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제국 의 대외 전쟁·분쟁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
전쟁·전투 | 교전국 | |
<colbgcolor=#004DB1>
몽골-서하 전쟁 ,1205 ~ 1227, |
서하 | ||
몽골-금 전쟁 ,1211 ~ 1234, |
<colbgcolor=#004DB1>
오사보 전투·야호령 전투·회하보 전투 ,1211, |
금나라 | |
대창원 전투 ,1229, |
|||
도회곡 전투 ,1231, |
|||
삼봉산 전투 ,1232, |
|||
몽골-호라즘 전쟁 ,1219 ~ 1221, |
파르완 전투 ,1221, |
호라즘 왕조 | |
제베와 수부타이의 서부 원정 ,1220 ~ 1223, |
칼가강 전투 ,1223, |
||
여몽전쟁 ,1231 ~ 1259, |
|||
레그니차 전투 ,1241, |
|||
모히 전투 ,1241, |
헝가리 왕국 | ||
몽골-남송 전쟁 ,1235 ~ 1279, |
단평의 입락 ,1234, |
남송 | |
악주 전투 ,1258, |
|||
조어성 전투 ,1259, |
|||
정가주 전투 ,1275, |
|||
양양 공방전 ,1235~1273, |
|||
애산 전투 ,1279, |
|||
삼별초의 난 ,1270 ~ 1273, |
|||
아인 잘루트 전투 ,1260, |
|||
일본 원정 ,1274, 1281, |
|||
베트남 원정 ,1257, 1284, 1287, |
쩐 왕조 | }}}}}}}}} |
야호령 전투 | |||||
몽골-금 전쟁의 일부 | |||||
전투 일정 | |||||
1211년 8월~10월 | |||||
장소 | |||||
금나라 야호령(현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완치안 구) | |||||
교전국 | |||||
금나라 |
[[몽골 제국| ]][[틀:국기| ]][[틀:국기| ]] 몽골 |
||||
지휘관 | |||||
완안승유 |
[[몽골 제국| ]][[틀:국기| ]][[틀:국기| ]] 칭기즈 칸 [[몽골 제국| ]][[틀:국기| ]][[틀:국기| ]] 오고타이 [[몽골 제국| ]][[틀:국기| ]][[틀:국기| ]] 무칼리 |
||||
병력 | |||||
약 350,000명[1] | 기병 90,000~110,000 명 | ||||
피해 규모 | |||||
궤멸 | 사상자 20,000명~30,000명 | ||||
결과 | |||||
몽골군의 대승리 | |||||
영향 | |||||
몽골군이 몽골-금 전쟁에서의 주도권을 잡다. |
[clearfix]
1. 개요
1206년 몽골 초원이 통일되고 5년이 지난 1211년 8월, 금나라와 몽골 울루스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이 전투에서 대승을 거둔 몽골이 이후 23년 동안 이어지는 금나라와의 전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2. 배경
12세기 이후 동아시아의 강자로 떠오른 금나라는 몽골 고원에 있는 여러 부족들을 관리해서 변방의 안정을 유지하려고 했다. 이 과정에서 몽골 고원의 제부족들 사이를 이간질해서 서로 싸우게 하거나 일부 부족들을 포섭해서 금나라에 적대적인 부족들을 견제했다. 이러한 금나라의 교묘한 대외 정책은 몽골의 힘을 약화시키는데 있어서는 성공적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많은 몽골 부족들이 금나라에 대해 깊은 원한을 가지게 만들었다. 13세기에 접어들면서 몽골 부족들 중 하나인 카마그 몽골에서 테무진이라는 인물이 나타나 초원의 여러 부족들을 평정하고, 1206년, 몽골 고원을 통일하면서 칭기즈 칸이라는 칭호를 받게 되었다. 금나라에 적대적이었던 칭기즈 칸은 먼저 제도를 정비하며 힘을 키우고, 통합된 몽골 군대를 총동원하여 금나라를 침공하려고 했다. 한편 칭기즈 칸의 몽골 통일로 인해 영향력을 상실한 금나라는 다가오는 몽골군의 습격에 대비하여 국경 지대를 따라 약 300km에 걸쳐 요새와 장벽을 건설했다.3. 전초전 : 오사보 전투
1211년 3월, 100,000명 가량의 몽골 군대가 금나라 정벌에 나섰다. 3남인 오고타이를 시켜서 서경(현 다퉁)을 공격하도록 하고, 칭기즈 칸 자신은 본대를 이끌며 국경 근처의 요새인 오사보에 도착했다. 오사보에는 금나라군 기병 30,000명~50,000명 정도가 주둔하고 있었다. 6월까지의 전투 끝에 금나라군이 한큐에 박살이 나면서 몽골군은 오사보를 함락시켰다.( 오사보 전투)이에 금나라군의 총사령관 완안승유(完顏承裕)는 흩어져 있었던 군대를 모아 300,000명 정도의 대군을 이끌고 몽골군을 한번에 전멸시키기로 했다. 완안승유는 기병 위주의 몽골군을 상대하기 위한 전장으로 산악 지대에 있는 야호령을 선택하고, 이곳으로 금나라의 주력군을 집결시켰다. 잠시 몽골군을 휴식시키며 금나라와 협상을 벌이고 있었던 칭기즈 칸 역시 완안승유 휘하의 대군이 야호령으로 집결하고 있다는 첩보를 듣자 금나라의 주력군을 격파하기 위해 야호령으로 몽골군을 이동시켰다. 이로써 1211년 8월, 역사적인 야호령 전투가 벌어지게 되었다.
