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0-25 06:56:25

예사소리


자음의 분류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bee,#033><colcolor=#000,#fff> 조음 방법 비음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접근음 · 탄음 · 전동음 · 내파음 · 흡착음 · 방출음 · 충격음
조음 위치 양순음 · 순치음 · 설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 치측음 · 설측음
성대 진동 여부 유성음 · 무성음
기식 흐름 여부 유기음 · 평음 · 무기음 · 비음
}}}}}}}}} ||
1. 개요
1.1. 특징

1. 개요

한국어에서 예사소리 또는 평음()은 된소리 , , , , 거센소리 , , , 와 짝을 이루는 , , , , 등을 말한다.

1.1. 특징

예사소리 중 파열음과 파찰음, 즉 ㄱ, ㄷ, ㅂ, ㅈ은 일반적으로 어두에 있으면 매우 약한 성대 진동을 동반하는 무성음이지만 모음과 모음 사이 또는 받침 ㄴ, ㄹ, ㅁ, ㅇ의 뒤에 오면 유성음화가 되고[1] 모든 받침 ㄱ, ㄷ, ㅂ, ㅅ, ㅈ의 뒤에 오면 경음화가 되는 특성이 있으며 음환경의 특성상 어중에서 일어난다.

원래 예사소리와 거센소리를 변별하는 자질은 기식의 차이였다. 즉, 거센소리가 예사소리에 비해서 바람소리가 더 많이 난다고 볼 수 있었으나 현대에 들어서서 예사소리와 된소리의 기식에 따른 변별의 정도가 점점 약해지고 있으며, 후행모음의 음고가 주요한 변별적 자질로 변해가고 있다. 관련 연구는 VOT, F0 를 검색어로 두고 검색하면 많이 나온다. 물론 아직까진 기식의 차이가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았다. 귓속말을 할 때는 음의 고저를 구분하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
[1] ㅅ은 제외된다. 이유는 과거에 있었던 반치음 유성음 무성음이 각각 2가지의 성질이 있었는데 여기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성음 ㅇ과 무성음 ㅅ으로 분화되었다. 즉, ㅅ은 무성음으로 고정되었으니 절대 유성음으로 발음할 수 없다는 것이다. 가끔 사람에 따라 ㅅ에 성대를 넣는 사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