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의 대외 전쟁·분쟁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
전쟁·분쟁 | 교전국 | |
<colbgcolor=#2531a2,#000c29>
천문령 전투 ,697, |
<colbgcolor=#fff,#191919> 무주 | ||
발해-당 전쟁 ,732 ~ 733, |
<colbgcolor=#2531a2,#000c29>
등주 공격 ,732, |
당 | |
마도산 전투 ,733, |
당 | ||
발해-요 전쟁 ,926, |
요 | }}}}}}}}} |
발해-요 전쟁 海國-遼 戰爭 |
||
<colbgcolor=#2531a2,#000c29><colcolor=#ffd700> 시기 | 908년 (대인선 3년) ~ 926년 (대인선 21년) 1월 | |
장소 |
요동, 만주 |
|
교전국 |
<rowcolor=black> 요 (공세) 승
|
발해 (수세) 패
|
주요 인물 |
지휘관 [[요나라| 遼 ]]
야율아보기 (요 태조)[[요나라| 遼 ]]
야율돌욕 (황태자)[[요나라| 遼 ]]
야율요골 (대원수)
|
지휘관 [[발해| 渤海 ]]
대인선 (발해 가독부)[[발해| 渤海 ]]
대광현 (태자)
|
참가자 [[요나라| 遼 ]] 술률평 (순흠황후)[[요나라| 遼 ]] 야율인저석[[요나라| 遼 ]]
야율사열적 (북원이리근)[[요나라| 遼 ]]
야율돌려불 (관직 미상)[[요나라| 遼 ]] 야율안단 (척은)[[요나라| 遼 ]]
야율적렬 (관직 미상)[[요나라| 遼 ]]
야율해리 (요련상온)[[요나라| 遼 ]]
야율삭고 (우피실상온)[[요나라| 遼 ]]
야율욕온 (해질랄부이리근)[[요나라| 遼 ]] 야율질리 (남원이리근)[[요나라| 遼 ]] 야율소 (남부재상)[[요나라| 遼 ]]
소아고지 (북부재상)[[요나라| 遼 ]]
조사온 (한군도단련사)[[요나라| 遼 ]]
강묵기 (이리필)[[요나라| 遼 ]]
한지고 (좌복야)[[요나라| 遼 ]]
한연휘 (좌복야)[1][[요나라| 遼 ]] 강말달 (근시)[[요나라| 遼 ]] 장수실 (요주자사)[[요나라| 遼 ]]
왕욱[2]
|
참가자 [[발해| 渤海 ]] 노상[3][[발해| 渤海 ]]
열만화
|
|
병력 | 요군: 200,000명 | 발해군: 30,000명[4] ↑ |
피해 | 피해 규모 불명 | 피해 규모 불명 |
결과 |
요의 승리 - 발해의 멸망 |
|
영향 | 발해부흥운동 시작 |
[clearfix]
1. 소개
10세기 발해와 요나라 간의 전쟁.
2. 전쟁과정
2.1. 1차 : 요동에서의 소모전(908~918)
요충지인 요동을 두고 10년간 쟁탈전을 벌이게 되고, 결국 발해가 소모전에서 패했다. 요동을 잃은 발해에선 당시 고구려인과 동맹관계였던 말갈족이 이탈하기 시작했다.2.2. 2차 : 요동 탈환(924)
10년 간의 공방전으로 요동을 빼앗겼지만 발해는 924년 5월에 요동을 공격해서 탈환한 후 거란인을 포로로 잡았다.2.3. 3차 : 요동에서의 성동격서와 우회공격(925~926)
925년 4월 요나라군은 발해의 신주를 먼저 공격해서 요동 방어선으로 군사를 몰리게 만들었고 이는 12월까지 계속되었다.발해가 요동에 방어선을 다진 걸 틈타서 발해와의 무역로인 거란도로 기습 공격해서 부여부를 3일만에 떨어트린 이후, 발해의 혼란을 틈타서 홀한성(상경용천부)로 직진해서 함락시킨다.
3. 발해가 멸망한 이유
자세한 내용은 발해/역사 문서의
멸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해동성국이라 불리던 발해의 몰락을 대개 830년 선왕의 붕어 이후 10세기 대인선 시기, 좀 더 세분화하여 908년부터 918년까지를 발해와 요나라( 거란)의 충돌기, 919년부터 924년까지 요나라의 발해 압박기, 924년의 국지전을 거쳐 925년 말 요나라의 급습과 이듬해 926년의 발해 멸망으로 이어지는 멸망기로 설정한다.
발해와 요의 전쟁은 무려 20여년 가까이 진행되었다. 요동 지역을 둘러싼 치열한 전투는 요의 승리로 일단락되고 발해는 요동 지역의 전략적 이점을 상실하면서 경제, 군사상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
비록 발해는 요동 지역을 상실했지만, 아직 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국가였다. 919년 요동을 병합한 요의 침입을 격파하고 924년 5월 발해가 거란의 요주를 공격해서 함락시킨 후, 거란인을 포로로 잡아 온 것은 발해의 군사력이 건재하다는 것을 의미했다.
당시 국제적 환경은 몽골 초원의 위구르 제국의 해체, 토번 제국의 붕괴, 중원의 당나라의 몰락과 오대십국시대, 한반도가 후삼국으로 분열된 혼란기였다. 이런 가운데 대인선은 군사적인 대응 뿐만 아니라 외교적으로 적절히 요를 견제 하였는데, 주변 국가와 결속을 맺어 요의 침략에 대비한 것이다. 하지만 요사 본기에 '이심'이라는 표현대로, 924년 여름을 기점으로 하여 발해에 내부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925년부터 고려로 망명하는 발해인이 장군 등 관직에 있는 사람들이 귀화한 것이다.[5]
발해의 이런 내부적 상황을 파악한 요나라는 20여년간의 전쟁 경험을 통한 발해의 방어 체계를 무력화 시킬 수 있는 전술을 계획한 것이다. 즉 요동방어선을 우회해서 어택땅해서 수도를 함락시키는 것이였다.
사실 부여보다도 요충 지역이 많았던 고구려도 고당전쟁에서 신성, 부여성, 국내성 일대가 당나라에게 넘어가자[6] 평양성으로 가는 길이 열려버렸는데, 발해는 요동 지역으로 공략을 안하는 이상 부여부만 넘어가도 수도가 바로 뚫리는 상황인지라 고구려보다도 더욱 불리했다. 물론 동경이나 남경 등 전선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지역으로 수도를 옮길 수만 있었다면 상황이 나았겠지만, 위에서 언급했듯이 정치투쟁 때문에 골든 타임을 날린 것으로 보인다.
[1]
상경성 함락 이후 그 공으로 좌복야로 옮긴 후 장령부 토벌에 나섰다.
[2]
당시 관직은 미상이나 발해 정벌의 공으로 동정사 문하평장사의 관직을 더하고 숭의군절도사가 되었다.
[3]
늙은 재상이라는 뜻. 본명은 알려져 있지 않다.
[4]
혹은 5,000명
[5]
이것은 발해 내부에 또 다시 정치 투쟁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6]
다만 국내성 일대는 연남생이 넘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