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12-27 10:28:01

아오르노스 공방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원정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그리스, 발칸 전역
카이로네이아 전투 하이모스 산 전투 페우체 섬 공방전 펠리움 공방전 테베 공방전
페르시아 제국 정복전
그라니코스 전투 밀레투스 공방전 할리카르나소스 공방전 이소스 전투 티레 공방전
가자 공방전 가우가멜라 전투 욱시이 협곡 전투 페르시아 관문 전투 키로폴리스 공방전
야크사르 전투 소그디안 바위 요새 공방전 코리에네스 바위 요새 공방전
인도 원정
코펜 원정 아오르노스 공방전 히다스페스 전투 상갈라 공방전 말리 원정
}}} ||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기원전 326년 초, 알렉산드로스 3세가 이끄는 마케도니아군이 코펜 원정 중 아스바카 족의 아오르노스 요새를 공략한 공방전.

2. 상세

기원전 327년 5월, 알렉산드로스 3세는 인도 정벌에 착수해 코펜 강(현재 카불 강)을 따라 진군하며 카불 계곡의 여러 부족들을 제압했다.( 코펜 원정) 그러던 중 아스바카 족 주민들이 도시를 떠나 아오르노스 산으로 도주했다는 소식이 들어오자, 그는 그곳으로 향했다. 아오르노스 요새는 헤라클레스도 정복하지 못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질 정도로 험준하기로 유명한 곳이었다. 다만 아리아노스는 "사람들이 이 바위산을 좀더 위압적인 곳으로 표현하기 위해 헤라클레스의 이름을 끌여들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 산의 둘레는 약 40km였고, 높이는 봉우리를 빼고도 약 2,440m에 가까웠다고 한다. 올라가는 길은 바위 표면을 깎아서 만든 험한 외길밖에 없었으며, 산꼭대기의 샘에서는 깨끗한 물이 흘러넘쳤고, 숲과 1,000명이 경작할 만한 비옥한 농토도 있었다고 한다.[1]

알렉산드로스는 이런 이야기에 고무되었으며, 이곳을 정복하면 주변의 부족들이 복종할 거라 믿고 반드시 자신의 것으로 삼기로 마음먹었다. 그는 헤타이로이의 일원인 니카노르를 인더스 강 서쪽 영토의 총독으로 임명한 뒤, 아오르노스 산으로 행군하다가 페우켈라오티스 시를 항복시킨 뒤 필리포스가 지휘하는 마케도니아 병사들을 주둔시켰다. 이외에도 인더스 강 유역의 여러 지역이 그의 수중에 들어갔다. 이후 아오르노스 산에서 가까운 도시인 엠볼리마에 도착하자, 그는 군의 일부를 크라테로스에게 맡기고 장기간 버티는 데 필요한 물자를 충분히 비축하라고 명령했다. 만약 공격으로 산을 공략하지 못한다면, 엠볼리마를 기지로 삼아 장기 포위전에 돌입해 수비대를 약화시킬 작정이었다.

그 후 궁수들, 아그리아니아군, 코이노스의 보병대, 200명의 헤타이로이, 100명의 궁기병들을 이끌고 바위산으로 들어간 알렉산드로스는 이틀간 산길을 따라 진군했다. 그러던 중 일부 주민이 알렉산드로스를 찾아와서 굴복의 뜻을 전한 뒤, 바위산에서 가장 취약한 지점을 안내하겠다고 했다. 알렉산드로스는 그 말을 받아들이고, 프톨레마이오스에게 아그리아니아군, 그밖의 경보병대, 근위대의 정예부대를 이끌고 안내자들을 따라가서 진지를 확보한 뒤 철저히 수비하라고 명했다. 그리고 성공할 경우 신호를 보내 알리라고 했다. 픝로레마이오스는 적에게 들키지 않고 무사히 진지에 도착한 뒤, 도랑을 파고 방책을 세워 안전을 확보한 후, 고지에서 봉화를 올렸다.

