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현의 2024년 시즌에 대한 내용은 이승현(2002)/선수 경력/2024년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74ca1> |
삼성 라이온즈 2025 시즌 투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
이재익 · 4
육선엽 · 11
배찬승 · 15
이상민 · 17 김대우· 18 원태인 · 19 양현 · 20 이승현우 · 21 오승환· 23 이재희 · 27 김태훈 · 29 백정현 · 35 이승민· 37 최하늘 · 40 최지광 · 43 레예스 · 44 김대호· 45 임창민 · 48 김윤수 · 51 최충연 · 54 최성훈 · 55 이호성 · 57 이승현좌 · 61 황동재 · 62 김재윤 · 64 송은범 · 65 홍원표 · 66 박준용 · 67 정민성 · 102 유병선 · 109 박시원 · 110 신경민 · 122 김성경 · 123 김동현 · # 박주혁 · # 최원태 · # 후라도 · # 권현우 · # 홍준영 · # 천겸 · # 우승완 · # 진희성 · # 김백산 · # 김유현 · # 최예한 |
||
최종 편집: 2024년 12월 6일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1군 엔트리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이승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승현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4번 | |||||||||||||||||||||||||||||||||||||||||||||||||||||||||||||||||||||||||||||||||||||||||||||||||||||
구준범 (2020) |
→ |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이승현 (2021~2023) |
→ |
최성훈 (2024~) |
||||||||||||||||||||||||||||||||||||||||||||||||||||||||||||||||||||||||||||||||||||||||||||||||||
애들레이드 자이언츠 등번호 40번 | ||||||||||||||||||||||||||||||||||||||||||||||||||||||||||||||||||||||||||||||||||||||||||||||||||||||
팀 데이 (2017-18) |
→ |
이승현 (2023-24) |
→ |
마코토 쿄모토 (2024-25)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7번 | ||||||||||||||||||||||||||||||||||||||||||||||||||||||||||||||||||||||||||||||||||||||||||||||||||||||
와이드너 (2023.8.11.~2023) |
→ |
이승현 (2024~) |
→ | 현역 |
}}} ||
<colbgcolor=#074ca1><colcolor=#fff> 삼성 라이온즈 No.57 | ||
이승현 李昇玹 | Lee Seung-hyun |
||
출생 | 2002년 5월 19일 ([age(2002-05-19)]세) | |
대구광역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대구남도초 - 경복중 - 대구상원고 - ( 대구대)[1] | |
신체 | 183cm, 93kg[2] | |
포지션 | 선발 투수 | |
투타 | 좌투좌타 | |
프로 입단 | 2021년 1차 지명 ( 삼성) | |
소속팀 |
삼성 라이온즈 (2021~) 애들레이드 자이언츠 (2023/24) |
|
연봉 | 2024 / 7,0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 |
등장곡 | Lil Nas X - 《 STAR WALKIN’》 (2024~)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74ca1><colcolor=#FFFFFF> 가족 | |
<colbgcolor=#074ca1><colcolor=#ffffff> 부모 | 아버지, 어머니 | |
형제자매 | - | |
종교 | 불교[3] | |
MBTI | ESTP # | |
소속사 | 어썸스포츠[4] |
| |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이승현(2002)/선수 경력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아마추어 시절 |
3. 플레이 스타일
|
겉보기엔 다소 투박한 투구 폼을 가지고 있지만, 탄탄한 하체를 바탕으로 묵직한 구위를 자랑한다. 디셉션 동작도 뛰어나 상대에게 쉽게 공략당하지 않는다. 변화구는 주로 슬라이더와 커브를 던지며, 독특하게도 오프스피드 피치는 하나도 안 던진다.[6]이 변화구들은 각이 매우 크기에 구속이 느려진 후에도 좌승현의 피칭을 지탱하는 핵심 무기이다. 공이 밋밋해져서 더 이상 힘으로 타자를 압도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변화구의 각으로 상대 타자들을 농락하는 모습이 간혹 나온다. 큰 각에 걸맞게 회전수가 상당히 높게 찍히는데, 커브의 경우 고교 시절 이미 RPM이 무려 2,600대에 이르렀고(랩소도 측정값).[7] 프로에서는 아직 체인지업을 구사한 적이 없지만 시즌 전 장착한 체인지업을 조금 더 가다듬으면 충분히 위협적일 것으로 예상된다.[8] 위기 상황에서도 표정 변화가 거의 없는 포커 페이스.
종합적으로, 노쇠화 이후의 클레이튼 커쇼와 플레이 스타일이 매우 비슷하다. 실제로 선발 전향 이전까지 이승현은 상승 무브먼트가 우수한 직구를 바탕으로 슬라이더와 낙차 큰 커브를 섞어서 던지는 유형이었으며, 다른 구종은 단 하나도 던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커쇼와 유사했다. 단, 제구력이 안정적인 커쇼와 달리 이쪽은 구속과 제구력 모두 기복이 상당히 심하기에 아직까지는 성장이 더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9]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구속의 기복. 평균 구속은 142km~143km로, 아주 느리다고 볼 수는 없지만 문제는 구속이 130km 중반~150km까지 널뛰기가 심하며 패스트볼 구속과 컨디션이 연결되어 간혹 평균 구속이 140km/h 전후로 떨어질 때가 있을 때에는 아웃카운트 하나조차 잡기 힘들어한다. 좋을 때는 140km/h 후반의 패스트볼을 던져 삼자범퇴를 가볍게 하지만 때로는 1이닝조차 마무리짓지 못하고 6실점을 허용하는 등, 기복이 크다.
