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33:28

아이와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33,#ddd><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fff,#fff>
||<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rowbgcolor=#fff,#fff> 파일:오디오테크니카 ATH-R70x.jpg || 일본의
[[틀:일본의 오디오 회사|
오디오 제조회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소니 로고.svg 파일:야마하 로고.svg 파일:파나소닉 로고.svg 파일:external/www.realwire.com/AT_bw_a_3.jpg
소니 야마하 파나소닉 오디오테크니카
파일:JVC 로고.svg 파일:켄우드 로고.svg 파일:external/www.hometheaterreview.com/denon_logo.jpg 파일:Marantz logo.jpg
JVC켄우드 D& M 홀딩스
파일:external/logonoid.com/teac-logo.png 파일:final_logo.svg 파일:온쿄 홈 엔터테인먼트 로고.svg 파일:파이오니아 로고.svg
티악 파이널 온쿄 파이오니아
파일:아이와.svg 파일:stax logo.jpg 파일:akai_logo.png 파일:nakamichi).jpg
아이와 스탁스 아카이 나카미치
}}}}}} }}} }}} ||


파일:아이와.svg
▲ 1991년부터 2003년까지 사용된 아이와 로고. 소니에 합병된 시기인 2003년에 로고가 바뀌었으나, 후술할 재탄생 브랜드는 이 로고가 사용된다.

1. 개요2. 역사
2.1. 창립과 몰락2.2. 브랜드 부활
3. 제품 목록
3.1.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3.1.1. 1980년대 출시 모델3.1.2. 1990년대 출시 모델3.1.3. 2000년대 출시 모델
3.2. 붐박스
3.2.1. 라디오 카세트3.2.2. CD 라디오 카세트
3.3. 미니컴포넌트3.4. 카오디오3.5. TV, LED

1. 개요

일본 아이와 홈페이지

1951년부터 2002년까지 존재했던 일본의 전자제품 회사 및 브랜드. 1969년에 소니가 인수해 소니의 자회사가 되었고, 2002년부터 소니에 합병되어 소니의 상표가 됐다가, 2008년에 폐지되었다.

이후 2015년과 2017년에 각각 미국 일본 기업에 상표를 매각해 브랜드가 부활하였다.

2. 역사

2.1. 창립과 몰락

1951년 초대 창업주인 이케지리 미츠오(池尻光夫)가 일본 도쿄에서 '아이큐(愛興)전기산업'이라는 사명으로 설립했으며, 1959년에 상표명인 '아이와(AIWA)'로 사명을 변경했다. 1969년 실적 부진으로 소니가 인수해 소니의 자회사가 되었으며, 이케지리 미츠오는 이를 책임지고 물러났다. 이후 아이와의 역대 CEO들은 모두 소니에서 임명한 사람들이었다. 이후로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붐박스, 미니컴포넌트, 카오디오, 휴대용 라디오 등 다양한 아날로그 음향기기를 출시했다.

특히 아이와의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는 특유의 음색 때문에 경쟁 제품인 소니 워크맨을 제치고 이 회사 제품을 찾는 사람이 제법 있었다. 아이와의 히트작인 HS-JX505와 HS-JX707은 레전설 수준으로 대중화된 하이엔드 명기. 당시 소니 파나소닉이 채택한 Ni- Cd/Ni-M H(1.2V) 껌전지 대신 2V짜리 납축전지를 사용한 게 특징이었다.[1] 다만, 세월이 흐르면서 콘덴서 품질에 문제가 발생했고,[2] 한국에선 저가형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3]가 많이 수입된 탓인지 대체로 저가 브랜드라는 인식이 있었던 듯했다.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 디지털 시대가 도래됐음에도 아이와는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를 비롯한 아날로그 음향기기에 집착한 탓에 2000년대 들어서 파산 위기에 직면해, 결국 2002년 10월 1일 부로 소니에 합병되어 상표로만 남게 되었다.

