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 시기의 소련 해군 수상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전함 | <colbgcolor=#fefefe,#191919>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노보로시스크배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배상, 비보르크배상, 헤센나포 | |||
순양전함 |
|
||||
순양함 | 순양함 |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차파예프급,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르들로프급, |
|||
미사일 순양함 |
프로젝트 63형,
킨다급, |
||||
대잠 순양함 | 크레스타급, 카라급, 프로젝트 1199형, 프로젝트 11990형 | ||||
구축함 | 구축함 | T33배상, T-12배상, T-17배상, 프릿키배상, 필키배상, 프로치니배상, 프라보르니배상, 베르니배상, 브니자프니배상, 보즈로조니급배상, 룍키배상, 라프키배상, 레뚜치배상, 리호이배상, 레그키배상, 로브배상, 윅스급UK, 프로젝트 30형, 오그네보이급, 프로젝트 31형, 코틀린급, 킬딘급, 카닌급, 소브레멘니급 | |||
대잠 구축함 | 카닌급, 카신급, 우달로이급, 프로젝트 1156형, 프로젝트 11560형, 프로젝트 11000형 | ||||
호위함 |
프로젝트 29형,
네우스트라시미급,
콜라급,
코니급,
리가급,
페트야급,
미르카급,
크리박급, |
||||
초계함 | 소형 미사일함 (МРК) |
나누추카급,
보라급,
타란툴급, |
|||
소형 대잠함 (МПК) | 크론슈타트급, 포티급, 그리샤급, 프로젝트 1141형, 폴급, 파르킴급, 무하급, 파우크급 | ||||
소형 함포함(Мак) | 야즈급 | ||||
경비정 | 프로젝트 D 361형, 프로젝트 P 361형, 프로젝트 T 361형, 프로젝트 B 361형, 프로젝트 C 361형, 프로젝트 125, 프로젝트 125A형, 프로젝트 D 376형, 스텐카급, 주크급, 스베틀야크급 | ||||
모니터함 | 제레즈냐코프급, 하산급 | ||||
함포정 | 쉬멜급 | ||||
어뢰정 | 프로젝트 123-bis형, P-6급, P-4급, 프로젝트 184형, 셰르셴급, 프로젝트 125형, 투르야급, 무라베이급 | ||||
대잠정 | 무레야급, S·O-1급 | ||||
미사일 고속정 | 코마급, 오사급, 마트카급, 타란툴급 | ||||
항공모함 |
프로젝트 85형, PBIA,
모스크바급,
키예프급, |
||||
상륙함 | 강습상륙함 |
|
|||
대형 상륙함(БДК) | 앨리게이터급, 이반 로고프급, 로푸카급, 폴노시니급, 프로젝트 778형 | ||||
중형 상륙함 | 프로젝트 572형, 프로젝트 118형, 폴노크니급 | ||||
소형 상륙함(МДК) | 프로젝트 450형, 프로젝트 189형, 프로젝트 106형 | ||||
공기부양 소형상륙함 | 주브르급, 아이스트급, 프로젝트 10210형 | ||||
공기부양정 | 거스급, 레베디급, 우테노크급, 프로젝트 1238형, 무레나급 | ||||
LCU | 프로젝트 80형, 프로젝트 306형, 프로젝트 1785형, 온다트라급 | ||||
기뢰함 | 대양 소해함 | 프로젝트 73-K형, T43, T58급, 유르카급, 리다급, 나탸급, 프로젝트 923형, 고랴급 | |||
기본 소해함 | 프로젝트 3형, 프로젝트 265형, 바냐급, 프로젝트 699형, 제니야급, 소냐급 | ||||
연안 소해정 | MT급, 프로젝트 255형, 예브게니야급, 프로젝트 10751형 | ||||
정보수집함 | 프로젝트 393형, 프로젝트 393-A형, 프로젝트 394B형,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비시냐급,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 SSV-33 우랄 | ||||
