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0:01:44

청암리 토성


파일:고구려 군기.svg
고구려의 도성 및 궁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졸본도읍기
동명성왕 ~ 유리명왕
국내도읍기
유리명왕 ~ 장수왕
졸본성 [1] 국내성 환도성
하고성자토성 / 나합성 [2] 오녀산성
||<-3><tablebgcolor=#000><tablewidth=100%> 평양도읍기 ||
장수왕 ~ 평원왕 평원왕 ~ 보장왕
안학궁 / 청암리 토성 [3] 대성산성 장안성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000> 별궁 || 전설 ||
두곡 이궁 구제궁 수정성

||<tablewidth=100%> [1] 졸본성이 구체적으로 어떤 성곽인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음
[2] 졸본의 평지성으로 추정되는 토성
[3] 평양 천도 이전에 존재했던 평양의 평지성 ||
}}}}}}}}} ||

1. 개요2. 특징3. 같이 보기

1. 개요

淸巖里土城

북한의 국보 9호. 대동강 능라도에서 회절하는 지점의 북안에 소재하는 고구려 토성. 평양시 대성구역 청암동 소재.

2. 특징

안학궁 근처, 평양성 대성산성 사이에 있으며 대성구역에 위치하고 있다. 서북쪽으로는 모란봉과 접하고, 남쪽으로는 대동강을 끼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대동강의 지류인 합장강이 흐르고 있다.

고조선 시기에 처음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나 본격적으로 현재 남아있는 토성의 성벽들은 고구려 후기 5세기에 축성된 것이다. 성벽의 특징은 순서대로 , , 모래 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성벽은 초승달 모양으로 둘러져 있으며 길이는 대략 3450m이다.

586년 평양성 일대로 천도하기 이전까지는 정치적 중심지를 이룬 곳으로 추정된다. 토성 내부에서는 금강사로 추정되는 고구려의 사찰 유적지인 청암리 사지가 이 토성 안에 있으며 고구려의 금동관인 '불꽃 뚫음무늬 금동관'도 출토된 곳이기도 하다.

다만 발굴조사가 소상히 이루어진 것이 아니기도 하고 토성 내 청암리 사지의 존재로 인해 왕성이 아니라는 견해도 존재한다. 하지만 다량의 고구려 기와가 확인되는 점에서 청암리 토성이 평양도읍기의 도성의 중요 시설이었음은 분명하다고 볼 수 있다.

3. 같이 보기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777777,#555555> 평양시 평양성 (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고구려 고분군 (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고구려 고분군 (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법운암
룡화사 · 평양성 (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단군릉
개성시 개성역사유적지구 (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고구려 고분군 ( 강서삼묘 (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함경남도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고구려 고분군 (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성불사
공통 천리장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