2002년 이전 아이와에서 출시한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는 그 특유의 구조 탓에 애호가들이 수리에 애를 먹고 있다.[4]

아이와를 합병한 소니는 아이와 로고를 다시 만들었고, 청소년 및 젊은층을 어필하는 브랜드로 육성하려고 했으나, 신통치 않았다. 사실 소니 상표의 기종들을 디자인만 약간 변형[5]하거나 디자인까지 소니의 것을 그대로 재탕[6]하는 등의 문제가 있긴 했었다. 일부 저가형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는 소니 합병 전의 모델이 그대로 계승된 것이었다.

결국 2006년부터 2008년까지의 기간 동안 소니는 아이와의 상표를 단 제품들을 모두 단종시켰다.

공식 홈페이지는 http://www.aiwa.com이지만, 브랜드가 버려진 상황에도 한 동안 홈페이지를 그대로 유지했으나, 현재는 소니 홈페이지에 접속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일본어 홈페이지는 현재도 운영 중이지만, 한국어 홈페이지는 소니코리아가 현재 여의도로 이전한 상태[7]인데도 아직도 주소가 강남구 삼성동으로 표기되어 있었다. 대표이사 이름도 여전히 ' 윤여을'로 표기된 것으로 보니 2007년 시점에서 시계가 멈춰선 것으로 추정됐고, 결국은 폐쇄되었다.

.com이 아닌 co.kr 도메인을 쓰던 국내 홈페이지는 Whois 도메인 검색 결과 1999년 등록, 2003년 마지막 정보 수정, 2013년 10월 15일 도메인 사용 종료일로 검색된다. 그나마 남아있는 홈페이지도 2019년 중반, 접속 불가가 되었다.

2.2. 브랜드 부활

2015년 미국 시카고의 한 기업가가 소니에게서 아이와 상표를 사서 새로운 독립 회사를 차렸다. 북미 지역에서는 아이와 상표를 단 제품들을 다시 만날 수가 있다. 미국 공식 사이트 로고는 소니 합병 직전 것을 사용한다.

2017년에는 일본에서 아이와가 재탄생했다. 소니의 라디오 제품을 위탁생산( OEM)하는 토와다 오디오(十和田オーディオ)가 2월에 브랜드를 인수하여, 4월에 그 자회사로 아이와 주식회사를 설립하였다( 관련기사). 9월부터 TV, 휴대용 오디오 등을 일본에 출시할 예정인 것으로 보도되었다.

2018년 11월에는 단파 라디오 AR-MDS25, AR-MD20를 출시할 예정이지만, 사실 TECSUN의 OEM 기종이다(...). PL-398MP, PL-310ET에 아이와 상표만 붙여놓은 격.

3. 제품 목록

3.1.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3.1.1. 1980년대 출시 모델

  • TPS-30(1980) : 아이와 최초의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이며, 녹음 기능이 있다.
    이후 오토리버스 기능을 추가한 카세트보이(CassetteBoy)라는 기계식 모델들을 선보이며 대중들에게 각인이 되었다.
  • HS-JL303 시리즈(1984)
    • 해당 모델 : HS-JL303, JL30
  • HS-J09 시리즈(1986)
    • 해당 모델 : HS-J9, J09, J600
    • 5BAND E.Q가 채용됐으며, 당시 음질 부분에서 최고라 평가받았다.
      파일:아이와 HS-J09.jpg
  • HS-J10(J101)(1987)
    • 위의 HS-J09의 후속작이다.
      이후 아이와는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최고 전성기 시절인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아이와 특유의 음색을 가진 명기들을 출시했다. 아이와만이 가졌던 음색 및 특장점을 가진 명기들은 아래와 같다.
  • HS-JX101 시리즈(1987)
    • 해당 모델 : HS-PX10, JX10, JX101
  • HS-JX303 시리즈(1989)
    • 해당 모델 : HS-JX303, PX30, RX30, TX303, JX30
    • DSL 및 HX HEAD[8]가 채용되었다.
    • DSL(Dynamic Super Linear bass)은 하이엔드 모델에 장착되어 저음은 깊고 매우 유연하며 우수하다.[9]
      파일:아이와 HS-JX303 시리즈.jpg

