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해군경 (1873년~1885년) | ||||||||
초대 가쓰 가이슈 |
2·4대 가와무라 스미요시 |
3대 에노모토 다케아키 |
2·4대 가와무라 스미요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rowcolor=#fff> 해군대신 (1885년~1945년) | ||||
1-3·7-10대 사이고 주도 |
4·5대 가바야마 스케노리 |
||||||||
6대 니레 가게노리 |
1-3·7-10대 사이고 주도 |
||||||||
11·13대 야마모토 곤노효에 |
12대 사이토 마코토 |
||||||||
14-18대 사이토 마코토 |
19대 야시로 로쿠로 |
20-24대 가토 도모사부로 |
|||||||
20-24대 가토 도모사부로 |
25-26·28-29·31대 다카라베 다케시 |
||||||||
25-26·28-29·31대 다카라베 다케시 |
27대 무라카미 가쿠이치 |
25-26·28-29·31대 다카라베 다케시 |
30·35대 오카다 게이스케 |
||||||
25-26·28-29·31대 다카라베 다케시 |
32-33대 아보 기요카즈 |
34·36-37대 오스미 미네오 |
30·35대 오카다 게이스케 |
||||||
34·36-37대 오스미 미네오 |
38대 나가노 오사미 |
39-41·49-52대 요나이 미쓰마사 |
|||||||
39-41·49-52대 요나이 미쓰마사 |
42-44대 요시다 젠고 |
45-46대 오이카와 고시로 |
|||||||
47대 시마다 시게타로 |
48대 노무라 나오쿠니 |
39-41·49-52대 요나이 미쓰마사 |
|||||||
폐지 | |||||||||
39-41·49-52대 요나이 미쓰마사 |
}}}}}}}}} |
사이고 주도 관련 틀 | ||||||||||||||||||||||||||||||||||||||||||||||||||||||||||||||||||||||||||||||||||||||||||||||||||||||||||||||||||||||||||||||||||||||||||||||||||||||||||||||||||||||||||||||||||||||||||||||||||||||||||||||||||||||||||||||||||||||||||||||||||||||||||||||||||||||||||||||||||||||||||||||||||||||||||||||||||||||||||||||||||||||||||||||||||||||||||||||||||||||||||||||||||||||||||||||||||||||||||||||||||||||||||||||||||||||||||||||||||||||||||||||||||||||||||||||||||||||||||||||||||||||||||||||||||||||||||||||||||||||||||||||||||||||||||||||||||||||||||||||||||||||||||||||||||||||||||||||||||||||||||||||||||||||||||||||||||||||||||||||||||||||||||||||||||||||||||||||||||||||||||||||||||||||||||||||||||||||||||||||||||||||||||||||||||||||||||||||||||||||||||||||||||||||||||||||||||||||||||||||||||||||||||||||||||||||||||||||||||||||||||||||||||||||||||||||||||||||||||||||||||||||||||
|
일본 제국 제2·14대 내무대신 | |||
일본 제국 제1·4대 해군대신 사이고 주도 西郷従道 | Saigō Jūdō |
|||
|
|||
<colbgcolor=#d40000><colcolor=#FFF> 출생 | 1843년 6월 1일 | ||
사쓰마국 가고시마군 가지야초 (現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가지야초) |
|||
사망 | 1902년 7월 18일 (향년 59세) | ||
도쿄부 에바라군 가미메구로초 (現 도쿄도 메구로구 가미메구로) |
|||
묘소 | 타마레이엔(多磨霊園) (도쿄도 후추시, 고가네이시) | ||
재임기간 | 제3대 문부경 | ||
1878년 5월 24일 ~ 1878년 12월 24일 | |||
제3대 육군경 | |||
1878년 12월 24일 ~ 1880년 2월 28일 | |||
제2대 농상무경 | |||
1881년 10월 20일 ~ 1885년 12월 21일 | |||
제4대 개척장관 | |||
1882년 1월 11일 ~ 1882년 2월 8일 | |||
초대 해군대신[1] | |||
1885년 12월 22일 ~ 1890년 5월 17일 | |||
제2대 내무대신 | |||
1890년 5월 17일 ~ 1891년 6월 1일 | |||
제4대 해군대신 | |||
1893년 3월 11일 ~ 1898년 11월 8일 | |||
제12대 내무대신 | |||
1898년 11월 8일 ~ 1900년 10월 19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40000><colcolor=#FFF> 본명 |
류도(隆興)[2] → 주도(従道)[3] |
|
아명 | 류스케(竜助) | ||
통칭 | 싱고(慎吾) | ||
부모 |
부 사이고 기치베에 모 마사 |
||
형제자매 |
큰형
사이고 다카모리 누나 코토 작은형 사이고 키치지로 남동생 사이고 코헤에 |
||
배우자 | 기요코 | ||
자녀 | 7남 4녀 | ||
친인척 |
사촌
오야마 이와오 형수 아리카나 조카 사이고 키쿠지로 |
||
유파 | 야쿠마루 자현류[4] | ||
작위 | 후작 | ||
정당 | |||
위계 | 종1위[5] | ||
군사 경력 | |||
복무 | 일본제국 육군 | ||
1869년 ~ 1885년 | |||
일본제국 해군 | |||
1885년 ~ 1902년 | |||
최종 계급 |
원수 (일본제국 해군) 중장 (일본제국 육군) |
||
참전 |
사쓰에이 전쟁 보신전쟁 대만 침공 세이난 전쟁 |
[clearfix]
1. 개요
일본 제국의 정치인, 육군·해군 군인. 일본 해군 최초의 원수이며, 이름을 훈독하여 사이고 츠구미치라고도 한다.일본군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육군과 해군의 최선임 직책[6]을 모두 역임했으며, 19세기 말엽 야마가타 아리토모(육군)과 함께 일본군을 양분했던 인물이다.
