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07:36:19

삼국지 시리즈/장수(ㅍ)


[clearfix]

1. 개요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 등장하는 장수들 중 (ㅍ)자로 시작하는 무장들을 정리한 문서.

2. 파재

파일:external/kongming.net/389-Bo-Cai.jpg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721.jpg
삼국지 12, 13, 14

같은 황건군 출신인 장만성과 마찬가지로 삼국지 10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대표적인 황건적형 무장으로 나온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9/75/52/30/35에 특기는 5개.(훈련, 돌격, 저지, 회복, 삼단)

지력이 50을 넘고 훈련 특기가 있는 등, 황건적들 중에선 그나마 좀 나은 편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1/74/52/25/33에 특기는 위압.

황건적 장수 중에서는 비교적 지력이 높은 편이며, 창병 A, 병기 A로 적성도 좋기 때문에 중요하게 쓰인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도검을 든 채 고개를 숙이면서 음흉한 얼굴로 웃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4/74/55/25이며 통솔력이 소폭 상향. 병과는 창병에 연병, 보수 특기가 있고 전법은 화공에 당한 주제에 화계다. 지력이 낮아 무가치하게 보이겠지만 적은 병력끼리의 싸움에서는 나름대로 위력적인 계략이라 쓸 수 밖에 없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3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훈련이고 전법은 창병속공진이다. 특이하게 일러스트와 달리 노장 음성으로 설정되었는데 같은 황건적 장수인 고승도 마찬가지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2, 무력 74, 지력 52, 정치 25, 매력 40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지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일심, 사역, 주의는 아도, 정책은 성벽확장 Lv 3, 진형은 학익, 장사, 전법은 철벽, 대갈, 업화,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3. 포도

파일:포도14.jpg
삼국지 14

삼국지 3, 삼국지 8 PK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는데 처음에는 '포충'이라는 연의 이름으로 등장하다가 삼국지 14에서 '포도'로 등장했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타고 고삐를 쥔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창을 든 채 고함을 지르며 돌격하고 있는데 적색 개성인 공명만 보면 화웅과 싸우려는 장면이다. 능력치는 통솔력 57/무력 70/지력 43/정치력 42/매력 56이다. 그외 개성은 없고 주의는 형 포신과 같은 왕도, 정책은 봉시강화 Lv 3, 진형은 봉시, 전법은 분전,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보통남.

4. 포륭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ao_Long_%28ROTK11%29.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79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임팩트도 없는 가공 인물인지라 대우는 좋지 않다. 능력치는 무력만 70대를 찍는 수준. 물론 조범군으로 한다면 이런 놈이라도 써야 한다. 동료 진응 삼국지 4부터 삼국지 7까지 등장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3/무력 74/지력 41/정치력 20. 진응과 마찬가지로 병법으로는 연사 뿐이지만 무력이 높아 쓸만하다. 이번작 시스템의 수혜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8/무력 75/지력 42/정치력 19/매력 23에 특기는 농업, 화시, 역공. 총 3개 뿐.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8/무력 76/지력 49/정치력 23/매력 30에 노병 적성 A, 진응과 친애 관계다.

진응과의 친애 관계 덕에 동급 무장 중에서는 약간 대우가 좋은 편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힘이 세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두 손으로 활을 꺾으려 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58/무력 76/지력 49/정치력 23에 전법은 무력저하. 특기는 경작 하나 뿐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고 특기는 견수 1 단 하나로 전수특기도 당연히 견수에 병과 적성은 B/C/A다. 전법은 기속약화. 음성은 난폭.

호랑이를 활로 쏘아 잡았다는 연의의 묘사 때문인지 궁병 적성은 높다. PK를 할 시 농업 특기도 추가해주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8, 무력 75, 지력 49, 정치 20, 매력 28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정치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숲전, 경솔, 주의는 패도, 정책은 장사강화 Lv 3, 진형은 장사, 전법은 급습, 친애무장은 진응,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난폭남이다.

5. 포삼랑

파일:Bao_Sanniang_3_%281MROTK%29.webp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aosanniang-rotkxi.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89.jpg
삼국지 12, 13, 14
파일:ab90ea3aec07cf670042648dd2d07341.webp
삼국지 패도

삼국지 11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후기 인재 부족에 시달리는 촉나라에게 필요한 장수로 대접받는다.

