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 Robert Jermain Thomas |
출생 | 1839년 9월 7일 |
영국 웨일즈 라야다 | |
사망 | 1866년 9월 5일 (향년 26세)[1] |
조선
평안도 용강현 주영포 앞바다 (現 평양시) |
|
학력 | 영국 런던 대학교 시스템 뉴 칼리지 신학과 졸업 |
가족 | 아내 : 캐롤라인 |
종교 | 기독교( 개신교, 회중교회) |
1. 개요
영국의 개신교 선교사. 제너럴 셔먼호 사건으로 알려져있다.조선에서 사망한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2]
2. 생애
영국 웨일스 중부 라야다라는 작은 마을에서 로버트 토마스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토마스는 라야다 지역의 작은 회중 교회의 사역자인 아버지를 두어 개신교 가정에서 자라났다. 토마스는 1859년 런던 대학교 시스템 뉴 칼리지에서 대학과 신학 과정을 마치고 정식 목사 안수를 받았다. 그러나 목회보다는 해외 선교 사역에 뜻을 둔 토마스는 런던 선교회 소속으로 부인인 캐롤라인과 함께 중국으로 떠났다.몇 달간의 긴 여행 끝에 상하이에 도착하였다. 때마침에 부인이 임신하던 중이라 중국에 한 동안 머물고 있었는데, 안타깝게도 부인인 캐롤라인이 동료 선교사들의 죽음 소식을 듣고 충격에 빠져 유산하게 되고 결국 사망한다. 토마스는 이 일로 인해 엄청난 고통과 슬픔에 잠기게 된다.
그 후, 중국내 사립학교 '앵글로-차이니즈'라는 학교의 교장직을 맡아줄 것을 런던 선교회 중국 지부장에게 제안받았으나, 토마스는 고민 끝에 이를 거절한다. 이후 토마스는 마음을 정리한 후에 모든 것을 내려놓고 해외 선교에 다시 집중하게된다. 중국에서 조선인 가톨릭 신자를 만난 것을 계기로 하여 1865년 조선에 잠입하여 성경을 배포하며 선교 활동을 벌이다 배가 파손되어 중국으로 돌아간 후, 베이징에 있는 선교회 산하 학교에서 잠시동안 교장으로 부임했다.
이듬해인 1866년, 조선 정부가 프랑스 신부들을 학살한 사건에 항의하기 위하여 조선으로 떠나는 프랑스 함대에 통역관으로 합류하기로 되어있었으나, 로즈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 함대는 때마침 베트남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기 위하여 상하이로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 토마스는 미국의 상선인 제너럴셔먼호에 항해사 겸 통역으로 탑승하여 다시 조선으로 떠나게 된다. 제너럴 셔먼호는 대동강을 거슬러 평양에 진입한 후, 평양 관민들에게 통상 수교를 요구하였으나 거절당하였고, 이에 만경대 한사정까지 올라갔다. 그리고 이들의 행동을 막아선 중군 이현익을 붙잡아 감금하였다.
사태가 이르자, 평양성 관민들은 크게 격분하여 강변으로 몰려들었고, 셔먼호는 소총과 대포를 관민들에게 마구잡이 쏘아대 사태는 더욱 더 악화되었다. 결국 제너렬 셔먼호는 모래톱에 좌초되었고 이에 평안도 관찰사 박규수는 철산 부사 백낙연 등과 상의하여 대동강 물에 페식용유를 풀고 불을 붙여 셔먼호를 불태워 격침시켰다. 결국 이 과정에서 제너럴 셔먼호의 잔당들과 함께 사로잡혀 결박당한 채 성난 군중들에게 맞아 죽는다.
3. 순교자 논란
토마스는 1866년 제너럴 셔먼호를 타고 처음 조선땅에 들어온 것이 아니다. 그는 이미 전에 중국에서 활동 중인 스코틀랜드 성서공회의 지원으로 1865년 9월 13일 조선 연평도에 들어온 적이 있다. 이 과정에서 숨어서 믿고 있던 조선의 가톨릭 신도들의 도움으로 포교 활동을 시작했다.[3] 조선에서 선교 활동을 네 달 정도 하였고 서울로 잠입하려다가 태풍을 만났다. 결국 배는 좌초되어 목숨만을 건져서 1866년 1월 베이징으로 다시 복귀했다. 1866년 4월 조선의 동지사 일행을 만나서 자신의 선교가 조선땅에서 뿌리를 내려 평양에서 자신이 전파한 한문성경이 퍼지고 있다는 기쁜 소식을 듣고 조선 재입국을 시도하기 위해 프랑스 배를 타려다가 무산되고 꿩 대신 닭으로 찾은 게 제너럴 셔먼호였다. 이와 같은 정황을 보면 토마스가 자청해서 침략 활동에 참여했다고 보기는 매우 어려워 보인다.그러나 제너럴 셔먼호에서의 토마스의 역할은 평양지와 패강록에 의하면 그가 단지 종교 전파의 의도로 왔는지 의심이 드는 대목이 있다. 권총과 환도로 무장하고 있었다는 기록도 있기 때문이다. 환재집을 보면 토마스가 조선인 관리들의 말은 들은 척도 하지 않고 성을 냈다는 대목도 나오고 있는 것을 보면 단순히 배를 얻어타고 통역을 맡은 정도가 아니다.
