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20:50:24

박상학


<colbgcolor=#000><colcolor=#fff> 박상학
朴相學 | Park Sang-hak
파일:박상학 프로필 사진.jpeg.jpg
출생 1969년 2월 16일 ([age(1969-02-16)]세)
북한 량강도 혜산시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학력 김책공업종합대학 (퇴학)
직업 북한 인권운동가

1. 개요2. 생애3. 논란 및 사건사고4. 비판

[clearfix]

1. 개요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 북한이탈주민 출신의 북한 인권운동가이다.

2. 생애

1969년 2월 16일 북한의 량강도 혜산시에서 태어났다. 북한의 명문대 김책공업종합대학에 입학했으나 예비과 과정을 4개월 다니고 성적 미달 퇴학을 당했다. 김일성사회주의노동자청년동맹 청년돌격대 선전지도원을 역임한 바 있다고 한다. 박상학은 재일교포 집안 출신으로 부모는 조총련 한덕수의 선전선동에 속아 재일교포 북송사업을 통해 1961년 북한으로 오게 되었다. 박상학의 아버지는 조선로동당 대외정보조사부 소속으로 일본인 사업가로 위장하여 해외에서 공작금 조달을 담당했다. 이러한 활동 중 북한의 골동품 등을 판매하기 위해 일본인으로 위장하여 서울에도 몇번 드나들게 되었는데 1996년 신라호텔에서 안기부에 체포되어 이중간첩이 되었다.

1998년 아버지가 주선한 브로커를 통해 일가족과 중국으로 탈북해 다롄에서 비행기를 타고[1] 1999년 11월 대한민국으로 귀순했다. 서울대 모바일 연구소에서 근무하다가 숙부들이 북한의 국가안전보위부에 끌려가 고문을 당하다가 사망했고 사촌들은 꽃제비가 돼서 어디론가 사라졌다는 소식을 듣고[2] 2005년부터 북한의 독재 정권에 대한 내용을 담은 대북전단 배포 등의 활동을 벌이게 되었다고 한다. 2011년 9월에는 탈북자동지회 사무국장이었던 안학영이 북한 정찰총국에 포섭되어 건네받은 독침으로 박상학을 만나 암살을 시도할 계획이었으나 이를 사전에 인지한 국정원의 통보로 약속장소에 나가지 않아 화를 면했다. 2013년에 노르웨이 ' 오슬로 자유포럼'에서 '창의적 반대운동을 위한 바츨라프 하벨상'(Vaclav Havel Prize for Creative Dissent)[3] 수상하였다.

3. 논란 및 사건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박상학/논란 및 사건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비판

“일부 단체들이 하는 공개적 방식은 나도 반대한다. 북한 자극하고 우리 정부와도 충돌을 불사하는 건 옳지 않다. 이건 심리전이다. 세상 어느 나라가 심리전을 공개적으로 하나. 은밀한 방법으로 조용하게 보내면 된다. 북한도 거기에 대해선 뭐라고 안 한다.”
-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 2021년 6월 30일 한겨레와의 인터뷰

지나치게 과격한 대북전단 살포로 인해 정치 성향에 따라 호불호가 극단적으로 갈린다.[4] 너무 과격한 나머지 보수 성향이 강한 접경지역 주민들조차 욕을 하는 것은 기본에 대북전단 금지법의 빌미가 되었을 정도였다.

탈북민 출신 국회의원 태영호는 한겨례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내부 전환을 추동하는 수단으로 대북전단이 유효하다는 건가?"라는 질문에는 “당연하다. 전단은 평화적 방법으로 북한 사람들의 생각을 변화시키니까.”라고 밝히면서도 공개적인 방식은 위와 같이 비판하였다.


[1] 브로커를 통해 위조여권을 사용했다고 한다. [2] 출처 [3] 바츨라프 하벨은 체코의 극작가이자 민주화운동가, 정치인. 체코슬로바키아 시절 적극적으로 공산독재에 맞서 싸웠으며, 공산권 붕괴 이후 민주화된 체코의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4] 다만 인권운동이 과격한 양상을 띄는 것은 박상학 외에도 세계적으로 매우 흔한 현상이다. 인권 문제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극단적인 방향도 불사하지 않는 것.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에코파시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