추적유도함 | 프로젝트 1128형, 프로젝트 1129형, 프로젝트 1129B형, 프로젝트 1130형, 마쉘 네델급 | ||||
통합보급함(ККС) | 베레지나급 | ||||
급유함 | 프로젝트 563형, 프로젝트 1589형, 보리스 칠킨급, 프로젝트 577형, 프로젝트 160형, 두브나급, 이만급, 어얼구나급 | ||||
고속 및 특수급유함 | 프로젝트 437-K형, 프로젝트 1545형, 프로젝트 1844형, 프로젝트 1541형, 프로젝트 11510형 | ||||
급탄함 | 프로젝트 1791형, 프로젝트 11570형, 프로젝트 10680형 | ||||
잠수함지원함/잠수함구조함 | 돈급, 프로젝트 1886형, 콤무나 | ||||
위그선 | 룬급 | ||||
해양연구함 |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 ||||
수로탐사함 |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 ||||
훈련함 | 드네프르,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 | ||||
※ 윗첨자UK: 영국이 대여해준 함선 ※ 윗첨자배상: 추축국인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으로부터 전후 배상받은 함선 ※ 윗첨자나포: 추축국의 함정을 나포해서 운용하게 된 함선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Большие десантные корабли проекта 775 |
1. 개요
로푸카급 상륙함(Проекта 775)은 소련 해군이 건조하여 소련 해군과 러시아 해군이 운용하는 상륙함이다. 로푸카는 폴란드어로 두꺼비를 뜻하는데, 선박들이 모두 폴란드의 그단스크 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러시아 해군 상륙전력의 주축을 담당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이반 그렌급 상륙함과 이반 로고프급 강습상륙함에 대체하고 있다.
2. 제원
로푸카급 상륙함의 제원 | |
배수량 | 2,200톤(경하) 4,080톤(만재) |
전장 | 112.5m |
폭 | 15m |
홀수선 | 3.7m |
작전시한 | 30일 |
항속거리 | 15노트에서 6,100마일 |
출력 | 19,200마력 |
무장 | AK-257 2문, AK-176 76mm 함포 1문, A-215 Grad-M 2문 |
최대속력 | 18노트 |
공수능력 | 최대 10대의 MBT 또는 최대 12대의 BTR 또는 최대 340명의 인원 |
3. 성능
4. 개발
4.1. 소요제기
소련 해군은 앨리게이터급 상륙함을 운용함에 따라 개선 사항을 파악할 수가 있었으며 운용 경험을 바탕으로 신규 상륙함 건조사업을 추진하게 된다.설계 시 기존 수륙양용작전의 개선 부분보다 강력한 무기 탑재를 통한 생존 가능성 부분으로 초점을 바꾸었으며 폴란드에서 설계를 마무리하였다. 수석 설계자는 폴란드의 조선기술자인 O. 비소츠키(O. Vysotsky)가 담당하였으며, 수석 참관인은 B. N. 몰로도즈니코프(B. N. Molodozhnikov), 민간 전문가는 M. 리브니코프(M. Rybnikov)로 선임되었다.
4.2. 건조
|
|
로푸카급은 총 28척이 건조되었으며 세부적으로는 '프로젝트 775' 12척, '프로젝트 775 - 2' 13척, '프로젝트 775 - 3' 3척으로 설계 되었다.[1]
5. 운용
5.1. 소련, 러시아 해군
원조 운용국. 소련 시절에는 27척을 운용하였으나 소련 해체 후 많은 수가 비용 문제로 퇴역하였다.2024년 현재 러시아 해군에서 현역으로 운용 중인 로푸카급은 도합 14척이다. 이들 중 북방함대와 발트함대에 각각 4척이, 태평양함대, 흑해함대에 각각 3척씩이 배치되어 있다. 다만, 우크라이나 전쟁 직전 북방함대와 발트함대에서 흑해로 차출되어 흑해함대 휘하에서 운용 중이다.
