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8 04:24:59

서러브레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서러브레드(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Thoroughbred.jpg

Thoroughbred

1. 개요2. 기원3. 건강 문제4. 기타

[clearfix]

1. 개요

품종 중 하나로 17세기 영국에서 경주 능력이 우수한 말을 개량 발굴하기 위해 영국 재래 암말에 아라비안 수말을 교배시켜 만들어진 대표적인 경주마 품종이다.[1] 아라비안 품종의 직계이기에 말 분류로는 '핫블러드' 계열에 들어간다.[2] 영어로는 서러브레드 품종 외에도 동물 등의 '순종' 등 혈통 표현에도 사용한다. '서러브레드'가 정식 외국어 표기이나 #, 과거에는 '더러브레드', '더러브렛'[3]이라 부르기도 했다.

어원은 철저하다는 뜻의 Thorough와 교배를 의미하는 bred의 합성어이다. 다만 혈통 관리가 지금처럼 철저하지 않던 경마 초기 미국에서는 탈출한 말이나 도둑말에 의해 다른 종의 말이 서러브레드 암말을 임신시키거나 서러브레드 숫말이 다른 종의 말을 임신시켰는데 대충 서러브레드라고 등록한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덤으로 심심하면 튀어나오던게 서러브레드하고 교배시키고서 다른 말들하고도 단체로 교배시키고서 태어나는말은 무조건 서러브레드라고 등록하던 경우가 넘처나서 영국에서 저지 규칙(Jersey Art)을 제정한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특유의 날렵한 몸매와 긴 뒷다리, 뛰어난 스프린트 능력으로 19세기 이래 경주마의 대명사가 되었으며, 경마 이외에도 장애물 비월(Show jumping), 종합마술(Eventing), 마장마술(Dressage) 등 승마 종목에도 활용되었다. 과거형인 이유는 승마용 품종인 웜블레드 계통이 1950년대에 보급되어 점차 국제 대회에서 밀려났기 때문. 특히 마장마술계는 60년대에 웜블러드가 대세가 되었으나 8~90년대에 서러브레드 품종으로 국제 무대의 마장마술에서 활약한 킨(Keen)이나 아라크(Arrak)의 사례는 이례적인 경우다.

국제 경마는 의무적으로 이 종만 나올 수 있게 정했다. 그렇다고 서러브레드 경마만 있는 건 아니고, 미국이나 중남미에서 열리는 쿼터 호스 경마, 일본의 썰매 경주인 반에이 경마, 짐말인 샤이어 종으로 열리는 경마 등 한정된 지역이나 국가에서 열리는 여러가지 경마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경마=서러브레드는 아니다. 당장 한국도 제주경마장에서만 열리는 한라마 경마가 있다.[4]

2. 기원

서러브레드의 3대 시조라 불리는 바이얼리 터크(Byerley Turk,1680), 달리 아라비안(Darley Arabian, 1700), 고돌핀 아라비안(Godolphin Arabian, 1724)과 영국의 토산종 암말을 교배시킨 결과 스피드가 뛰어나고 힘이 넘치는 혈통인 지금의 서러브레드가 탄생하게 됐다. 서러브레드의 부계 혈통을 추적하면 95%는 달리 아라비안의 자손[5]이고, 나머지 5%가 고돌핀 아라비안과 바이얼리 터크의 자손이다.

다만 최근 진행된 서러브레드의 유전자 연구는 여기에 왠 유래를 알 수 없는 잡놈의 유전자가 끼어 들어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본래 서러브레드의 근육 발달 조절 유전자 미오스타틴은 기본적으로 T형밖에 없었는데[6], 미국에서 갑자기 C형 유전자를 지닌 말들이 생산되기 시작하더니, 현대 종마 역사상 가장 위대한 대종마인 노던 댄서를 기점으로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한 것이다. 노던 댄서 자신이 대종마였을 뿐만이 아니라 15마리나 되는 노던 댄서의 아들들 역시 대종마가 되었고[7], 노던 댄서의 직계인 새들러스 웰즈 - 갈릴레오 - 프랑켈의 라인이 유럽 최강자의 자리를 계승하고 있으므로, 이 유래를 알 수 없는 잡놈의 영향력은 대단히 크다.[8][9]

그래서 이 유래를 알 수 없는 잡놈이 대체 어디서 나온 것인가를 추측해 보면, 본래 미국에서는 스페인 혈통 말[10]과 서러브레드를 조합하여 단거리 경주에 강한 쿼터 호스라는 품종이 정립되었는데, 이 쿼터 호스는 서러브레드만큼 빠르고 튼튼했지만[11] 어쨌건 유래를 알 수 없는 스페인 혈통이 섞여들어갔다는 문제로 경마에는 참여할 수 없었다.