알렉산드로스는 봉화를 확인한 뒤 다음날 진군을 시작했다. 그러나 적군의 강한 저항에 부딪친 데다 지형이 너무 험해서 한동안 별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수비대는 전 병력을 동원해 프톨레마이오스 쪽으로 돌격하여 방어벽을 허물려 애썼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전력을 다해 수비했고, 적군은 투척 무기의 위력에 놀라 해질 무렵 퇴각했다. 알렉산드로스는 인근 지리를 잘 아는 인도인 탈주병 중 믿을 만한 인물을 전령으로 뽑아 야밤에 프톨레마이오스에게 서신을 보냈다. 현재 차지하고 있는 진지를 지키는 데 주력하지 말고 자신과 함께 적을 협공하자는 것이었다. 이튿날 동틀 무렵에 출발한 알렉산드로스는 적의 끈질긴 저항에 굴하지 않고 한 중대씩 차례로 비탈을 오르게 해, 해가 질 무렵 프톨레마이오스의 군대와 합세했다.

이제 하나가 된 마케도니아군은 바위산을 공격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다음날 새벽, 알렉산드로스는 모든 병사에게 말뚝을 100개씩 만들어 현재 진을 치고 있는 산마루에서 아오르노스 산쪽으로 높을 토루를 쌓게 했다. 토루 위로 올라가서 수비대를 향해 화살과 돌을 퍼부으려 한 것이다. 알렉산드로스는 전 병력을 동원해 토루 공사에 투입시키면서, 직접 작업을 감독하면서 병사의 잘잘못을 가려 상벌을 내렸다. 첫날에 토루를 180m 정도 쌓았고, 이튿날엔 이미 완공된 지점에 궁수들과 투석병들이 올라가서 적군의 반격을 대비했다. 사흘째가 되자 토루가 어느 정도 완성되었고, 나흘째에는 소수의 마케도니아 병사들이 바위산과 같은 높이의 또 다른 고지를 점거했다. 알렉산드로스는 즉시 이 새로운 진지까지 연결되도록 토루를 확장시키라고 지시했다.

수비대는 완성된 토루가 다른 고지로 이어지는 모습을 확인하자 더이상 저항하는 건 무리라고 여기고, 바위산을 넘겨줄 의향이 있으니 협상하자고 제안했다. 그들은 협상을 질질 끌다가 야밤을 틈타 달아나 고향으로 흩어지려 했다. 알렉산드로스는 적의 의도를 간파하고 달아날 시간을 충분히 준 뒤 바위산 전체에 배치했던 초계병들을 철수시켰다. 이후 700명의 근위대와 호위대를 이끌고 무장해제된 바위산으로 향했다. 알렉산드로스가 선두에서 나아갔고, 병사들은 서로 끌어주면서 뒤따랐다. 그들은 곧 후퇴하던 적병을 발견해 공격했다. 많은 인도인이 이 과정에서 목숨을 잃었는데, 그 중에는 낭떠러지에 몸을 던져 자살한 자들도 여럿 있었다.

이리하여 아오르노스 산을 손에 넣은 알렉산드로스는 산 정상에서 제사를 올린 뒤 그곳에 병사들을 주둔시키고 시시코투스라는 인도인에게 관리를 맡겼다. 그 후 아오르노스 산을 떠나 카불 계곡의 남은 부족들을 모두 복종시킨 뒤, 인더스 강을 건너 히다스페스 강으로 진군했다. 히다스페스 강 건너편 지역을 지배하고 있던 파우라바 왕국의 라자 포루스가 복종을 거부하고 군대를 동원하자, 그는 이를 쳐부수기로 했다. 그리하여 양자는 기원전 326년 5월 히다스페스 전투를 치렀다.


[1] 역사가 스테인은 이 산이 피르사르 산이라고 주장했다. 피르사르 산은 아토크에서 북쪽으로 약 120km 떨어져 있으며, 인더스 강이 내려다 보이고 해발 2134m를 약간 넘는 평정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