3.1. 선발 전향 후
2024년 선발로 전향하고 나서 구속 기복이 많이 줄었고 변화구의 무브먼트를 이용하여 탈삼진을 무더기로 잡아내고 있다. 팔각도를 오버핸드에서 약간 낮춘 것이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동시에 2023 시즌의 부진으로 정신을 차리고 살을 빼며 워크에식이 개선된 것이 기량 향상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박희수와 함께 투심과 커터를 장착했다고 한다.특히나 2024년 기준으로는 체인지업과 커터의 투구 비중이 늘어나며 단조로웠던 투구 패턴이 다채로워졌다.
다만 구속은 체중 감량의 영향인지 과거에 비해 꽤 감소해 포심 패스트볼의 평균 구속은 139km/h 정도가 찍힌다. 최고 구속은 147km/h 정도로 형성된다.[10] 그러나 구속 대비 구위는 여전히 좋은 편이고 무엇보다도 피칭의 완성도가 이전과는 차원이 다르게 좋아져 이제 타자들을 상대로 제대로 된 승부가 가능해졌기에 구속 하락이 부각되지는 않는 편이다. 구속이 느려지며 선발 투수로 더 나은 성적을 올리고 있다는 점에서 같은 팀의 백정현이나 LG 김윤식이 연상되기도 한다.
단점은 불펜 출신이라 그런지 최대 6이닝까지만 소화가 가능하다는 점. 또한 투수 본인이 타자와의 어려운 승부를 즐기는 유형인지라 볼넷 개수가 많은 편이다.
4. 연도별 성적
이승현의 역대 KBO 기록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sWAR |
2021 | 삼성 | 41 | 1 | 4 | 0 | 7 | 39⅓ | 5.26 | 35 | 3 | 23 | 3 | 46 | 1.47 | 112.79 | 0.54 |
2022 | 58 | 2 | 4 | 1 | 14 | 47⅔ | 4.53 | 43 | 5 | 21 | 3 | 57 | 1.34 | 106.89 | 0.25 | |
2023 | 48 | 1 | 5 | 5 | 7 | 43⅓ | 4.98 | 41 | 6 | 29 | 2 | 37 | 1.62 | 116.40 | 0.07 | |
2024 | 17 | 6 | 4 | 0 | 0 | 87⅓ | 4.23 | 88 | 9 | 37 | 6 | 68 | 1.43 | 81.15 | 2.70 | |
KBO 통산 (4시즌) |
164 | 10 | 17 | 6 | 28 | 217⅔ | 4.63 | 207 | 23 | 110 | 14 | 208 | 1.46 | 99.52 | 3.56 |
5. 여담
- 이승현이 1차 지명에서 지명되면서 2014년 이후로 삼성이 대구상원고 출신 1차지명자를 3명( 이수민, 최채흥, 이승현)을 배출하게 되었는데 공교롭게도 3명 모두 좌완투수이다. 그리고 순수 대구상원고 출신으로는 이수민 이후로 7년만이다.
- 소속팀에 동명이인 선배 이승현과 성은 다르지만 이름은 같은 선배 김승현이 있다. 삼성 라이온즈 공식 유튜브에서는 세 번째 승현이라고 삼승현으로 소개했다. 공교롭게도 세 명 모두 투수인데, 선배들은 모두 우완 투수고 이승현은 좌완이라 보통 좌승현으로 부른다. 김승현이 부진 끝에 방출된 후에는 일반적으로 우승현/좌승현으로 구분한다. 오승환과의 카톡 대화가 공개된 적이 있는데 선수단 내부에서도 좌승현으로 부르는 모양. 정민태 코치 역시 좌승현이라 언급했고 이승현 스스로도 좌승현이라 소개했다가 당황한 적도 있다. 심지어 박진만 감독이 2024 한국시리즈 미디어데이에서 이승현을 좌승현이라 불렀다
- 우승현이 불펜 투수고 본인도 불펜 투수로 오래 뛰었다 보니 연이어 등판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이 때 중계진은 이승현이 내려가고 이승현이 마운드에 올라왔다는 말장난 섞인 멘트를 자주 구사한다. 이름만 간단히 적히는 중계 스코어보드를 보면 혼란이 몰아친다. 그나마 선발로 전환한 2024년부터는 선발이면 좌승현, 불펜이면 우승현으로 구분하기 편해졌다. 선발 좌승현 이후 우승현이 올라왔을 때 투구 결과도 좋은 편.
