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8-16 11:51:28

봉화예술극장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영화관
평양시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대동문영화관 · 평양국제영화회관
기타 락원영화관 ( 보통강구역) · 려명거리영화관 ( 대성구역) · 미래과학자거리영화관 ( 평천구역)
예술·공연시설
평양시
중구역 만수대예술극장 · 인민극장 · 인민문화궁전 · 평양대극장 · 평양시청년공원야외극장
대동강구역 동평양대극장 · 청년중앙회관
모란봉구역 모란봉극장 · 삼지연관현악단극장 · 4.25문화회관
기타 봉화예술극장 ( 서성구역) · 평양교예극장 ( 만경대구역)
남포시
전체 남포시예술극장 · 남포시청년야외극장
강원도
전체 송도원청년야외극장
자강도
전체 강계청년야외극장
평안남도
전체 안주극장 · 평성청년야외극장
평안북도
전체 신의주청년야외극장 · 평안북도예술극장
함경남도
전체 함흥대극장
함경북도
전체 청진청년야외극장
황해남도
전체 해주청년야외극장
황해북도
전체 사리원청년야외극장 · 황해북도예술극장
체육시설
평양시
중구역 릉라도5월1일경기장 · 양각도축구경기장 · 평양빙상관 · 평양체육관
대동강구역 금릉운동관 · 인민야외빙상장
만경대구역 메아리사격관 · 서산축구경기장 · 태권도전당
기타 김일성경기장 ( 모란봉구역) · 류경정주영체육관 ( 보통강구역)
평안남도
전체 평성경기장 · 평성체육관
황해북도
전체 사리원청년경기장 · 사리원체육관
}}}}}}}}}

파일:북한 국기.svg 평양시 공연시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40001,#222222><tablebgcolor=#e40001,#222222>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봉화예술극장
烽火藝術劇場

Ponghwa Art Theatre
}}} ||
파일:봉화예술극장.jpg
▲ 봉화예술극장의 모습
<colbgcolor=#e40001,#222222><colcolor=white> 설립 1982년 7월
규모 연건축면적 45,900㎡
수용인원 대극장 1,918명
소극장 800명
주소

파일:북한 국장.svg 봉화예술극장
( 평양시 서성구역 와산동)
1. 개요2. 역사

[clearfix]

1. 개요

북한 공연장. 평양시 서성구역 와산동에 있다.

근처에 사회안전성 청사가 있다.

2. 역사

1982년에 개관했고, 2,000석 규모의 대극장과 800석 규모의 중극장 두 개 공연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989년에 개관한 동평양대극장처럼 두 공연장 모두 발코니석을 제외한 모든 객석을 층 구분 없이 계단식으로 배치했고, 무대 뒷쪽에는 별도의 사무동과 관리동이 자리잡고 있다.

운영과 관리는 사회안전성에서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국립민족예술단의 상주 공연장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2000년대 초중반 활성화되었던 남북 문화예술 교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SBS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의 동생인 가수 로저 클린턴의 평양 공연에 묻어가기 남한 대중음악인을 합류시켜 진행한 평화친선음악회와 MBC의 민족통일음악회(모두 1999년), KBS 교향악단 방북 공연(2002년), 신동엽의 서사시를 가극으로 각색한 '금강'의 방북 공연(2005) 등 굵직한 남측 예술 공연들이 주로 이 극장에서 개최된 바 있다. 이외에도 중국이나 러시아 같은 전통적인 우방국의 예술단이 방북 공연할 때도 이 극장을 자주 이용한 바 있다.

하지만 이 극장도 시설의 노후화와 관람의 불편함 같은 문제를 피할 수는 없었는지, 2000년대 후반에 평양 시내의 다른 공연장들과 마찬가지로 대규모 개축 공사를 거쳐 2011년 7월에 조선인민내무군협주단의 공연으로 재개관했다. 그 이전인 2009년 3월에는 이 극장의 부속 건물을 중극장 규모인 붉은별극장으로 개축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