3.1.2. 1990년대 출시 모델

  • HS-JX505 시리즈(1990)
    • 해당 모델 : HS-JX505, PX50, JX50, RX50, JX2000, EX50
    • 2단 BBE[10] 및 DSL, HX HEAD가 채용되었다.
    • BBE SYSTEM(BBE High Definition Sound System)은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들 중 유일하게 아이와만 채용한 사운드 시스템이다.[11]
      파일:아이와 HS-JX505 시리즈.jpg
  • HS-JX707 시리즈(1991)
    • 해당 모델 : HS-JX707, PX70, RX70, RX910, JX909, JX929, JX70, JX3000, EX3000
    • 2단 BBE[12] 및 DSL, AMORPHOUS HEAD,[13] Voice Navigation이 채용되었다.
    • Voice Navigation은 버튼 작동 시 여성 목소리로 알려주는 음성 안내 기능이며, 상급 모델에 소수 채용되었다.[14]
    • 시리즈 중 HS-JX909, JX3000, EX3000은 금장 모델이다.
      파일:아이와 HS-JX707 시리즈.jpg
  • HS-PX1000(1991)
    • 4 EQ and BBE, MSP, AMORPHOUS HEAD, Titanium Body, Sound Analyzer LCD Screen, Dolby C가 채용되었다.
    • 출시 후 당대의 전성기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들을 모두 평정한 기기로 일명 "The Boodo Khan Killer"로 불리운다.[15]
    • 아이와의 40주년 기념 모델이며, 이 모델부터 아이와 로고가 대문자(AIWA)에서 소문자(aiwa)로 바뀌었고,[16] 아이와가 남긴 최고의 명기다.
      파일:HS-PX1000.jpg
  • HS-JX810(1992)
    • 2단 BBE, 4 EQ presets(Flat, Pop, Rock, Jazz), AMORPHOUS HEAD가 채용되었다.
    • M.S.P(Multi Sound Processor)은 음악의 다양한 스타일의 음장을 감상하기 위해 Flat / Pop / Rock / Jazz 4개의 프리셋 사운드 모드를 장착한 것이다.
    • 유사한 디자인의 HS-JX828은 BBE 음장 모드가 빠지고 HX HEAD 및 AM STEREO가 채용된 모델이다.
      파일:HS-JX810.jpg
  • HS-JX849(1995)
    • 2단 BBE, 4 EQ presets(Flat, Pop, Rock, Jazz)이 채용되었다.
    • 이 모델의 변종 모델인 HS-JX838은 BBE가 빠지고 AM STEREO, AUTO VOLUME 기능이 들어갔다.
      파일:HS-JX849.jpg
  • HS-JX859, JX959(1995)
    • 2단 BBE, 4 EQ presets(Flat, Pop, Rock, Jazz), Dolby B NR이 채용되었다.
    • JX859와 JX959의 차이는 버튼의 색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은색 버튼 모델이면 JX859, 금색 버튼 모델이면 JX959다.
    • BBE SYSTEM을 마지막으로 채용한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다.
      파일:HS-JX859.jpg
      파일:HS-JX959.jpg
  • HS-RX650(1996)
    • Super Bass, Dolby B NR이 채용되었다.
    • 라디오 밴드는 FM 밴드 1개, AM 밴드 1개를 지원한다.
      파일:HS-RX650.jpg
  • HS-JX759(1996)
    • Super Bass, Dolby B NR이 채용되었다.
    • 라디오 밴드는 FM 밴드 2개(FM1, FM2), AM 밴드 1개를 지원한다.
      파일:HS-JX759.jpg

3.1.3. 2000년대 출시 모델

  • HS-JX869, JX899(2000)
    • DSL, Dolby B NR이 채용되었다.
    • 라디오 밴드는 FM 밴드 2개(FM1, FM2), AM 밴드 1개를 지원한다.
    • JX869와 JX899의 차이는 부속된 리모콘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버튼형 리모콘이 부속된 모델이면 JX869, LCD 액정 리모콘이 부속된 모델이면 JX899다.
      파일:HS-JX869.jpg
      파일:HS-JX899.jpg
  • HS-JL959(2003)
    • DSL, Dolby B NR이 채용되었다.
    • 라디오 밴드는 FM 밴드 2개(FM1, FM2), AM 밴드 1개를 지원한다.
    • 이 모델에 들어 아이와 로고가 바뀌었다.
      파일:HS-JL959.jpg

