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19:16:19

남월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세기 중반 베트남 남부에 존재하던 공화국에 대한 내용은 베트남 공화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a251d><colcolor=#ffd700> 고대 반랑 (문랑)
어우락 (구낙)
남비엣 (남월)
찌에우 왕조
한나라 - 한 구군 참파
남비엣 (남월)
쯩 자매
한나라 - 교주
자오찌 (교지)
사씨 정권
중국 남조 - 교주
반쑤언(만춘)
전 리 왕조
중국 남조 - 교주
중근세 안남
응오 왕조
십이 사군 시대
다이꼬비엣 (대구월)
딘 왕조 | 전 레 왕조
다이비엣 (대월)
리 왕조 | 쩐 왕조
다이응우 (대우)
호 왕조
명나라 - 교지 다이비엣 (대월)
후 쩐 왕조
다이비엣 (대월)
후 레 왕조
막 왕조 후 레 왕조
후 레 왕조{{{#!wiki style="margin:-5px -5px -12px" 다이남 (대남)
찐씨 정권
꽝남 (광남)
응우옌씨 정권
}}}
떠이선 왕조{{{#!wiki style="margin:-5px -5px -12px" 귀인 정권 부춘 정권 }}}
근대 다이남 (대남)
응우옌 왕조
안남
응우옌 왕조
프랑스 - 코친차이나
프랑스 - 인도차이나 연방
일본 제국 - 베트남 제국
현대 베트남 민주 공화국 프랑스 - 코친차이나 자치공화국
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
베트남국
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베트남 제3공화국|
베트남 제3공화국
]]
}}}}}}}}} ||

남월
南越
Nam Việt
파일:Nanyue.jpg
남월의 영토
기원전 204년 ~ 기원전 111년
성립 이전 멸망 이후
진나라 한나라
어우락
위치 중국 광둥성, 푸젠성, 광시 좡족 자치구, 베트남 북부
수도 번우
정치 체제 군주제
국성 조(趙)
국가 원수 황제[1]
주요 황제 [ 펼치기 · 접기 ]
언어 고대 베트남어, 좡어 외 여러 언어들
민족 중국인, 베트남인
인구 130만 명[2]
주요 사건 [ 펼치기 · 접기 ]

1. 개요2. 역사3. 역사적 평가
3.1. 베트남3.2. 중국3.3. 동아시아
4. 여담5. 역대 군주 목록

[clearfix]

1. 개요

중국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 베트남 북부에 있었던 나라.

초한쟁패기에서 활동했던 중국 군웅 무제 조타가 중국 광둥성 지역을 거점을 삼아서 건국한 나라이다. 그 뒤에 지금의 베트남 북부 지역에 있었던 구락국과 전쟁을 벌여서 구락국의 왕인 안양왕에게 승리하게 되고, 베트남 북부 지역을 통치하게 된다.

건국자 남월 무제의 성씨가 조씨(趙氏)이기 때문에 베트남에서는 조씨 왕조인 조조(趙朝)나 조가(趙家)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한때는 월남 북부에서 중국 광동- 광시를 아울렀고 중국 남부를 위협할 정도로 잘 나갔었지만, 전한 무제에 의해 멸망당했다.

2. 역사

진나라 시대에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하면서, 세력을 넓혀서 지금의 광둥과 광시 지방으로 진출하여 진나라의 영역에 들게 되었다. 이 때 이 곳에 파견된 인물인 진나라 장수 임효(任囂, '임오')와 부관인 조타(趙佗)였다. 베트남식 독음은 찌에우 다(Triệu Đà). 위타(尉佗)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러나 진시황이 죽고, 그 뒤를 이은 이세황제의 폭정으로 인해서 진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이들은 독립을 꾀하였다. 도중에 임효가 고령으로 사망하면서 그의 부관 조타에게 그 대업을 넘겼다. 조타는 남방 3군을 통합해서 국가를 세우니 이 국가가 바로 남월(남비엣)이다. (越)은 당시 중국 남쪽의 월족, 혹은 월나라에서 따온 것이다. 당시 중국 남부 해안 지방의 민족을 중국에서는 주로 월이라고 불렀다. 월나라 문서 참조. 베트남의 역사서에 의하면 조타는 현지인과 같이 상투를 틀고 있었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위만조선의 건국자 위만도 조선으로 넘어갈 때 조선인처럼 상투를 틀고 있었다고 전한다.

그러던 와중에 유방에 의해 전한이 건국되고, 기원전 196년, 유방은 조타(찌에우 다)를 제후로 인정하여 남월왕(南越王)으로 봉하였다. 한동안은 별 일 없이 지내다가, 고황후가 철기 교역을 금지하면서 한나라와 남월은 대립관계에 들어갔고, 조타는 스스로 무제(武帝)를 칭하였다. 이 때에 베트남 북부 지역의 국가인 어우락을 정복했다.