하지만 제너럴 셔먼호에 탄 인원은 토마스와 영국인 호가드를 비롯해 서양인은 5명이고(덴마크인 선장 1명, 영국인 토마스 목사 포함 2명 미국인 2명), 나머지 14명의 선원은 중국인과 말레이시아 선원이었다. 무장 상선이란 용어 때문에 군함으로 생각할 수도 있는데 이 시기 이전 전근대 시절 원양으로 나가는 선박은 상선이고 수송선이고 연락선이고 간에 포로 무장을 하는 것이 기본이었다.[4] 따라서 단순히 이들이 무장을 했다는 것 자체로는 불순한 의도가 있다고 단정짓기 어렵다.
통상 목적의 이양선은 이 시기 이전인 순조, 헌종, 철종 시대부터 여러 차례 보고되었고 조선 조정은 통상은 거부하되 잘 달래보냈기에 별 문제는 되지 않았다. 그런데 이 선박만큼은 유혈사태로 끝난 이유는 선박에 탄 이들이 20여 명이 구경 나온 조선군민 7명을 사살하고 자재와 식량을 나눠줬더니 되려 약탈했기 때문이다.
당시 평양 주둔 조선군을 통솔하던 박규수는 개화파의 효시로 유명한 인물이며, 토마스 선교사를 비롯하여 외인들을 죽이지 않으려던 사람이었다. 무엇보다 서양인 5인을 제외하더라도 중국인 선원이 10여 명이나 되었기 때문에 이들을 함부로 죽이면 외교 문제로 비화될까봐 사건을 지나치게 키우고 싶지 않았다. 하지만 격분한 평양 주민들이 중국인 선원까지 죽여버린 사실이 전해지자 조정에서도 난색을 표했다. 다행히 청에서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개신교계에서 이때 죽은 토마스 선교사를 순교자로 기리고 토마스 교회를 세웠기 때문이다.[5] 6.25 전쟁 당시 평양 내에 2층 이상의 건물이 남아나지 않을 만큼 도시가 황폐화되었는데, 2009년에 평양 과학 기술 대학을 지으면서 우연히 그 터가 발굴되었다고 한다.
오문환 장로는 1928년 평양에 도마스 교회를 세우고 1935년에는 도마스호라는 배도 건조하며 토마스를 널리 알렸다. 개신교계가 주장하는 토마스에 대한 내용은 거의 오문환이 연구/주장한 것들에 기반한다.[6]
순교 여부에 대해 한국 개신교에서도 논란이 없는 건 아니다. 선교 목적으로 입국을 시도한 건 맞는데, 그가 신앙을 위해 죽었다고 보다기에는 침략자들 옆에 있다가 죽은 것이기에 무슨 순교냐고 비판하는 목소리도 종종 있다. 다만 그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그가 조선에 온 이유가 성경을 전해주려 했다는 점 등을 비추어 보면 신앙을 위해 죽은 것이 맞기 때문에 이 역시 순교라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4. 평양대부흥과의 연관성
박규수의 명령으로 배를 불질렀을 때, 토마스는 배에서 빠져나와 여러 사람에게 성경을 건넸는데, 이것이 1907년 평양 대부흥의 기반이 되었다는 설이 있고 이는 아래와 같다. 다만 앞서 나오듯 이것은 오문환 장로가 정리한 일화+a가 된 내용들이기 때문에 교차검증이 필요한 부분이 많다. 당장 아펜젤러 목사 부부와 언더우드 목사 부부가 기록한 서북 선교 여행과 같이 매우 중요하고 신뢰할만한 초창기 한국 개신교 기록에서는 이러한 일화가 존재하지 않는다.당시 12세였던 최치량(崔致良)은 엉결겹에 성경을 받았다가 두려운 마음이 들어 영문주사(營門主事)였던 박영식(朴永植)에게 넘겼고, 박영식은 책을 찢어 벽에 발랐다고 한다. 벽에 적힌 글을 읽다가 그는 신앙을 갖게 되고 기독교인이 되었고, 그의 집은 훗날 평양 대부흥의 중심이 되는 장대현 교회의 시초가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이밖에도 토마스를 찔러 죽인 박춘권(朴春權)이라는 사람이 처음에는 성경을 거부했지만, 나중에 호기심이 생겨 토마스가 죽은 자리에 갔다가 성경을 읽고 안문교회의 집사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1]
27세 생일을 이틀 앞두고 목숨을 잃었다.
[2]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는 독일인 칼 귀츨라프. 자세한 일화는
개신교/대한민국에 나와 있다.
[3]
이때
빅토리아 여왕의 얼굴이 새겨진 메달을 나누어 주었는데
성모 마리아의 얼굴인 줄 알고 눈물을 흘렸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4]
원해에는 서양 선박끼리 만나도 무법천지였고 대항해시대 때는
사략해적도 있었다.
[5]
평양에 있었던 교회이기 때문에 북한 정권이 수립된 뒤 폐쇄된다.
[6]
천주교의 초기 선교기록은 조선인 신도들의 네트워크와 기록, 프랑스 선교사들의 기록 등이 있어 정부의 공식기록과 교차검증도 가능하지만 토마스가 죽었을 때는 아직 개신교가 본격적으로 선교를 시작하기 전이었다. 그래서 오문환은 토마스를 연구하면서 교차검증이나 연구방법이 없이 정부기록이나 참여자들의 기록 그리고 목격자들의 증언에 의존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