삼국지 11에서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2/83/56/36/75로 나온다. 특기는 연전. 그나마 자기 시아버지인 관우에게 도움이 된다. 여담으로 남편인 관색보다 나이가 2살 정도 많다.

삼국지 12에서는 짤렸다가 PS3판과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이마에 두건을 푼 상태로 오른손을 가슴에 올리고 있다.

전법은 공방일체. 그런데 오로침공전 한정으로 포삼랑 본인은 오나라편이 되고 대신 반준은 촉나라편이 된다.

삼국지 13에서도 관색의 아내로 등장한다. 관색은 그래서 시작부터 2명의 아내를 지니고 시작한다.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순찰 5, 신속 3, 일기 5(관색 인연 효과). 중신특성은 궁술조련인데 정작 병과 적성은 창병 B/기병 A/궁병 B라서 중신특성과 병과 적성이 따로 논다. 전수특기는 순찰이다. 전법은 아군의 기동력을 올려주는 속공명령인데 이 역시 중신특성과는 따로 노니 굳이 중신으로 편성하기보다 그냥 전장에서 굴리자. 음성은 보통녀.

삼국지 14에서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8/75/38/31/63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4, 무력이 8, 지력이 18, 정치력이 5 하락했다. 개성은 견뢰와 부호, 주의는 아도, 정책은 추행강화 Lv 3, 진형은 장사와 추행, 전법은 분전, 격려, 구축, 강습, 친애무장은 관색, 화만,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감녀로 설정되었다.

전투형 여성 무장들 중에서는 대충 중간쯤 가는 성능이고, 남성 무장들 능력도 대폭 하락하는 후반기 무장이라 이정도면 꽤 쓸만한 편. 특이한 점으로는 분명히 관색과 결혼해 있을 시기임에도 미혼으로 되어 있다는 점으로, 출사표 시나리오는 물론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도 미혼으로 나온다. 이는 같은 관색의 아내인 화만도 마찬가지.[1] 시스템상 아내를 한명 밖에 둘 수 없기 때문에 정실이 아니라 미혼인 경우(조조의 첩 환씨와 여포의 첩 초선, 군웅할거 시나리오 외의 미씨 곽여왕, 반씨 등), 등장시기에는 미혼이지만 다음 시간대 시나리오에선 결혼해 있는 경우( 하후씨 장춘화), 시스템상 황제의 아내라 남편이 없는 경우( 하씨 조헌, 조절 등), 남편이 무장으로 등장하지 않아 미혼인 경우( 신헌영, 번씨). 시나리오의 시기상 미혼인 상태( 손상향)등과는 달리 이상하게 이쪽은 남편이 멀쩡히 등장하는데도 계속 미혼인 채로다.

6. 포신

포신(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7. 포훈

파일:포훈.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턱에 댄 채 고심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41, 무력 35, 지력 75, 정치 69, 매력 79다. 개성은 동지, 진흥, 소욕, 인정, 주의는 아버지 포신, 숙부 포도와 같은 왕도, 정책은 지역진흥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대갈, 진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정중남.

8. 풍담

파일:external/kongming.net/fengzhen.jpg
삼국지 9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하는데 일러스트는 대놓고 간신배 스타일이다. 능력치는 통솔력 2, 무력 8, 지력 71, 정치력 64. 병법으로는 혼란, 매도 뿐이다.

9. 풍습

파일:Feng_Xi_29.webp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75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그저 그런 C급 무관이다. 중책을 맡았기에 70대의 통솔력, 무력이 70대이지만 특기 버프는 전혀 못 받는 편. 쓸 만한 장수가 적을 때 부대 능력 조금이라도 더 올려주려고 부장으로 배치한다. 비자연사라서 초중반 시나리오로 시작하면 의외로 오래산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73/지력 38/정치력 42. 병법으로는 분투, 충차 뿐이다.

이번작 시스템상 부장으로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성격은 저돌로 설정되어 있는데, '적을 가벼이 여겼다'는 계한보신찬의 평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66/지력 40/정치력 42/매력 64에 특기는 일제, 나선. 총 2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2/무력 71/지력 39/정치 41/매력 62로 총합 285이다.