파일:external/www.globalsecurity.org/dai-viet-map-ly.gif
베트남 제국의 남부 확장 과정을 담은 지도. 남월(지도의 Nam Viet) 영토 중 현대에는 중국에 속하는 쪽은 표시가 안 돼 있다.

남월은 최전성기에는 현재 오령산맥 남부, 베트남 북부, 광둥성, 푸젠성 서부를 다스리는 나라였지만, 제2대 국왕인 문제 조말(조호) 시대 이후에는 스스로 직위를 황제에서 왕으로 낮추고, 외왕내제 형식으로 가서, 제국이라고 부르기는 약간 애매모호하게 되었다. 홍콩 마카오 지역도 이 때는 남월의 영역이었고, 이 때문에 이 시대에는 홍콩과 마카오를 비롯한 광동 지역 사람들은 본토의 한족과 합치지 않고서 이민족인 베트남인과 하나의 나라를 이뤘다고 하는 주장도 있지만 이 당시는 광동지역은 한족은 거의 없었고 베트남인의 선조들인 월족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때문에 조타는 국호를 이라 한 것. 비슷하게 위만도 왕이 된 후 국호를 조선 그대로 유지했다

한문제 시기에는 화평도 맺어졌지만, 한무제가 즉위한 뒤 침략 전쟁을 시작하자 남월 역시 침략 대상이 되었는데, 조타가 살아있을 적에는 한나라의 군대를 막아내어서 한동안은 화친관계가 지속되었으나, 제4대 국왕 애왕 조흥(趙興, Triệu Hưng, 찌에우흥)과 토착민 출신인 재상 여가(呂嘉, Lã Gia, 라지아)와의 대립이 불거져서 남월 내부에 쿠데타가 일어나서 제5대 국왕이자, 마지막 국왕인 조건덕(趙建德, Triệu Kiến Đức, 찌에우끼엔득)이 추대되자, 이에 한나라는 노박덕을 사령관으로 삼아서 공격했고, 기원전 111년에 남월을 멸망시켰다.

남월이 멸망했다는 소식을 들은 남월 서부 지역의 교지(交趾, Giao Chỉ, 쟈오찌)와 구진(九眞, Cửu Chân, 끄우 쩐) 지방의 세력가들이 한나라군에게 저항하지 않고, 그대로 한나라에 항복하였고, 한나라는 옛 남월 영토에 9개 군(한구군)을 설치하였다. 이 사건이 약 1천년에 이르는 중국의 베트남 지배의 시작이었다.

이 9군은 나중에 교주(交州, 베트남식으로는 Giao Châu)로 편성되는데, 교주의 중심지는 남월의 중심지였던 남해군(南海郡)이 아닌 쟈오 찌(Giao Chỉ, 交趾, 교지)군이 되었다. 남해군이 아닌 쟈오 찌군이 중심지가 된 이유는 당시 쟈오 찌군이 남방과 베트남 북부에서 생산되는 물자의 집산지였고 쟈오 찌군이 당시 중요 항구였던 지역의 합포군 합포현(合浦縣: 지금의 광시좡족자치구 베이하이시 허푸 현 북동부)과의 거리가 남해군과 합포현의 거리보다 가까워 합포현을 통제하기에 수월했기 때문이었다. 출처는 유인선의 『베트남과 그 이웃 중국』.

3. 역사적 평가

3.1. 베트남

베트남에서는 전통적으로 남월을 자신들의 역사라고 여겼다. 조타가 황제를 자칭하면서 베트남의 대중국 투쟁의 시발점이 되었고, 현지인에 대해 우호적인 정책을 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은 쩐 왕조 시절에 『대월사기』 편찬 당시 남월을 베트남의 기원으로 삼은 사실과 영남척괴열전 등의 전설집에서 현지인에 대해 우호적인 모습으로 그려지는 것에서 알 수 있다. 호찌민 또한 남월을 베트남 역사라고 여겼다. 예외적으로 18세기의 학자인 응오티씨(Ngô Thì Sĩ, 吳時仕, 오시사)가 조타를 중국인 군주로 취급하긴 했지만, 주류의견은 아니었다.

하지만 현재 베트남 주류 역사학계에서는 1970년대 이후로 남월을 자신들의 역사로 보지 않고 있다. 왜냐하면 남월이 한족과 토착민의 연합정권이었다 해도 군주는 중국계였던데다가, 현 베트남 북부에 있던 토착민족 국가인 어우락을 정복했기 때문. 물론 어우 락의 건국자 툭 판도 촉(蜀) 출신이라고는 하는데, 현 사학계는 이를 오류로 보고 있다. ( 출처: 유인선, 『베트남과 그 이웃 중국』, 『베트남의 역사 (고대에서 현대까지)』).

