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9 05:58:17

시부야계

시부야 음악에서 넘어옴
시부야계의 대표곡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플리퍼즈 기타 - Young, Alive, In Love 피쉬만즈 - Baby Blue
피치카토 파이브 - Baby Portable Rock 토와 테이 - Technova
}}}}}}}}} ||
시부야계
渋谷系 / Shibuya-kei
<colbgcolor=#FFD800><colcolor=#000> 기원 장르 팝 음악( 시티 팝, 인디 팝, 선샤인 팝, 오케스트라 팝), 라운지 뮤직, 소울, 펑크, 힙합, 일렉트로닉 음악( 하우스), 재즈, 보사노바, 예예[1]
지역
[[일본|]][[틀:국기|]][[틀:국기|]]
등장 시기 1990년대 초반, 일본 도쿄 시부야구
시대 1990년대 초반 ~ 현재
전성기 1990년대 중반 ~ 1990년대 후반
파생 장르 네오 시부야계
연관 장르 아키바계, 챔버 팝
1. 개요2. 정의3. 일본 국외로의 확장
3.1. 한국에서의 시부야계3.2. 한국 외
4. 기타5. 시부야계 아티스트

[clearfix]

1. 개요

일본 대중음악의 한 장르. 일본어 발음 그대로 시부야케이라고도 한다. 국내에서는 시부야 음악, 시부야 팝이라고도 불린다. 사실상 아키바계라는 용어는 이 단어에 대응해서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

흔히 시티 팝과 혼동되는 경우가 있으나, 시부야계는 흔히 80년대 초에 발생한 AOR이나 어덜트 컨템포러리의 종류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다만 오리지널 러브처럼 이 둘 간의 가교 역할을 했던 밴드도 있다.

2. 정의

80년대 일본의 지배적인 음악장르는 아이돌계나 엔카였는데, 시부야계는 아이돌도 엔카도 아닌 음악들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시작되었다. 만약 동일한 명명법이 2000년대 한국 음악계에도 적용된다면 한국 인디/언더그라운드는 '홍대계'로 불릴 수 있다. 작곡/편곡 스타일에 따른 음악의 장르로는 일렉트로니카를 그 바탕에 깔아놓고 위에다가 이나 보사노바, 펑크 등의 음악을 버무린 형태를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출발 자체가 대안 장르(즉, 무엇무엇이 아닌 음악)의 성격을 띄기 때문에 시부야계의 독자적인 정체성이 강하기 보다는 장르 내 아티스트 간 편차가 크다. 특히 전성기를 지난 2000년 이후 들어서는 장르파괴적 경향성이 더해져[2] 아날로그적인 색채를 걷어내고 대신 신스팝같은 장르를 올려놓은 형태 역시 또 시부야계로 분류되기도 한다.

장르 구분이 다소 모호한 편인데 그 이유는 보통의 음악 장르들이 멜로디나 리듬, 악기편성 등 음악을 형식에 의해 분류되었다면, 시부야계가 시부야계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HMV 시부야점, WAVE나 타워레코드 등 시부야에 위치한 대형 음반가게에서 유독 잘 팔리는 음반이라서. 그리고 90년대 일본의 그룹들은 음악의 장르보다 000계(e.g., 비주얼계) 같은 식으로 트렌드 단위로 구별되는 일이 많았기 때문이다. 덕분에 트렌드 단위 구별이 절정에 달한 90년대 중반-말엽에는 별의 별 음악이 다 시부야계로 분류되기도 했다.[3] 덕분에 일부 그룹은 자기 음악이 시부야계로 분류되는 걸 싫어했을 정도.

시부야계에 대한 그나마 합의할 만한 정의는 80년대 이후 팝문화에 충분히 영향을 받은 일본 음악가들 중 시부야 중심으로 활동하던 사람들이 팝의 정서를 따라하기 시작하면서 만들어낸 음악적 공감대라는 것 정도이다. 대표적으로 플리퍼스 기타가 있다. 플리퍼스 기타의 파급력은 가히 한국의 서태지와 아이들에 맞먹었다.

