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상고대 | 고대 | |||||||||||||
만나이 | 키메르 | 스키타이 | 메디아 |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 예르반드 왕조 | 셀레우코스 왕조 | 아르탁세스 왕조 | 아르메니아 제국 | 로마 제국 | 아르사케스 왕조 |
사산왕조 페르시아 |
아란(알바니아) | |||
중세 | |||||||||||||||
돌궐 제국 서돌궐 하자르 칸국 |
사즈 왕조 | 살라르 왕조 | 시르반샤 왕국 |
셀주크 제국 호라즘 왕조 |
쉬르반샤 왕국 | 몽골 제국 | 일 칸국 | 추판 왕조 | 잘라이르 왕조 | 티무르 제국 | 흑양 왕조 | 백양 왕조 | |||
정통 칼리프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
오스만 vs 이란 | 근현대 | 현대 | |||||||||||||
사파비 왕조 | 오스만 제국 | 사파비 왕조 | 호타키 왕조 | 오스만 제국 | 아프샤르 왕조 | 카자르 왕조 | 러시아 제국 |
자캅카스 민주연방공화국 |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 |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
소련 소비에트 아제르바이잔 |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
||
카자르 왕조 |
아르차흐 공화국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상고대 | |||||||||||||||||||
엘람 | ||||||||||||||||||||
신아시리아 | ||||||||||||||||||||
메디아 | ||||||||||||||||||||
고대 | ||||||||||||||||||||
아케메네스 왕조 | ||||||||||||||||||||
헬레니즘 제국 |
||||||||||||||||||||
셀레우코스 왕조 | ||||||||||||||||||||
파르티아 | ||||||||||||||||||||
사산 왕조 | ||||||||||||||||||||
중세 | ||||||||||||||||||||
정통 칼리파 시대 | ||||||||||||||||||||
마잔다란계 소국들 |
||||||||||||||||||||
우마이야 왕조 | ||||||||||||||||||||
아바스 왕조 | ||||||||||||||||||||
타히르 왕조 | ||||||||||||||||||||
알라비 왕조 | ||||||||||||||||||||
사즈 왕조 | ||||||||||||||||||||
사파르 왕조 | ||||||||||||||||||||
지야르 왕조 | 살라르 왕조 | |||||||||||||||||||
사만 왕조 | ||||||||||||||||||||
가즈니 왕조 | ||||||||||||||||||||
. | ||||||||||||||||||||
부와이 왕조 |
||||||||||||||||||||
셀주크 제국 | ||||||||||||||||||||
호라즘 왕조 | ||||||||||||||||||||
몽골 제국 | ||||||||||||||||||||
일 칸국 | ||||||||||||||||||||
일 칸국 멸망 후 혼란기 |
||||||||||||||||||||
중근세 | ||||||||||||||||||||
티무르 제국 | ||||||||||||||||||||
티무르 제국 | ||||||||||||||||||||
흑양 왕조 |
마잔다란계 소국들 |
|||||||||||||||||||
백양 왕조 | ||||||||||||||||||||
사파비 왕조 | ||||||||||||||||||||
호타키 왕조 | ||||||||||||||||||||
사파비 왕조 | ||||||||||||||||||||
근대 | ||||||||||||||||||||
아프샤르 왕조 | ||||||||||||||||||||
아프샤르 왕조 | ||||||||||||||||||||
잔드 왕조 | ||||||||||||||||||||
카자르 왕조 |
||||||||||||||||||||
현대 | ||||||||||||||||||||
팔라비 왕조 마하바드 공화국
|
||||||||||||||||||||
이란 이슬람 공화국 | }}}}}}}}} |
소련의 괴뢰국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6px; word-break: keep-all" |
아시아 | |||||||||||
투바 인민공화국 |
아제르바이잔 인민정부 |
마하바드 공화국 |
||||||||||
유럽 | ||||||||||||
핀란드 민주 공화국 |
폴란드 인민공화국 |
루마니아 왕국 |
||||||||||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
헝가리 인민공화국 |
|||||||||||
위성국 · 구성국 | }}}}}}}}} |
마하바드 공화국 Komara Kurdistanê کۆماری کوردستان |
|||||
국기 | 국장 | ||||
지도 | |||||
마하바드 공화국 (노랑) | |||||
1946년 1월 22일 ~ 1947년 3월 31일 | |||||
수도 | 마하바드 | ||||
언어 | 쿠르드어 | ||||
정치체제 | 사회주의 | ||||
역사 |
• 건국: 1946년 1월 22일 • 멸망: 1947년 3월 31일 |
[clearfix]
1. 개요
마하바드 공화국은 남아제르바이잔에 거주하던 쿠르드인이 수립한 소련의 괴뢰국이다.2. 페르시아 침공과 쿠르드족 자치권 보장
1941년 8월 페르시아 침공으로 소련은 남아제르바이잔 지역을 흭득했으며 중앙 정부가 없는 상황에서 소련은 남아제르바이잔 지역을 영토에 편입시키려고 시도했고 쿠르드 민족주의를 추진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쿠르드족의 자치와 자치권을 보장하였고 쿠르드족이 주로 거주하는 마하바드 마을에서는 부족장들의 지지를 받는 중산층들로 구성된 위원회가 지역 행정부를 장악했다. 그리고 쿠르디스탄 부흥 협회라는 정당이 결성되었으며, 이 정당은 공화국이 멸망할 때까지 5년 이상 남아제르바이잔 지역을 관리했다.1946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결의안 2, 3, 5호를 통과시켜 여전히 페르시아를 점령하고 있는 소련군의 철수를 촉구하였다.