3.2. 붐박스

3.2.1. 라디오 카세트

  • CS-P1(1995)
    파일:CS-P1.jpg
  • CS-P77(2000)
    파일:CS-P77.jpg
  • RM-P306(2003)
    파일:RM-P306.jpg

3.2.2. CD 라디오 카세트

  • CSD-ES70(1996)
    파일:CSD-ES70.jpg
  • CSD-TD31(2000)[17]
    파일:CSD-TD31.jpg
  • CSD-EL33(2001)
    파일:CSD-EL33.jpg
  • CSD-EL200(2001)
    파일:CSD-EL200.jpg
  • CSD-EL201(2003)
    파일:CSD-EL201.jpg
  • CSD-A200(2005)
    파일:CSD-A200.jpg
  • CSD-AM700(2006)
    파일:CSD-AM700.jpg

3.3. 미니컴포넌트

  • NSX-BL54(2000)
    파일:NSX-BL54.jpg
  • XR-DB30(2005)
    파일:XR-DB30.jpg

3.4. 카오디오

  • WD-X500M
    파일:아이와 카오디오.jpg

3.5. TV, LED

  • 인도,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는 90~2000년대에 일본이나 북미 시장에 없는 텔레비전(T.V)을 만들어 판매하기도 했다. 아직도 인도 시장에서는 LED TV를 판매 중이다.
    • 일본 시장에서도 90년도에 판매한 적이 있긴 하지만, 2000년도부터 중단한 듯 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현재는 세월에 의해 완전 방전 상태인 전지가 많고, 납 축전지 특성상 충전이 안 된다.
파일:KakaoTalk_20190330_005343920.jpg
형태는 소니의 껌전지와 거의 동일한 폼 팩터인데, 양극 단자가 양끝이 아닌 전면 위쪽에 나란히 모여 있다.
[2] 전성기 때 출시된 모델 다수는 이 현상 때문에 콘덴서 교체가 필수. 콘덴서 품질 문제는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에 출시되었던 일본 전자제품의 공통적인 종특인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 나온 소니 단파 라디오도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특히 플래그십 PLL 기종) [3] 주로 1990년대 후반~2000년대 모델이다. [4] 위에서 언급한 콘덴서 누액 문제는 물론이고, 대다수의 기종들이 소모품인 벨트만 교체할 때에도 PCB의 납땜을 풀어야 교체 가능하다. 또한 파나소닉처럼 데크부 잔고장도 간간히 보이며, PCB의 내구성이 약한 편인 등 수리하는 입장에서는 총체적 난국. 반면 1998년 이후에 출시된 소니의 후기형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기종들은 수리에 용이하게 설계된 구조로 그 방면에서는 호평을 받는다. [5] 소니의 ICF-T45, ICF-R350 등을 디자인만 바꾼 휴대용 라디오 [6] 소니의 일부 CD 라디오 카세트 [7] 여의도로 이전하기 직전에는 서초구 방배동에 있었다. [8] 다른 헤드와 달리 표면에 굴곡져 있다. [9] 일부 모델은 2단 조절이 가능하다. 이후 후에 나온 보급형 모델 중 일부 모델에도 사용되었다. 보급형 모델의 대부분은 Super Bass가 채용되었다. [10] 단, PX50은 슬라이드형 스위치가 채용되었다. [11] 이후 코원의 MP3 플레이어에도 BBE가 채용되었다. [12] 단, PX70은 이 기능 누락 [13] 단, PX70은 HX HEAD [14] 이러한 음성 안내 기능은 훗날 소니의 W 시리즈 운동용 워크맨에도 사용이 되었다. [15] Boodo Khan은 소니 워크맨 DD-100의 별칭이다. DD-100 겉면에 " 武道館"과 "BOODO KHAN"이란 문구를 써놨기 때문이었다. [16] 위에 상술한 HS-JX707 시리즈 역시 일부 후기 생산분과 일부 모델은 소문자 로고가 사용되었다. [17] 여담으로 이 모델은 만화 " 아즈망가 대왕"의 한 장면에서 6 주인공이 사용한 CD 라디오 카세트로 애니화되어 등장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