시부야라는 지역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시부야계라는 흐름을 시작으로 일본의 지역마다 음악적인 색체가 체계적으로 분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 중, 시모키타자와를 기반으로 하는 시모키타자와계는 시부야계와는 형제지간되는 사이로[4] 대개 플리퍼즈 기타의 색채에서 일렉트로닉이나 재즈적 감성을 덜고 보다 기타 밴드 본위적인 접근이 특징이다.[5] 대개 플리퍼스 기타에 공감한 뮤지션은 시부야로, 그렇지 않은 뮤지션은 신주쿠로, 관심이 없던 뮤지션은 하라주쿠 키치죠지로 가면서 인디씬을 재편하기도 했다.(보통 시부야로 간 것은 시부야계를 비롯한 DJ스타일의 음악, 신주쿠로 간 것은 포크 록, 하라주쿠 키치죠지로 간 것은 펑크 록과 비주얼계였다).

동시대에 있던 피치카토 파이브는 아이돌급 인기를 얻으면서 판매실적에서는 플리퍼스 기타 이상의 성공을 거뒀다.[6] 이 둘을 중심으로 한 90년대 초반까지의 시부야계를 초기 시부야계로 부르며, 어쨌거나 이때까지는 음악적으로 그나마 비슷하긴 했다.

일본에서는 단어의 유행이 이미 한참 지난 상태라 시부야계라는 단어 자체는 그다지 쓰이지 않는다. 트렌드로 가수 또는 그룹을 구별할 때 쓰는 000계라는 말은 주로 90년대에 쓰였으며, 그 뒤로는 그리 쓰이지 않게 되었다. 2000년대가 되기 직전에 등장했던 빅 밴드 재즈와 팝, 라운지 등이 잡탕된 특유의 스타일의 음악을 칭할 때는 "시부야계" 말고 따로 부를 말이 없기 때문에 가끔 쓰이는 편이다.

그러나 2010년대에 들어서 AKB를 위시한 아이돌그룹들의 인기가 떨어지고 주목할 만한 신인이 더 이상 나오지 않는 등 기존의 제이팝이 인기를 잃어가자 대로운 대안으로 80~90년대의 시부야계가 떠오르고 있다. 일본의 젊은이들은 시부야계를 "힙"한 음악이라고 생각하는 듯. 심지어 90년대에나 쓰던 용어인 시부야계라는 말을 대한민국 등지에서 잘못 쓰기 시작한 것이 역수입돼서 요즘 일본에서는 스스로 시부야계라고 자칭한 적 없는 사람의 장르를 막 시부야계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CAPSULE이다[7]. 그나마 한국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명확하게 시부야계 뮤지션으로 여겨지는 인물은 토와 테이가 있지만, 이 사람도 2000년대 이후로는 일본 내에서는 시부야계 취급을 받고있지 않은 상황이다.

https://drive.google.com/folderview?id=0B72yJP2wv_9gdnZZeVdDeWdESGs&usp=sharing
TBS 문화계라디오 LIFE의 오자와 켄지 특집에서 당시 시부야케이를 젊은 층의 힙스터 문화로써 음악 매니아들에겐 새로운 음악조류로써 받아들였던 당사자들이 나이를 먹고 돌아보며 썰푸는 것을 들어볼 수 있다.

3. 일본 국외로의 확장

시부야계가 일본 대중음악 씬에서 부상하게 된 시기는 전 세계에서 일본 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던 시기와 일치한다. 시부야계나 시티팝은, 동시대의 엔카나 아이돌 음악에 비해 일본 국외 리스너들의 취향에도 맞았기 때문에, 얼터너티브락/인디락 리스너들 사이에서 시부야계 밴드들의 음악이 알음알음 알려지게 되었다.

특히 한국은 일본문화에 대한 개방에 발맞추어 많은 프로듀서들이 시부야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한국 외에도 시부야계의 영향을 받은 아티스트가 많다.