- ' 좌승사자'라는 별명도 있는데, 좌타자를 잘 잡는 좌투수에겐 으레 붙는 별명이긴 하지만[11] 이승현은 좌타자에 강해서가 아니라 좌승현이라는 별명에서 파생되었다. 팬들이 좌승현을 줄여 '좌승'이라고 자주 부르다가 좌승사자로 파생된 것이다.[12] 하여 2022년 올스타전에서는 저승사자 코스프레를 하고 등장했다.
- 롯데의 이대호와 닮았다. 워낙 외모가 성숙해 신인인데도 체감은 왕조 시절부터 뛴 10년차 베테랑같은 느낌. 외모 뿐만 아니라 멘탈도 성숙한 편인데, 침착하고 무던하며 감정 변화가 크지 않은 성격이다. 퇴근길에 개량 한복을 입고 나오거나 발매된 지 오래된 노래들을 듣는 등, 취향이 애늙은이 그 자체.
- 베이징 올림픽 당시 류현진의 활약을 보고 야구선수의 꿈을 키운 베이징 키즈 중 한 명이다.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야구선수가 되겠다며 떼를 썼지만 부모님의 반대가 심했는데, 초등학교 3학년 때 리틀 야구를 하는 동네 형을 따라가 야구를 하다가 부모님에게 들켜서 결국 야구를 시작했다. 막상 1차 지명을 받자 골수 삼성팬인 아버지가 아들보다 더 기뻐하셨다고 한다.
- 같은 해의 드래프트 동기인 이의리, 김진욱과 21년 드래프트 3대 좌완으로 묶인다. 인터뷰에서 자신의 직구는 자신과 같은 좌완 3인방 김진욱과 이의리보다 낫다고 자신했었다. 그러나 2021년 9월 8일 기준으로 직구 구종 가치가 이의리는 9.1 김진욱은 2.6인 반면에 이승현은 -0.3으로 압도적으로 낮고 오히려 슬라이더와 커브가 고평가를 받았다. 다만 8월에 비하면 직구의 구종 가치를 2 이상 크게 끌어올렸는데 아무래도 그 동안은 로테이션과 체력의 문제가 컸던 것으로 보인다.
- 팬 서비스가 좋다. 거리두기 완화로 팬들의 접근 제한이 어느 정도 풀렸을 당시 롯데 원정경기에서 팬 서비스 미담이 많이 나왔으며 롯데 팬이 이승현 팬 서비스 목격담을 올리기도 했었다. 삼성팬의 신인 투수 팬서비스 썰
- 삼성 팬들 사이에서는 게으른 천재 이미지가 있다. 재능은 좋은데 놀러다니는 목격담이 자주 올라오고, 친분이 있는 차우찬 역시 (잘 던지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는 식의 말을 했다.[13] 실제로도 본인이 천재인 줄 알았으나 현실을 깨닫고 거듭되는 부진과 기량저하 극복을 위해 열심히 훈련한 결과, 2024년 선발 전향을 하자마자 훨씬 안정된 모습으로 역시 재능은 있었다는 평. 살을 많이 빼고[14] 커터를 추가해서 이전보다 나아진 듯하다. 비시즌에 호주 리그로 야구 유학을 다녀온 것도 큰 도움이 됐다고. 선발 준비 과정이 궁금하면 읽어보자.
6. 관련 문서
[1]
프로 데뷔 후 입학, 문화예술학부 22학번
[2]
원래 100kg가 넘는 거구였으나, 2024년 기준으로 살을 많이 뺐다.
[3]
인스타에 卍 (만자 만)이 적혀 있다.
[4]
팀 동료
강민호,
김지찬,
이재현이 소속되어 있다.
[5]
좌완 이승현의 구속 저하는 삼성을 넘어서 KBO 리그의 처참한 투수 육성능력을 평가할 때 반드시 언급되는 사례가 되었다.
[6]
2024년부터는 체인지업을 조금씩 던지기 시작했다.
[7]
2,500대를 넘어가면 준수한 편. 즉, 이승현의 경우는 프로에서도 최상위권 수준인 것이다.
[8]
24년 6월 9일 투구를 마치고 한 인터뷰에서 원태인의 체인지업을 배우려 했지만 잘 안 됐다고 말했다. 전에도 원태인에게 체인지업을 배웠다는데 아직 써먹기는 힘든 모양.
[9]
삼성 관계자는 이승현을 뽑을 때 "
원태인,
최충연보다 내구성이 좋고
황동재보다 공격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내구성 면에서는 국대까지 꼬박꼬박 나가는 원태인에 비할 바는 아니고, 오히려 구속과 구위에서 강점을 보이는, 최대 실링면에서 고평가받는 원석형 유망주에 가깝다.
[10]
다만 구속 억까가 2~3km/h 정도 있는 라팍을 홈으로 쓰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11]
대표적으로 같은 팀인 삼성에서 뛰었던
임현준이 있다. 좌완 이승현과는 2021년 1시즌 동안 같이 뛰었다.
[12]
참고로 우승현도 '
삼성이 잃어버린 것'같은 식으로 비슷한 파생 별명을 갖고 있다.
[13]
“좌완 이승현의 경우 개인적으로 잘 알고 있다. 지금은 시간이 조금 필요한 것 같지만 자신감을 가지고 임하면 좋은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14]
2023년과는 아예 턱선부터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