직지사 동화사 은해사
<rowcolor=#231916> 제11교구 제12교구 제13교구 제14교구 제15교구
불국사 해인사 쌍계사 범어사 통도사
<rowcolor=#231916> 제16교구 제17교구 제18교구 제19교구 제20교구
고운사 금산사 백양사 화엄사 선암사
<rowcolor=#231916> 제21교구 제22교구 제23교구 제24교구 제25교구
송광사 대흥사 관음사 선운사 봉선사
군종특별교구 · 해외특별교구
}}}}}}}}}}}}

파일:불교 종교표지(흰색).svg 일제강점기 불교 31본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 경기도 봉은사 · 봉선사 · 용주사 · 전등사
충청도 법주사 · 마곡사
경상도 동화사 · 은해사 · 고운사 · 김룡사 · 기림사 · 해인사 · 통도사 · 범어사
전라도 위봉사 · 보석사 · 백양사 · 화엄사 · 선암사 · 송광사 · 대흥사
강원도 건봉사 · 유점사 · 월정사
황해도 패엽사 · 성불사
평안도 영명사 · 법흥사 · 보현사
함경도 석왕사 · 귀주사
}}}}}}}}} ||
파일:은해사 전경 국립중앙박물관.jpg
<colbgcolor=#B9A26A> 일제강점기 은해사 전경

1. 개요2. 주요 문화재
2.1. 국보
2.1.1. 거조암 영산전
2.2. 보물
2.2.1. 백흥암 극락전2.2.2. 백흥암 수미단2.2.3. 운부암 금동보살좌상2.2.4. 염불왕생첩경도2.2.5. 괘불탱2.2.6. 청동북 및 북걸이
2.3.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2.3.1. 기기암 신중도2.3.2. 은해사 대웅전
3. 대중교통
3.1. 버스
4. 기타5. 외부 링크

1. 개요

파일:b0052375_52b4ccd9048a4.jpg
<colbgcolor=#B9A26A> 은해사 극락보전 전경

한자 : 銀海寺 / 로마자 : Eunhaesa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청통로 951 (치일리 479)에 위치한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이다. 팔공산 동편에 있다. 청통면의 랜드마크.

809년( 신라 헌덕왕 1년) 혜철국사가 해안평에 창건한 사찰로 처음에는 해안사(海眼寺)라고 하였다. 그 후 1264년( 고려 원종 5년)에 중창하였다. 1545년(조선 인종 1년)에 소실되어 1546년( 명종 1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 지은 후 법당과 비석을 세워 인종의 태실을 봉하고 은해사라고 하였다. 1563년( 명종 18년)에 다시 소실되어 이듬해 중건했다. 1589년( 선조 22년)에 다시 중창하여 큰 절이 되었다. 1847년( 헌종 13년)에 또다시 불탄 것을 후에 중수하였다. 이때 극락보전 건물을 대웅전으로 사용해 왔다가 2011년 다시 극락보전으로 변경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극락보전과 설선당, 심검당, 종루, 보화루, 독성각, 승당, 요사채 등이 있다. 주요 문화재로는 보물 제486호인 백흥암 극락전 수미단, 보물 제514호인 운부암 청동보살좌상, 보물 제790호인 백흥암 극락전 등이 있다. 이 밖에도 60여 점의 문화재와 24동(棟)의 건물이 있다.

부속 암자로는 기기암, 백흥암, 운부암, 거조암, 중암암 등이 있다. 말사로는 경산시 환성사, 군위군 인각사, 경산시 불굴사, 청송군 대전사, 제주특별자치도 약천사 등이 있다.

2. 주요 문화재

2.1. 국보

2.1.1. 거조암 영산전

영천 거조사 영산전 문서 참고.

2.2. 보물

2.2.1. 백흥암 극락전

파일:은해사 백흥암 극락전 정면 2015년 문화재청.jpg
<colbgcolor=#B9A26A> 백흥암 극락전
1643년(인조 21년) 지어진 건물로 1984년 7월 5일 보물 제790호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내부의 수미단 또한 1968년 12월 19일 보물 제486호로 지정되었다.

2.2.2. 백흥암 수미단

파일:은해사 백흥암 극락전 수미단 문화재청.jpg
<colbgcolor=#B9A26A> 백흥암 수미단
1968년 12월 19일 보물 제486호로 지정되었다.

2.2.3. 운부암 금동보살좌상

조선초기의 불상으로 1969년 7월 30일 보물 제514호로 지정되었다.

2.2.4. 염불왕생첩경도

파일: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 문화재청 수정.jpg
<colbgcolor=#B9A26A> 염불왕생첩경도
1750년에 조성된 불화로 2015년 3월 4일 보물 제1857호로 지정되었다.

2.2.5. 괘불탱

1750년(영조 26년)에 그려진 괘불로 18세기를 대표하는 걸작이며 1997년 8월 8일 보물 제1270호로 지정되었다.

2.2.6. 청동북 및 북걸이

파일:은해사 순치3년명 금고 및 금고거 문화재청.jpg
<colbgcolor=#B9A26A> 청동북 및 북걸이
1646년에 만들어진 북으로 2009년 2월 23일 보물 제1604호로 지정되었다.

2.3.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2.3.1. 기기암 신중도

파일:은해사 기기암 신중도 문화재청.jpg
<colbgcolor=#B9A26A> 기기암 신중도
1777년 제작된 조선후기의 불화로 2019년 8월 26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3.2. 은해사 대웅전

파일:은해사 대웅전 현판 문화재청.jpg
<colbgcolor=#B9A26A> 은해사 대웅전
19세기 중엽에 지어진 걸로 추정되며 1999년 8월 9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3. 대중교통

3.1. 버스


1990년 공동배차제 이전에는 대구 35번(현 808번) 은해사 지선이 있었다.

4. 기타

사찰에서 팔공산으로 가는 등산로가 있는데, 거리가 매우 길다. 영천 쪽에서 팔공산으로 올 경우 차라리 치산에서 오는 것이 낫다.[1]

2022년 4월 1일부터 무료 입장이 가능하다. #

영천 선화여자고등학교가 원래 은해사에서 운영하는 학교였지만 2021년 9월에 동국대학교에 인수되어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선화여자고등학교로 바뀌었다. #

5. 외부 링크



[1] 다만 치산은 산불통제기간에는 등산객의 출입을 통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