3.1. 한국에서의 시부야계

아래의 내용은 일본의 음악 웹진 "나탈리"에 게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나탈리는 시부야계 특집을 연재하면서 그 중 한 화에서 " 시부야계가 한국에 미친 영향"을 다뤘는데, 무한도전에서 "양평이형"으로 대중들에게 이름을 알린 음악가 하세가와 요헤이와의 대담 형식으로 작성되었다. 한일 양국의 대중음악 사정에 밝은 하세가와인 만큼, 한국 대중음악의 흐름 속에서 시부야계가 어떻게 받아들어졌는지 매우 예리하게 정리하였다.

한국에도 90년대 중반 PC통신을 중심으로 플리퍼즈 기타 피치카토 파이브 등 당시 일본에서 유행하던 시부야계 음악을 실시간으로 접하던 일부 음악 매니아들이 있었지만, 본격적으로 "시부야계"라는 말이 한국에서 쓰이기 시작한 것은 2004년 무렵이다. 이때 싸이월드 미니홈피의 BGM으로 하바드, m-flo, FPM, Nujabes 등의 곡이 많이 쓰이면서, 당시 한국의 소몰이 가요곡과는 대조되는 일본 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시부야계라는 용어가 알려지게 되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한국에서는 일본에서의 정의와는 다른 정의로 시부야계라는 용어가 자리잡았다. 주류 스타일의 가요곡이 아니면서 재즈/라운지스러운 느낌이 있는 일본 음악을 뭉뚱그려서 시부야계로 부르게 된 것이다. 한 마디로 상쾌하고 도시적인 비트에, 피아노 반주가 거의 들어가고, 잔잔하게 시작해 잔잔하게 끝나는 음악 정도가 우리나라에서 흔히 '시부야계'라고 인식되는 것들이다. 위에 언급된 하바드[8] m-flo 뿐만 아니라 DJ KAWASAKI, 프리템포, 다이시 댄스 등의 음악가가 한국에서 "시부야계"라고 불리게 되었는데, 이들은 일본에서는 시부야계로 분류되지 않는다. 오히려 시부야계의 근원인 플리퍼즈 기타 고니시 야스하루의 음악은 2000년대 당시나 지금이나 한국에서 대중적인 인지도가 매우 낮다. 한국에서 왜곡된 시부야계가 아닌 진짜 일본에서의 "시부야계"와 비슷한 느낌의 대한민국 그룹으로는 롤러코스터가 있다.[9]

그리고 이렇게 왜곡된 "시부야계"의 정의를 바탕으로 한국산 "시부야계"를 하는 음악가들이 등장했다. 클래지콰이 프로젝트, 허밍 어반 스테레오, 페퍼톤스[10]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들 팀은 2000년대 중후반 하나의 트렌드를 만들며 한국 대중음악사에 족적을 남겼다. 다만 클래지콰이, 허밍 어반 스테레오는 일렉트로니카 아티스트임을 내세웠지, 본인들이 시부야계 음악을 한다고 주장한 적은 없다. 대중들이 뭉뚱그려서 시부야계라고 불렀을 뿐이다. 한편 다이시 댄스 프리템포의 음악은 2000년대 후반 발흥한 2세대 아이돌 K-POP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대표적으로 남성 5인조 아이돌 그룹 BIGBANG은 프리템포의 영향을 노골적으로 받은 거짓말로 큰 인기를 끌었으며, 하루하루라는 곡은 아예 다이시 댄스가 프로듀싱에 참여했다.

하세가와 요헤이는 이렇게 왜곡된 한국의 시부야계를 가짜 시부야계라기보다는 한국적으로 시부야계를 재해석해서 독자적으로 만든 또 하나의 트렌드로 평가했다. 이렇게 일본의 음악 트렌드를 받아들여 재해석하는 일은 2010년대 한국에서 시티팝이 주목을 받는 현상으로 이어졌다.