막말 유력 정치인 사이고 다카모리의 친동생으로도 알려져 있다. 형 다카모리는 큰 사이고(大西郷), 주도는 작은 사이고(小西郷)라고 불렸다.
2. 생애
사쓰마번 정치결사단체 세추구미(精忠組)에 가입하면서 존왕양이 운동에 본격적으로 투신한다. 막부 타도를 위해 같은 사쓰마번 출신 아리마 신시치(有馬新七)와 함께 18세의 나이로 교토에 상경한다. 사쓰마 출신끼리 동족상잔을 벌인 데라다야 사건에 가담한 이유로 징벌을 피할 수 없었지만 나이가 어린 탓에 근신형에 그쳤다. 오쿠보 도시미치에 의해 근신이 해제되고 사쓰에이 전쟁에 참전하여 수박 판매를 가장한 결사대에 자원했다. 이후 동생 코헤에와 함께 군을 이끌고 상경해 보신 전쟁에 종군한다. 도바 후시미 전투에서 적의 총탄을 맞고 중상을 입었다.보신 전쟁이 끝나고 이름을 바꾸고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함께 프랑스 유학을 다녀온다. 원래 隆道라 쓰고 류도(음독)로 등록하려 했으나 구두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착오가 생겨 주도(従道)로 등록했다.[7] 그러나 본인은 신경쓰지 않고 주도라는 이름을 계속 사용했다고 한다.
이때부터 주도는 가파른 출세길을 걷는데, 메이지 정부는 서양 문화를 전면 개방하면서 서구화를 위해 힘썼고 유학 경험이 있는 주도의 지식은 매우 귀한 것이었다. 귀국하고 병부권대승(兵部権大丞)에 임명되어 정6위의 위계를 받았으며 이듬해 육군 소장으로 임명된다. 어친병 설치, 폴리스 제도의 도입을 위해 진력하고 사이고 다카모리의 중앙 정계 복귀를 추진한다.
훗날 메이지 6년의 정변으로 사이고와 사쓰마 출신 군인들이 하야했으나, 주도는 끝내 메이지 정부에 잔류한다. 세이난 전쟁이 발발하고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원정으로 자리를 비운 사이 육군경 대리에 취임하여 정부군에 협력했고, 전쟁이 끝나고 형을 이어서 근위대도독에 임명, 같은 해 말에는 육군경에 취임한다.
1885년에는 이토 히로부미 등과 함께 톈진조약 체결을 위해 청나라로 갔다.
같은 해 초대 해군대신에 임명되면서 해군 중장으로 임관했다. 재임 중 야마모토 곤노효에를 해군성 관방주사로 발탁해 크게 실력 발휘를 시켜 일본해군을 청일전쟁, 러일전쟁에서 전승으로 이끌었다.
사이고는 사촌형인 오야마 이와오와 마찬가지로 세세한 사무는 부하에게 맡기고 거의 입을 열지 않되 실패의 책임은 스스로 지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어 도량이 컸다. 군정 능력이 뛰어난 야마모토가 그 수완을 유감없이 발휘할 수 있었던 것은 사이고 자신의 두둑한 성격 덕분이라고도 한다.
1892년에는 원로가 되었다. 같은 해, 시나가와 야지로와 함께 국민협회라는 정당을 설립했다. 말년에 해군 원수 칭호를 받으며 일본국 내각총리대신 후보로 추대되었으나, 형 다카모리가 역적의 오명을 쓰고있다는 이유로 거절하였다.
1902년 메구로 자택에서 위암으로 사망했다.
3. 창작물에서
}}} ||▲ 니시키도 료가 연기한 사이고 주도 |
[1]
농상무대신 임시겸임 (1886년 3월 16일 ~ 1886년 7월 10일)
[2]
개명하려고 했던 류도(隆道)와 발음이 같다.
[3]
츠구미치라고 읽을 수도 있다.
[4]
시현류의 지류
[5]
사후 추서(1902년)
[6]
육군경, 해군대신
[7]
隆(높을 융)은 사이고 집안 대대로 물려받는 이름이었다.
[8]
명배우 오가타 켄의 아들이다.
[9]
사이고 주도의 3남인 사이고 토요히코쪽 후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