그러나 넓은 미국 목장 특성상 말들이 울타리를 넘어 자연교배를 하는 짓을 막을 수도 없는 노릇이고, 혹은 목장주들 스스로 단거리에 강한 말을 만들어내고자 하는 욕심으로 각종 술수를 부린 결과[12], 이 쿼터 호스의 혈통이 섞인 서러브레드가 암암리에 돌아다니기 시작했을 거라 추측된다. 서러브레드의 혈통을 철저하게 관리하고자 노력해왔던 영국은 이러한 행태에 학을 때면서 미국의 서러브레드들 전부를 등록취소하는 등의 초강수[13]까지 뒀지만 2차대전 전후 말이 부족해지고 과도한 근친교배로 인한 부작용이 빈발하자 제한을 해제한다. 그리고 이젠 유래를 알 수 없는 잡놈의 혈통인 노던 댄서가 세계 서러브레드 혈통을 지배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놈을 인정한다면 경마 자체의 근간을 뒤흔들 것이 분명하고, 부정하자니 과학적, 정황적 근거가 너무 또렷하니 지금은 다들 쉬쉬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서러브레드로 인정받아 경주에 출주하려면 무조건 서러브레드끼리 자연교배로, 계획 아래 태어난 말로서 국제 혈통서에 출생이 기록되어야 한다. 즉, 서러브레드의 부모는 항상 중매로 맺어져서 절대 인공수정으로는 태어나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비싸디 비싼 종마와 암말을 교배시키는데 있어 사전 정지작업을 하는 시정마가 필요하다. 굳이 생산 효율이 떨어지는 이런 방식을 고수하는 이유는 혈통을 관리함으로써 좋은 경주마를 유지, 개량하려는 것이다...는 핑계고 서러브레드의 프리미엄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물론 인공수정을 허용하는 승마도 혈통 관리는 철저하게 한다. 아무튼 서러브레드의 3대 시조 이후 현재까지 약 20대에 걸쳐서 모든 서러브레드를 생산하고 있다.

경주마와 서러브레드 혈통 정보는 대부분 인터넷에 공개되어 있으며, 한국마사회 말등록원에서도 제공한다. 한국마사회 말혈통 정보

3. 건강 문제

단거리 고속 주행을 위해 희생한 게 매우 많다. 짐을 싣고 장거리를 달리는 것은 불가능할 정도로 지구력이 매우 떨어지고, 성격이 매우 난폭하다거나, 뼈가 부러질 정도의 부상만 입어도 거의 죽음에 이를 정도로 몸이 약하다. 위궤양은 덤. 원래 말은 이 정도의 물몸이 아니다. 오히려 군마처럼 튼튼하게 품종 개량할 수도 있는데, 서러브레드는 오직 속도를 위해 품종 개량을 거치면서 신체에 하자가 생기게 된 것.

또한, 다른 마종보다 확연히 높은 폐출혈(정확히는 Exercise-induced pulmonary hemorrhage, 운동기인성 폐출혈) 발병률도 문제. 2023년 일본 더비에서 스킬빙의 사례와 같이 서러브레드가 경주 중에 갑자기 속력이 떨어지거나 넘어져 죽는 경우가 있는데, 그 원인은 대부분 폐출혈이다. 그 정도는 아니지만 경주 후에 양 콧구멍에서 쌍 코피를 흘리며 들어오는 말은 폐출혈이 의심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폐출혈이 일어난 경주마는 일정기간 출전을 제한하며 고령마는 경주 부담이 큰 중장거리 경주 또는 핸디캡 경주를 피하는 추세다.