3.2. 한국 외

미국의 경우 뉴목 기반의 밴드인 cibo matto가 초창기 공개적으로 시부야계를 지향했다. 프랑스에서는 시부야계와 yé-yé의 룩앤필이 유사하다는 점 때문에 yé-yé 장르의 밴드나 프로듀서 중 시부야계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11] 그 이외에 영국의 싱어송라이터인 모머스가 시부야계 음악가로 분류되는 편인데, 이쪽은 아예 활동지를 시부야계의 발원지인 일본으로 옮겼다.

4. 기타

Hearts of Iron IV의 대체역사 모드 Twilight of the Anthropocene는 중동 역사가 현실과 다르게 흘러가 9.11 테러가 없고 소련과 서방 간 점진적으로 휴전을 한지라 Y2K 낙관론이 지속되어 90~2010년대 초반 정도의 문화에 정체된 느낌의 세계관인지라 라디오에서도 90년대서 2010년대 초반까지의 음악이 나오는데, 그 중 Shibuya Future Listening Club이 시부야계를 테마로 한 채널이다.

2024년에는 뜬금없이 시부야계 밴드인 Satellite Lovers의 앨범 < Sons of 1973>이 유튜브 알고리즘을 통해서 전세계의 음악덕후들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활동 당시에도 인기가 그렇게 많지 않은 밴드였는데 앨범이 발매된지 28년이 지난 현재 재조명받고 있다.

5. 시부야계 아티스트


[1] 1960년대 프랑스 등의 서유럽과 이탈리아 등 남유럽에서 유행한 팝 음악. [2] 현대 대중음악의 장르 분류에서, 전성기가 지난 장르 내에서 장르의 재부흥을 도모하며 장르파괴적인 실험을 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이러한 실험적인 시도 중 한 종류가 히트를 치게 되면 세대교체 내지는 분화를 거친다. [3] 심지어 일본의 국민 락밴드인 미스터 칠드런, 미스터 칠드런의 라이벌이라 불리는 스핏츠도 데뷔 초엔 시부야계라고 구분된 적도 있었지만, 이들은 오히려 시모키타계로 분류되는 편이다. [4] 한국의 홍대 - 합정의 관계처럼 시모키타자와 시부야 두 지역은 지리적으로도 밀접해있기도 하다. [5] 만화에서의 예시로는, 봇치 더 록!의 작중의 밴드인 결속 밴드가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의 모티브가 되는 ASIAN KUNG-FU GENERATION 또한 시모키타계 밴드이다. [6] 정작 피치카토는 79년에 결성해 1987년에 데뷔하던 연식있는 선배 밴드였지만, 상업적으로 부침을 겪다 90년대 들어서야 시부야계로서 뒤늦게 조명받은 케이스에 가깝다. [7] 사실 이들은 6집인 L.D.K. Lounge Designers Killer를 발매하기 전 만해도 전형적인 시부야계 음악을 하고 있었다. 그 이후로는 장르가 완전히 변해서 통상적인 일렉트로닉 음악으로 넘어간 지 오래인데, 다시금 시부야계 뮤지션 대접을 받는 것이다. [8] 이와 관련해서 유희열 라디오 방송에 초청된 하바드가 유희열이 시부야계 운운하자 '시부야계는 이미 끝난 옛날 음악'이라 해서 유희열이 당황한 해프닝도 있었다. 실제로 이들은 시부야계에 속하지 않는다. [9] 물론 롤러코스터는 대외적으로 자신들을 애시드 재즈라고 한다. [10] 앞의 둘과는 달리 인터뷰에서 심벌즈 피치카토 파이브 등에서 여러가지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한 적이 있을 정도로 일본에서의 '시부야계'에 좀 더 가까운 스타일의 음악을 하는 편이며, 실제로 일본에서도 그렇게 불리기도 한다. [11] 대표적으로, Dimitri from Paris가 있다. [12] 본명은 토모유키 타나카. 시부야계 거장으로 그의 음악은 한국 CM 및 BGM에서 제법 알려졌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