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1 15:14:46

발해-당 전쟁

발해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2531a2,#000c29> 천문령 전투
,697,
<colbgcolor=#fff,#191919> 무주
발해-당 전쟁
,732 ~ 733,
<colbgcolor=#2531a2,#000c29> 등주 공격
,732,
마도산 전투
,733,
발해-요 전쟁
,926,
}}}}}}}}}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신라 의 대외 전쟁·정벌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4a2d5b,#0e0f37>전쟁·정벌 우군세력 교전세력
황산진구 전투
,77,
- 가야
마두성 전투
,94,
- 가야
황산하 전투
,115,
- 가야
포상팔국 전쟁
,209,
안라국 포상팔국 연맹
신라-왜 전쟁
, (신라의 일본침공사례),
,364 ~ 404
(291 ~ 720)
,
고구려 가야, 백제, 왜국
신라-우산국 전투
,512,
- 우산국
이와이의 난
,527,
규슈 긴키
독성산성 전투
,548,
백제 고구려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
,551,
백제, 가야 고구려
관산성 전투
,554,
- 백제, 가야, 왜국
가야멸망전
,562,
- 가야, 백제, 왜국
아막성 전투
,602,
- 백제
북한산성 전투
,603,
- 고구려
가잠성 전투
,611,
- 백제
가잠성 전투
,618,
- 백제
가잠성 전투
,628,
- 백제
칠중성 전투
,638,
- 고구려
대야성 전투
,642,
- 백제
황산벌 전투
,660,
- 백제
백제멸망전
,660,
당나라 백제
칠중성 전투
,660,
- 고구려
북한산성 전투
,661,
- 고구려, 말갈
과천 전투
,662,
- 고구려
백강 전투
,663,
당나라 백제 부흥군, 왜국
사천 전투
,668,
- 고구려
평양성 전투
,668,
당나라 고구려
나당 전쟁
,670 ~ 676,
<colbgcolor=#4a2d5b,#0e0f37> 석문 전투
,673,
고구려 부흥군 당나라
호로와 왕봉 전투
,673,
- 당나라
칠중성 전투
,675,
- 당나라
매소성 전투
,675,
- 당나라
기벌포 전투
,676,
- 당나라
발해-당 전쟁
,732~733,
당나라 발해
김헌창의 난
,822,
- 장안국
달벌대전
,839,
- 청해진, 김우징
신라구의 일본 침입
,811 ~ 936,
- 일본
후삼국 통일 전쟁
,889 ~ 936 ,
원종ㆍ애노의 난
,889,
- 원종 애노
대야성 전투
,901,
- 후백제
대야성 전투
,916,
- 후백제
대야성 전투
,920,
- 후백제
서라벌 기습
,927,
고려 후백제
고창전투
,930,
후백제 고려
운주성 전투
,934,
고려 후백제
}}}}}}}}}||


발해-당 전쟁
渤海國-唐國 戰爭
파일:발해-당 전쟁 전개도.png
<colbgcolor=#2531a2,#000c29><colcolor=#ffd700> 시기 732년 (무왕 14년) 9월 ~ 733년 (무왕 15년) 윤3월
장소 요동, 등주 일대
교전국 <rowcolor=black> 발해-거란-돌궐
(공세)
신라-당
(수세)
주요 인물
지휘관

[[발해|
渤海
]] 무왕(발해 국왕)
[[발해|
渤海
]] 장문휴
당 지휘관

파일:tang_fel2.jpg 대문예
파일:tang_fel2.jpg 위준 †
파일:tang_fel2.jpg 설초옥
파일:tang_fel2.jpg 곽영걸
파일:tang_fel2.jpg 오극근
파일:tang_fel2.jpg 오지의
파일:tang_fel2.jpg 나수충
신라 지휘관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김윤중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김윤문
병력 병력 규모 불명 병력 규모 불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사상자: 10,000명 ↑[1]
결과 발해의 승리
영향 발해의 국제적 지위 향상 및 전성기 발판 마련
- 신라의 관계 회복

1. 소개2. 전투
2.1. 등주전투2.2. 당의 반격2.3. 신라의 원정2.4. 마도산 전투
3. 관련 문서

[clearfix]

1. 소개

8세기 발해 당나라 전쟁.

2. 전투

2.1. 등주전투

732년 9월 무왕 장문휴에게 당의 등주를 공격하라는 명을 내렸고 발해 수군은 호타하를 통해 진군하여 하북 지역에 위치한 등주로 향하였고 9월 5일에 도착하여 기습 상륙전을 펼쳐 등주자사 위준(韋俊)을 죽이고 등주[2]를 초토화 시켰다.

2.2. 당의 반격

등주가 초토화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현종 이융기는 두번에 걸쳐 발해군을 공격하려 했으나 자세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으며 첫번째 반격은 발해군에게 패배한 것으로 보이고 두번째는 승패 이전에 토벌군이 최종적으로 결성되었는지 알 수 없다.

2.3. 신라의 원정

한편 발해가 등주를 공격하자 당나라는 신라인 김사란을 통해 신라에 발해의 남쪽 국경을 공격해 줄 것을 요구한다. 이에 성덕왕은 김유신의 후손이였던 윤중, 윤문 형제에게 군사를 주어 발해를 공격하였으나 폭설로 인해 철수하게 된다.

2.4. 마도산 전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도산 전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3년, 무왕은 거란과 연합하여 다시 당을 선제공격하였고 마도산으로 직접 친정에 나서 전투를 진두지휘했으며

구당서에는 6,000명의 당군이 전사, 신당서에는 10,000명이 전사했을 정도로 당이 큰 피해를 입었다고 전해진다.

3. 관련 문서


[1] 마도산 전투 당측 피해 기록 6,000명 또는 10,000명 이상 [2] 산둥성 옌타이시 펑라이구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