이 글을 보면 가히 사망전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속도 하나만을 위한 인간의 마개조 품종 개량이 경주마를 이렇게 만든 것이다. 원래 아시아의 전통적인 명마 개념인 천리마는 속도가 아니라 지구력을 찬미하는 표현이었고[14], 유럽에서도 묵직한 돌격력을 가진 전투마(destrier)[15]의 가치를 제일로 쳤다. 반에이 경마에 쓰이는 품종도 지구력과 내구성을 중시하는 짐말 혹은 군마 계열이라서 서러브레드보다 훨씬 다리 근육이 많고 튼튼하다. 원래 초식동물의 달리기는 지구력 위주로 진화했고, 폭발적인 단거리 달리기는 치타같은 육식동물이 전공이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서러브레드의 진화는 경기를 단 한 번의 전력으로 달릴 수 있는 최소한의 스태미나만 남겨둔 채[16], 속도를 최대한 추구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이 때문에 서러브레드가 달리는 거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짧아지고 부담 중량도 줄어드는 경향이 생겼다. 1700년대 후반에 이클립스는 약 72kg의 부담중량을 지고 경기마다 최소 2마일(3km)이 넘는 거리를 뛰고서도 무사히 은퇴했으나, 현대의 서러브레드는 65kg을 초과하는 부담중량을 지우면 경기 도중 다리가 부러져 목숨을 잃을 수도 있으므로 90년대 후반부터는 되도록 60kg 초반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정한다. 또한 1700년대에는 단거리 경주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지만 이후 6펄롱(1200m)급~마일(1600m)급 경주들이 신설되고, 기존 장거리 경주도 중거리 경주로 전환되며 1400m 이하와 마일 경주가 세분화되는 등의 변화가 생겼다.

또한 경주마의 수명이 길지 않은 편인데 25세 이상 살아도 상당히 장수한 편에 속하며 30세 이상 산 말들은 장수 만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표적인 말이 애로 하마키요, 신잔, 심볼리 루돌프, 시리우스 심볼리, 니시노 플라워, 나이스 네이처, 위닝 티켓, 메지로 도베르 등이 있다. 이중 니시노 플라워는 암말임에도 불구하고 31세까지 살다가 죽었고[17], 나이스 네이처는 35세까지 살다가 2023년에 죽었다.

4. 기타

  • 온라인 게임 마비노기에서 상시 판매 펫으로 판매되고 있다. 상시 판매 펫 중에서는 지상 이동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이 특징으로 지상 이동이 주가 되는 한정 펫의 경우, 대부분 이 펫과 동일한 이동 속도를 가진다. 뒷부분의 'bred'를 한국어로 쓰면 빵을 뜻하는 '브레드'와 같은 탓에 빵말 또는 썰어빵 등으로 불린다.
  • 현재 남아있는 서러브레드 중 9할은 전설적인 경주마 이클립스의 직계 후손이고, 8할은 그의 아들인 포테이토즈의 직계 후손이다.[22]


