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bgcolor=white,black> 영화관 | |
평양시 | ||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 대동문영화관 · 평양국제영화회관 | |
기타 | 락원영화관 ( 보통강구역) · 려명거리영화관 ( 대성구역) · 미래과학자거리영화관 ( 평천구역) | |
예술·공연시설 | ||
평양시 | ||
중구역 | 만수대예술극장 · 인민극장 · 인민문화궁전 · 평양대극장 · 평양시청년공원야외극장 | |
대동강구역 | 동평양대극장 · 청년중앙회관 | |
모란봉구역 | 모란봉극장 · 삼지연관현악단극장 · 4.25문화회관 | |
기타 | 봉화예술극장 ( 서성구역) · 평양교예극장 ( 만경대구역) | |
남포시 | ||
전체 | 남포시예술극장 · 남포시청년야외극장 | |
강원도 | ||
전체 | 송도원청년야외극장 | |
자강도 | ||
전체 | 강계청년야외극장 | |
평안남도 | ||
전체 | 안주극장 · 평성청년야외극장 | |
평안북도 | ||
전체 | 신의주청년야외극장 · 평안북도예술극장 | |
함경남도 | ||
전체 | 함흥대극장 | |
함경북도 | ||
전체 | 청진청년야외극장 | |
황해남도 | ||
전체 | 해주청년야외극장 | |
황해북도 | ||
전체 | 사리원청년야외극장 · 황해북도예술극장 | |
체육시설 | ||
평양시 | ||
중구역 | 릉라도5월1일경기장 · 양각도축구경기장 · 평양빙상관 · 평양체육관 | |
대동강구역 | 금릉운동관 · 인민야외빙상장 | |
만경대구역 | 메아리사격관 · 서산축구경기장 · 태권도전당 | |
기타 | 김일성경기장 ( 모란봉구역) · 류경정주영체육관 ( 보통강구역) | |
평안남도 | ||
전체 | 평성경기장 · 평성체육관 | |
황해북도 | ||
전체 | 사리원청년경기장 · 사리원체육관 | |
}}}}}}}}} |
평양시의
체육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40001,#222222><tablebgcolor=#e40001,#222222> |
류경정주영체육관 柳京鄭周永體育館 Ryugyong Chung Ju-yung Gymnasium |
|
|
▲ 류경정주영체육관의 외부 모습 | |
|
|
▲ 류경정주영체육관의 내부 모습 | |
<colbgcolor=#e40001,#222222><colcolor=white> 개장 | 2003년 10월 6일 |
규모 |
부지면적 67,000m² 연건축면적 27,000㎡ |
수용인원 |
주경기장 12,309명 부경기장 164명 |
주소 |
류경정주영체육관 (
평양시
보통강구역
서장동)
|
[clearfix]
1. 개요
북한의 체육관. 평양시 대동강구역 서장동에 있다.현대그룹의 창립자이자 회장이었던 정주영의 지시에 따라 현대건설이 주도로 만든 체육관이다. 평양체육관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실내 체육관이다.
근처에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중앙계급교양관, 류경호텔, 봉화병원, 서장회관, 평양교예극장 등의 시설물이 있다.
2. 연혁
현대그룹 전 회장 정주영이 방북해 김정일과 가진 회견에서 남북 체육 교류 활성화를 위한 체육관 건설에 합의한 뒤 1998년 10월 29일에 공식 협정을 체결했고, 류경호텔 인근에 부지를 정하고 1999년 9월 29일에 착공식을 가진 뒤 2003년 5월에 완공했다. 당시 고난의 행군 시기라 설계와 건설자재 조달 및 시공까지 거의 대부분을 현대건설이 도맡아 했다. 공식 개관은 그 해 10월 6일에 통일농구경기대회에 맞추어 이루어졌다. 허재, 이상민, 전주원 등 유명 농구선수와 이선희, 신화, 베이비복스[1] 등 당시 유명 연예인들도 육로로 방북하여 이 곳에서 개관기념 농구대회와 콘서트도 열었다. 당초 명칭은 단순히 류경체육관으로 되어 있었지만, 공사가 진행되고 있던 2001년에 세상을 떠난 정주영의 대북 사업 업적을 기린다는 취지로 정주영의 이름을 중간에 넣은 류경정주영체육관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직사각형의 딱딱하고 위압적인 디자인으로 설계된 평양체육관과 달리 타원형의 아레나 스타일로 지어졌고[2], 지붕은 스테인리스강을 주재료로 한 돔 형태로 되어 있다.이후 주로 체육 경기에 사용되어 2005년 6월의 여자복싱세계선수권대회 등의 국제 경기를 비롯한 각종 체육 경기가 진행되고 있다. 같은 해 8월 23일에는 조용필의 평양 공연 때 공연장으로 사용되기도 했고, 2013년 9월에는 전 NBA 농구 선수 데니스 로드먼이 묘기 농구단인 할렘 글로브트로터스를 이끌고 방북했을 때 북미 친선 경기가 개최되기도 했다. 같은 달에 아시아클럽역도경기대회가 개최되었을 때는 한국 선수가 1위를 차지한 경기의 시상식에서 태극기가 걸리고 애국가가 주악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6.25 전쟁 후 북한에서 처음으로 한국 국기와 국가가 등장한 사례로 기록되었다.
2000년대 후반 이후로는 체육 경기 외에 대규모 공연을 위한 공연장으로 쓰이는 경우도 많아졌는데, 은하수관현악단과 조선인민군공훈국가합창단, 모란봉악단 등이 대규모 공연을 개최할 때 자주 대관하고 있다. 공연장으로 쓰이는 경우 초기에는 가장 넓은 면 한 곳을 막고 가설 무대를 설치하는 식으로 사용했지만, 이럴 경우 좌석이 너무 많이 비게 되어 공간 활용에 비효율적이고 관람 여건도 그다지 좋지 않다는 맹점이 있기 때문인 지 2011년 이후로는 반대로 가장 좁은 두 면 중 전광판이 있는 곳을 막아 가설 무대를 설치하는 식으로 세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