그런데 남월이 멸망한 후 세워진 교주(交州)의 정치적·경제적 중심지가 남 비엣의 수도 번우(番禺)가 있던 남해군(南海郡)이 아니라 현 하노이를 중심으로 하는 베트남 북부 교지군(交趾郡)이었고, 전통시대 베트남에서 남월을 자신의 기원이자 정체성으로 여겨 남월과 그 시조 조타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하다. 베트남과 중국 간의 역사적 관계를 알 수 있는 부분.

3.2. 중국

중국에서는 남월을 별개의 국가로 취급한 한나라 시절을 제외하고는, 역사적으로 계속해서 남월을 중국의 지방정권으로 보고 있다. 조타가 중국 출신이고, 남월이 지배했던 광둥성과 광시성이 한무제의 침략 이래로 계속 중국의 영토였으니 남월을 중국사의 일부로 보는 것. 이미 진시황 때 중국이 정복한 지역이긴 했지만 그 시기도 짧았고 얼마 안되어 조타가 독립정권을 세웠으니 실질적 편입 시기는 한무제 이후다.

하지만 조타의 고향이 있는 당시 조나라 상산(常山) 지방이 본래 까마득한 북쪽 변방으로서 옆동네인 흉노 동호와 교류가 잦은 곳이었던지라 조타가 혈통적으로 정말로 순수한 한족이었는지도 불분명하다는 문제가 있다.[3] 또 조타가 남월을 다스리면서 현지인들에게 우호적인 제스쳐를 보이면서 그들의 습속을 따랐다. 한고조가 조타를 책봉하려고 사신을 보냈을 때, 조타는 현지의 방식의 상투를 튼 차림새로 두 다릴 뻗고 앉아서 한나라의 사신을 맞이하는 등 현지 풍속에 동화해있었다. 게다가, 명왕 재위기 왕후였던 규씨(樛氏)의 전횡을 억제하며 대립각을 세웠던 승상 여가(呂嘉, Lữ Gia, 르쟈)가 토착민 출신이었다. 또한 남월이 이후 베트남의 대중국 저항의 기원이 됐기 때문에 중국의 역사로는 볼 수 없다. 게다가 반랑과 어우락이 역사적 실체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문제가 따른다.

3.3. 동아시아

남월에 9개의 군현을 설치하는 것은 한무제의 침략 전쟁 및 식민지배 정책에 해당된다. 한국의 역사적 기준에서는 한사군의 설치는 비교적 한반도만의 사건으로 보는 편이지만 거시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무제의 침략 전쟁, 식민지배와 그 이후의 추이, 역사적 반향 등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많다.

애초에 한나라 위만조선으로의 공세를 펼침에 어느정도 부침이 있었던 것은 위만조선의 역량도 있었겠지만 한나라는 당시에 남월에도 신경을 써야 하는 상황이었다. 남월이 멸망한 이후 위만조선과의 전쟁에 모든 공략을 쏟아부을 수 있게 되면서 위만조선도 결국 멸망하게 되었고 남월과 마찬가지로 군현이 설치되게 된다.

각 군현의 설치로 한나라 문화와의 직접적인 교류가 시작되었다. 베트남 또한 군현의 설치 이후 재지계 유물이 유지되면서도 일부 위세품, 신분을 상징하는 한나라식 유물이 부장되기 시작하며 한반도에서도 마찬가지로 삼한에 재지계 유물과 함께 한식 유물들이 다량으로 나타나기 시작한다.

4. 여담

베트남의 한자어인 월남은 남월을 베트남어 어순대로 뒤집은 것이다. 베트남어에서는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온다. 정완 분쟁과 서산조의 이후 베트남을 통일한 가륭이 국호를 남월로 정할 예정이었지만, 청나라의 반대로 국호는 월남이 된다.

5. 역대 군주 목록

대수 시호 재위 기간 비고
1 무왕(武王)
무제(武帝)
조타(趙佗) 기원전 204년경 ~ 기원전 137년
2 문왕(文王)
문제(文帝)
조말(趙眜)
조호(趙胡)
기원전 137년 ~ 기원전 125년경
3 명왕(明王) 조영제(趙嬰齊) 기원전 125년 ~ 기원전 113년경
4 애왕(哀王) 조흥(趙興) 기원전 113년경 ~ 기원전 112년
5 -
,<술양후(術陽侯)>,
조건덕(趙建德) 기원전 112년

[1] 사실상의 외왕내제 체제. 중국에 조공할 때에는 스스로 몸을 굽히고 들어갔다. [2] 기원전 111년 기준 [3] 그러나 중국은 예나 지금이나 다민족 국가이기 때문에 조타 개인의 혈통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애초에 한족이란 개념 자체가 한나라 시기를 거치며 형성된 것이므로 진한 교체기에서 '순수한 한족'을 찾는 것은 무의미하다. 현대에도 한족은 지역에 따라 유전자에 차이가 있으나 민족은 문화적 개념이지 유전적 개념이 아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8 ( 이전 역사)
문서의 r302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