[1] 정통 순혈 아라비안 품종의 경우 모계 혈통 계승이다. [2] 말은 크게 핫블러드, 웜블러드, 콜드블러드로 구분한다. [3] 1986년 이전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 [4] 2023년 한라마 혈통이 전부 제주경마에서 퇴역하며 사라졌다. 대신 제주경마장의 다른 경기가 제주마 한정으로 서러브레드는 참가할 수 없기에 그런 의미로는 계속 유지되는 중. [5] 서러브레드 혈통의 9할을 차지해버린 경마계의 전설 이클립스가 달리 아라비안계이기에 나오는 수치. 현재 서러브레드 혈통의 8할은 포테이토즈 혈통이고, 1할은 킹 퍼거스 혈통인데, 이 둘이 다 이클립스의 자마인지라 여기서 이미 9할을 먹고 들어가는 셈이다. 그 외의 1할의 말도 사실상 절반이 달리 아라비안 계통인 셈. [6] 미오스타틴은 C형과 T형이 있고, C형이면 단거리, T형이면 장거리에 적합하다 [7] 그 중 니진스키와 Be My Guest는 서러브레드의 혈통관리에 집착하던 영국의 리딩 사이어였다. [8] 출처: (Nature Communications. 2012. 'The genetic origin and history of speed in the Thoroughbred racehorse') "더 빠른 속도를 얻기 위해 서러브레드들을 교배해온 결과, 단거리 스프린팅에 적합한 미오스타틴(MSTN) C-형 유전형을 지닌 서러브레드들이 비정상적일 정도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분자생물학과 족보학을 사용하여, 12마리의 서러브레드 대종마, 330마리의 최상급 서러브레드, 22마리의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 말, 그리고 미오스타틴 T-형 유전형을 지닌 다른 종의 말 42마리의 유전형을 비교한 결과, 서러브레드의 태동기에는 딱 한 마리의 C-형 유전형을 지닌 서러브레드만이 존재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그렇게 드물던 C-형 미오스타틴 유전형이 종마 니아크틱(1954)을 거쳐, 최고의 대종마인 노던 댄서(1961)에 의해 크게 늘어나게 되었음을 확인했다." [9] Selective breeding for speed in the racehorse has resulted in an unusually high frequency of the C-variant (g.66493737C/T) at the myostatin gene (MSTN) in cohorts of the Thoroughbred horse population that are best suited to sprint racing. Here we show using a combination of molecular- and pedigree-based approaches in 593 horses from 22 Eurasian and North-American horse populations, museum specimens from 12 historically important Thoroughbred stallions (b.1764–1930), 330 elite-performing modern Thoroughbreds and 42 samples from three other equid species that the T-allele was ancestral and there was a single introduction of the C-allele at the foundation stages of the Thoroughbred from a British-native mare. Furthermore, we show that although the C-allele was rare among the celebrated racehorse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t has proliferated recently in the population via the stallion Nearctic (b.1954), the sire of the most influential stallion of modern time, Northern Dancer (b.1961). [10] 콩키스타도르가 아메리카에 오면서 함께 가져온 말들 [11] 정확히는 최고속력은 서러브레드보다 더 빠르지만 지구력이 떨어진다. 서러브레드와 1대 1로 경주를 시켜 보면 초반에 앞서나가다 중반 이후 서러브레드에게 뒤처진다. 쿼터 호스라는 이름도 1/4(쿼터)마일 이하의 거리라면 다른 품종들보다 빠르다고 해서 지어진 것. 즉 극단적인 스프린터다. [12] 암말을 쿼터 호스와 교배시킨 후 서러브레드랑 다시 교배시켜 장부에는 서러브레드만 기록한다거나. [13] 이를 '저지 규칙'(Jersey Art)이라고 한다. [14] 하루에 천 리를 가면 먹고 쉬는 시간을 제외했을 때 약 시속 20km 내외인데, 이 정도는 말이 습보(전력질주)하는 속도가 아니라 구보하는 속도다. 즉, 구보를 하루 20시간 동안 계속하고도 멀쩡한 지구력을 나타내는 의미가 더 강하다. [15] 르네상스 시대에 만들어진 기마상을 보면 스카이림에 나오는 말처럼 사지가 굵직하다. 중세 군마의 후손인 안달루시안, 루시타노, 프리지아와 같은 말들을 보면 육중한 체구를 가지고 있다. [16] 경기에서 요구되는 거리를 초과해서 달릴 수 있는 스태미나는 특정 기록을 노려서 커리어를 오래 이어갈 것이 아니라면 마주의 입장에서는 낭비되는 능력치와 다름이 없으며, 스태미나가 중요한 장거리 대회 또한 그 숫자가 점점 줄어드는 형태다. 스태미나를 희생하면서 발생하는 각종 잔부상과 병치레는 구무원과 수의사를 갈아 넣어 보충하는 상황이다. [17] 보통 암말은 경주마에서 은퇴하고 나서 20세 정도까지 번식마 생활을 하는데, 사람과 마찬가지로 번식마 역시 나이가 들어갈수록 산모에게 위험이 커지며 이 때문에 번식마 활동 중 죽는 암말들이 많다. 마지막 산구의 출산 직후 죽은 에어 그루브나 새끼를 임신한 상태에서 죽은 스윕 토쇼, 세자리오 등이 대표적이며 다이와 스칼렛도 비슷한 나이에 수태를 했다가 사산하고 번식마에서 은퇴했다. [18] 선수 은퇴 후 감독직을 물려받았다. [19] 아버지의 뒤를 이어 아버지의 사업체 대표로 취임. [20] 단, 나카지마 다이스케는 항공기 조종사가 되고 싶어서 선수 활동을 은퇴 [21] 마리오 안드레티-마이클 안드레티-마르코 안드레티. [22] 부계만 따지면 그렇다는 것이고, 모계까지 포함하면 이들 외에도 다른 조상들이 많다. [23] 올림픽 출전 기준으로는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때까지 출전했다. [24] 비록 80년대 이전에 일부 웜블러드 품종의 종마들이 수출되긴 했지만, 인기가 있거나 실적이 확실했던 혈통이나 계통의 종마가 아닌 실적이 부족하거나 인기가 없는 종마들을 재고 처리한 경우였다. [25] 미국의 킨(Keen)은 게이트에 들어가기 싫어하는 성격과 너무 큰 체구 때문에 경주마가 아닌 소몰이 말로 지내다 기수의 눈에 들어 승마로 전업하여 마장마술 분야에서 활약했으나 보통 승마에서 실적을 남긴 서러브레드 대다수는 처음엔 경주마로 경마를 뛰다 성과도 남기지 못하고 은퇴했다 전문 승마용 말로 이름을 날린 경우가 더 많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는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수정 로그 삭제로 인해 과거 로그의 일부가 누락된 문서이며, 문서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나무위키:로그 누락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다실 때는, 문서 최상단 혹은 최하단에 [[분류:로그 누락 문서]]를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