4. 제1차 격전: 야호령 전투
야호령의 산악 지형은 기병이 활동하기에 적절하지 않아서 기병들은 말에서 내려 보병처럼 싸워야 했다. 이는 경기병 위주로 구성된 몽골군에게 심각한 페널티였지만, 반면에 금나라 입장에서도 험준한 산악 지형에서 각 부대가 이동하거나 다른 부대와 연계 공격을 펼치는데 제약이 많아서 수적인 우세를 활용하기 어려웠다. 이에 몽골군은 병력을 집중시켜 지형을 따라 흩어져 배치된 금나라 군대를 각개격파하기로 했다.칭기즈 칸은 먼저 부하 장수인 잘라이르 무칼리에게 결사대를 주어 환아취(獾兒嘴)로 보내 기습 공격을 시켰다. 무칼리는 이때
"금군을 격파하기 전에는 살아서 돌아오지 않겠습니다."
라고 약속한 후 떠났다. 무칼리의 군대가 금나라 진영을 우회하여 배후를 공격하는 사이, 몽골군의 주력은 결사적으로 싸워 금나라군의 정면을 돌파하고, 완안승유의 중앙 군영에까지 도달했다. 험한 지형 때문에 부대 사아의 연락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던 금나라군의 좌익과 우익은 제때 중앙을 구원하러 오지 못했고, 무칼리에 의해 후방까지 교란당하면서 금나라군은 수적인 우위를 살리지 못한채 무너져 내렸다.좁고 험한 지형에 지휘 체계까지 붕괴된 금나라군은 수백리나 정신없이 후퇴해야 했고, 결국 이 야호령 전투에서 약 200,000여 명을 상실했다.
5. 제2차 격전: 회하보 전투
이후 완안승유는 약 50,000명 정도의 패잔병을 회하보(澮河堡)에서 수습했다. 그러나 곧 추격해온 몽골군이 당도하여 1211년 10월, 회하보 전투가 벌어졌다. 3일 동안 벌어진 전투에서 몽골군은 칭기즈 칸이 직접 3,000명의 기병을 이끌고 돌격해올 정도로 격렬하게 싸웠고, 사방을 포위한 몽골군의 이러한 집요한 공격에 금나라군은 전멸했다. 이때 총지휘관인 완안승유는 겨우 목숨만 건져 참혹한 전장에서 빠져나올 수 있었다.6. 결과
금나라가 전성기였을 때 동원 가능했던 최대 병력수가 약 90만 명~100만 명 가량으로 짐작되는데, 오사보, 야호령, 회화보에서 무려 350,000명 정도를 한번에 상실했다. 뿐만 아니라 이후 화북의 목초지들을 몽골군에게 빼앗기면서 금나라군의 기병 전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비록 금나라의 인구가 몽골 제국보다 40배나 많고, 경제력의 차이는 그 이상이라, 이후 공성전에 미숙한 몽골군을 상대로 어찌저찌 20여 년을 버티기는 했지만 주력군, 특히 중기병을 상실한 금나라군은 야전에서의 우위를 확보하지 못했다.반면 몽골군도 최소 20,000명 정도의 사상자를 냈지만, 그 뒤의 병력수를 감안하면 사상자는 많아봐야 30,000명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말 그대로 몽골군의 대승이라고 봐도 무방했다.
존망의 위기에 빠진 금나라는 장강 이남의 남송을 정복하여 세력을 회복하려고 했는데, 결국 남송을 정벌하지 못했고, 오히려 남송이 몽골에 협력하게 되는 계기만 마련해 주었다. 그 유명한 남송의 명장 맹공과 겨뤄 오히려 산둥까지 뒤집어질 뻔 했다. 그나마 금나라에게는 다행스럽게도 1219년부터 몽골군의 주력이 호라즘 왕조를 비롯한 서역의 전장으로 이동하면서, 금나라군은 한동안 동아시아 전역에 남겨진 몽골군과 일진일퇴를 거듭하며 근근히 버틸 수 있었다. 그러나 서역을 정벌하던 칭기즈 칸의 아들들이 몽골군의 주력을 이끌고 돌아오면서 결국 1234년 몽골-남송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고 말았다.
[1]
오사보 50,000명, 야호령+회하보 300,00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