전작에 비해서 무력만 이득을 보고 대부분의 능력치는 하향조정 되었다. 적성은 창병 A/극병 B/노병 C/기병 B/병기 C/수군 C이고, 특기는 없다.

삼국지 12에서는 부융, 장남이 나오지 않았음에도 이릉대전에서만 등장하는 장수 중 사마가와 함께 살아남은 인물. 일러스트는 흑마를 탄 상태에서 오른손에 검을 든 채 위로 올리면서 소리치고 있으며 통솔력과 무력이 70대 중반에 전법이 전공격강화라 쓸 만하다. 하지만 지력이 낮고 특기가 단 하나도 없다.

삼국지 13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71/지력 39/정치력 41. 중신특성은 없고 특기는 훈련 1, 공성 3, 견수 4. 병과 적성은 창병 A/기병 B/궁병 C이고 전수특기는 견수이며 전법은 위무. 음성은 용장.

사실 시나리오에서는 군신포위망(219년)에 촉나라의 일반 무장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능력치가 평범하지만 그래도 전투를 하게 된다면 반드시 데리고 나가야 한다. 패주, 위보, 도발 등 상태이상의 효과를 회복시켜주는 위무라는 전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2, 무력 68, 지력 40, 정치 42, 매력 64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1 상승한 대신 무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경솔, 주의는 할거, 정책은 어린강화 Lv 3, 진형은 어린, 장사, 전법은 분전, 격려, 친애무장은 오반, 장남,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그런데 어째선지 촉나라의 장남이 아닌 원소의 부하 장남이 친애무장으로 있는 것은 명백한 고증오류다.

10. 풍씨

파일:100만인풍씨.jp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풍씨.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손을 귀에 대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3, 무력 1, 지력 45, 정치 40, 매력 66이다. 개성은 부호, 소심, 허약, 주의는 예교, 정책은 세출개선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어투는 보통녀. 생년은 177년, 몰년은 199년까지 되어있다.

이번작에서 여성 무장들이 능력치 너프를 많이 먹었기 때문에 정사 공인 미녀 최초로 매력 보정을 받지 못했으며, 무력 1로 책정되면서 황호, 잠혼 등과 함께 무력 최하위 장수로 등극했다.[2] 대신 부호 개성이 있어서 도시에 배치하면 수입원으로 유용한다.

11. 풍해

파일:풍해.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가슴에 올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67, 지력 42, 정치 44, 매력 43이며 개성은 교련, 주의는 패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분전, 격려,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보통남.

12. 필궤

파일:external/kongming.net/bigui.jpg
삼국지 9 일러스트
파일:필궤.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무려 17년 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36, 지력 72, 정치 63이며 병법으로는 기사, 혼란, 덫, 매도를 가지고 있다. 무력은 36이라 기사의 위력은 기대하지 말고 얌전히 혼란을 들자.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만한 비만남으로 그려졌는데 자세히 보면 왼손으로 허리띠를 잡은 채 오른손을 올리면서 깔보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 38, 무력 25, 지력 42, 정치 44, 매력 16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배 넘는 22, 무력이 11, 지력이 3배, 정치력이 거의 2배인 19 하락했다. 개성은 공명, 낭비, 오만, 주의는 아도, 정책은 묵수연구 Lv 1, 진형은 장사, 전법은 도발, 매성, 친애무장은 이승, 조상, 조예, 하안, 혐오무장은 사마의, 왕사다.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고 삼국지 9편과 다르게 어째선지 영웅집결과 성씨패란 시나리오에서 출신지인 복양이 아닌 업의 재야로 등장하는데 이는 명백히 고증오류다.


[1] 단, 화만은 일단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선 남만 소속이기에 그렇다 칠 수 있지만 포삼랑은 유비의 본거지인 영안 옆동네인 강릉에 재야로 나온다. 60명을 넘는 손씨나 50명을 넘는 조조 세력은 안 그래도 많으니 몇몇 주요무장이 재야로 빠져도 문제 없겠지만 촉은 3국 중에선 가장 적은 44명 밖에 안되는데다 포삼랑은 가공인물이라 유비 세력 외엔 속했던 곳이 없는데도 왜 빠졌는지 의문이다. [2] 고대무장 중에도 손빈이 무력 1이긴 하지만 이 사람은 앉은뱅이형을 받아서 다리를 못 쓰는 장애인이니 당연한 책정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