또한 14척 중 올레네고르스키 고르니크, 민스크는 손상을 입어 수리 중이며 아조프 역시 경미한 피해를 입어 정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5.2. 우크라이나 해군
1996년 흑해함대가 둘로 분할되는 과정에서 러시아로부터 1척(콘스탄틴 올샨스키)을 받았다.자매함들과 다르게 홀로 우크라이나에 넘겨진 콘스탄틴 올샨스키는 2011년 리비아 내전 당시 외국인들을 철수시키는데 동원되는 등 다방면의 작전에 투입되었나, 2014년 크림 위기 당시 러시아군에게 탈취되었고 따라서 현재 우크라이나군이 운용 중인 로푸카급은 없다. 참고로 러시아군은 해당 함선을 흑해함대에 편입시켰으며, 일부 개장을 거친 끝에 지금까지 계속 사용하고 있다.
5.3. 남예멘 해군
1979년 소련으로부터 프로젝트 775의 마지막 함선인 BK-119를 지원받아서 운용했다. BK-119는 1990년 예멘 통일 이후에는 예멘 해군 소속으로 계속해서 활동하다가 2002년 민간에 매각되어 벌크선으로 개조되었고,[2] 최종적으로 2018년 사고로 침몰했다.6. 실전
6.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러시아의 흑해 함대 소속 로푸카급들 및 타 함대에서 차출된 로푸카급들이 투입되었다. 개전 시점 기준으로는 흑해 함대 소속 5척과 타 함대 소속 6척을 합쳐 총 11척이 있었다.2022년 3월 24일, 러시아가 점령한 베르댠스크 항구에 197 강습상륙함 여단 소속 앨리게이터급 상륙함 1척과 나란히 기항중이던 로푸카급 2척이 우크라이나군의 토치카 지대지 미사일 공격을 받았다. 이 공격으로 앨리게이터급 사라토프(Saratov)는 격침, 로푸카급 체사르 쿠니코프(Caesar Kunikov), 노보체르카스크(Novocherkassk)는 유폭 피해를 받고 급히 항구에서 후퇴했다.
2023년 8월 4일, 본래 북방함대 소속인 올레네고르스키 고르니크가 우크라이나군의 수중드론 공격으로 중파되었다.
2023년 9월 13일, 우크라이나군의 공습으로 드라이도크에 정박 중이던 민스크가 큰 피해를 입었다. 스톰쉐도우 미사일에 직격당해화재가 발생했는데, 진화에 실패하면서 상부 구조물 전체가 전소 및 붕괴되었다. 참고로 이쪽도 올레네고르스키 고르니크와 마찬가지로, 본래 흑해가 아닌 발트함대 소속 함선이다.
2023년 12월 26일, 베르댠스크에서의 공습에서 생존한 뒤 수리되어 전선으로 복귀한 노보체르카스크가 크림 반도 페오도시아에 정박중에 우크라이나군의 공습으로 대폭발을 일으키며 침몰했다. # 이후 공개된 사진에 의하면 상부 구조물을 간신히 알아볼 수 있는 상태로 침몰했으며, 유폭으로 폭발을 일으킨 것으로 보이며 영향으로 폭구형 훈련함 한 척도 같이 격침당했다.
2024년 2월 14일, 흑해함대 소속 체사르 쿠니코프가 우크라이나군의 수중드론 공격으로 격침당한 것이 확인되었다. # 이로써 베르댠스크 공습에서 목표로 지정된 상륙함 3척은 2년여에 걸쳐 전부 격침당했다.
2024년 3월 24일, 우크라이나군이 야말과 아조프를 노리고 세바스토폴에 대규모 스톰쉐도우 미사일 공습을 가했다. 초기에는 두 척 모두 격침되었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위성 사진 확인 결과 아조프만이 경미한 손상을[3] 입었다. 참고로 야말의 경우에는 미사일이 아예 텅 빈 부두로 잘못 날아간 덕분에 일체 피해를 입지 않았다.
2024년 3월 26일에는 우크라이나 해군이 흑해함대 소속 콘스탄틴 올샨스키함이 세바스토폴에서 넵튠 미사일 공격으로 피해를 입었다고 발표하였으나 위성 사진 등 증거자료는 제시하지 않은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