3. 건국과 아제르바이잔 인민정부
1945년 9월 말,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상은 쿠르드 족장들을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공화국의 바쿠로 이송했다.1941년 소련 점령의 여파로 쿠르드족과 아제르바이잔 모두에게 그들 자신의 공동체 집단 내의 정체성에 대한 우려는 논리적으로 보였다. 12월 10일 페르시아 정부군으로부터 남아제르바이잔 지역 동부를 장악하고 아제르바이잔 민주공화국 인민정부를 건국했으며 5일 뒤인 12월 15일 마하바드 공화국도 마하바드에서 건국 되었다.
4. 내부 혼란과 페르시아의 합병으로 멸망
마하바드 공화국은 소련의 지원에 의존했지만 소련의 긴밀한 관계는 대부분의 서방 강대국들로부터 멀어지게 했고 이로 인해 페르시아의 중앙 정부 편을 들게 되었다.그러나 소련은 쿠르드 정부에 대해 대체로 양면적인 태도를 보였다.마하바드 근처에 수비대를 유지하지 않았고,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충분한 지위를 가진 사람도 없었다. 소련은 마하바드 정부가 아제르바이잔 민주공화국에 흡수되는 것을 거부한 정치인들을 싫어했고 이로 인해 마하바드 공화국의 멸망을 앞당겼다.
1946년 3월 26일 미국을 비롯한 서방 강대국들의 압력으로 소련은 페르시아 정부에 남아제르바이잔 지역 북서부에서 철수하겠다고 약속했다. 그 후 동년 6월 페르시아는 남아제르바이잔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다시 주장했다. 이 주장은 마하바드 공화국을 고립시켰고, 결국 멸망으로 이어졌다. 정부의 내부 지지도는 쇠퇴했고, 특히 초기에 그를 지지했던 쿠르드 부족들 사이에서는 지지도가 더욱 더 낮아졌다. 농작물과 물자는 줄어들고 있었으며 소련으로부터의 경제적, 군사적 지원은 사라졌으니 부족들은 그를 지지할 이유를 찿을 수 없었다. 그리고 마을 사람들과 부족들 사이에 큰 다툼이 있었고, 마하바드 공화국의 대한 동맹은 무너지고 있었다.
1946년 12월 5일, 정부는 만약 페르시아군이 이 지역에 진입하려고 한다면 맞서 싸울 것이며 저항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쿠르드족 부족의 자원 부족으로 인해 쿠르드족 반란보다는 페르시아군이 수행한 쿠르드족 민간인 학살만 보게 되었다.이로 인해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전쟁을 피할 수 없었다.
10일 후인 1946년 12월 15일, 페르시아군은 마하바드를 점령했다. 일단 마하바드에 도착하자, 그들은 인쇄소를 폐쇄하고, 쿠르드어 교육을 금지했으며, 모든 쿠르드족 서적들을 불태웠다. 그 후 마하바드를 점령하면서 마하바드 공화국은 멸망했다.
5. 멸망 이후
마하바드 공화국의 군대 일부는 무기를 빼돌려 1947년 3월까지 저항하였으나 페르시아군에게 밀려 이라크 왕국으로 후퇴한다. 당시 이라크는 친서방적인 하심 가문이였기에 이들을 달갑게 여기지 않고 몇몇 이들을 체포하자 이 군대는 소련으로의 망명을 결정하게 되었고, 군대 500명은 소련으로의 망명에 성공하였다.비록 짧은 기간이었고, 소련의 괴뢰국이 됐지만 쿠르드인들은 터키에 세워졌던 아라라트 공화국 이후 두 번째 국민국가 건설에 성공한다. 그러나 이후로 쿠르드인들은 자신들의 국가를 건설하지 못하였고, 이라크, 이란, 터키, 시리아 일대의 소수민족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