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3:31:51

대동문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777777,#555555> 평양시 평양성 (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고구려 고분군 (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고구려 고분군 (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법운암
룡화사 · 평양성 (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단군릉
개성시 개성역사유적지구 (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고구려 고분군 ( 강서삼묘 (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 의주 남문
함경남도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고구려 고분군 (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성불사
공통 천리장성
}}}}}}}}}


파일:대동문_두번째_복원.jpg
대동문

1. 개요2. 일제강점기3. 현재의 대동문4. 기타5. 관련 문서


大同門 / Taedongmun

1. 개요

평양시 이문동(里門洞) 1-6번지(북한 행정구역상 평양시 중구역 대동문동)에 있는 성문이다. 북한의 국보 제4호. 평양성의 동문(東門)으로 역사는 고구려시대까지 거슬러올라가나 지금의 문은 조선 중기에 세워진 것이라 한다. 누각이 1층이 중층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이점이다.

파일:%C6%F7%B8%CB%BA%AF%C8%AF_b0052375_4a92bfd92bc81.jpg

조선시대 말기까지는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방어시설로써 수원화성 장안문이나 팔달문같이 반원형 형태의 옹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훼손된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external/chang256.new21.net/dadongmunh00364_1.jpg

1층의 초서체 현판은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 2층의 해서체 현판은 평안감사 박엽(朴燁)의 글씨이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맨 위의 사진엔 흰 현판이 2층에, 검은 현판이 1층에 걸려 있다. 게다가 흰 현판도 초서체가 아니다. 한편 揖灝樓(읍호루)라는 현판의 '읍호'는 문루에서 손을 내밀어 대동강의 맑은 물을 떠올린다는 뜻이다.


옛날에는 이 문 바깥에 나루터가 있어서 동평양 쪽으로 가는 나룻배를 탈 수 있었다. 대동문 건너편 쪽이 선교(船橋), 선교리(船橋里)라고 불리게 된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러한 지명은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으며, 북한에서는 중구역(대동문 소재 구역) 건너편 구역을 선교구역이라고 부른다.

대동문 옆 종각에는 평양종이 있는데, 이른바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23호이다. 조선 말엽까지 시간을 알리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2. 일제강점기

파일:attachment/daedongmoon.jpg 
일제강점기의 대동문. 옹성이 헐린 뒤라서 원형에서 다소 변형되어 있다.

일제강점기에 많이 훼손되었다. 대동문은 부분적으로 많이 변형되었다. 문루 1층의 대가 좌우로 넓어지고, 창문이 설치되는 등... 현판 역시 다른 글씨체를 가진 것으로 바뀌었다.

3. 현재의 대동문

파일:external/korean.cri.cn/simiao.jpg

한국 전쟁 때 대동문은 미군의 폭격으로 인해 파괴되고, 현재는 북한에서 복원해 놓았다. 게다가 사진으로 비교해본다면 원래의 대동문보다 훨씬 작게 지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좌우의 문각 위치나 문루 2층의 창문 부분이 막혀있는 것을 보자. 위 사진에서는 비교하기 어렵지만, 성벽의 높이는 대동강변을 향한 둑의 높이 때문에 이전보다 낮은 것처럼 보인다.

파일:Daedongmun_Snow.jpg
2009년 12월 대동문의 설경. 오른쪽의 종각은 평양 종각[1].

현재는 일제시대의 여러사진들을 참고하여 자잘한 것들을 새로 복원한 것으로 보인다.

4. 기타

일본에서는 야키니쿠집 이름으로 많이 사용되기도 한다.

5. 관련 문서

파일:external/contents.nahf.or.kr/map.jpg
도성도

[1] 1726년 주조된 평양종이 걸려있으며, 지금의 종각은 1827년 고쳐 지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