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관문화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1974 조택원 무용가 |
1975 안수길 소설가 |
1976 홍종인 언론인 |
1977 최석채 언론인 |
1978 방정환 독립운동가, 아동문학가 |
1979 고유섭 미술사학자 |
1980 전봉초 음악가 |
1981 김소월 시인 |
1982 이효석 소설가 |
1982 조지훈 시인 |
|
1983 홍승연 언론인 |
1983 천관우 언론인 |
1983 이육사 독립운동가, 시인 |
1984 이원수 아동문학가 |
1984 장발 미술가 |
|
1985 강소천 아동문학가 |
1986 홍진기 언론인 |
1987 김남중 언론인 |
1990 모윤숙 시인 |
1990 주시경 독립운동가, 국어학자 |
|
1994 김상만 언론인 |
1994 나운영 음악가 |
1994 이숭녕 국어학자 |
1995 공병우 한글연구가 |
1995 김소희 국악인 |
|
1995 문신 미술가 |
1995 정명훈 음악가 |
1995 이대원 미술가 |
1995 류경채 미술가 |
1996 송석하 민속학자 |
|
1996 신용호 기업인 |
1996 조병화 시인 |
1997 신순남 미술가 |
1997 홍두표 언론인 |
1997 최창봉 언론인 |
|
1997 정진숙 출판인 |
1997 고병익 역사학자 |
1998 방우영 언론인 |
1998 김연준 작곡가 |
1999 방일영 언론인 |
|
1999 방종현 국어학자 |
1999 김세형 음악가 |
1999 이유태 미술가 |
1999 김흥수 미술가 |
1999 장준하 독립운동가, 언론인 |
|
1999 송건호 언론인 |
2000 황순원 소설가 |
2000 백남준 미술가 |
2000 서정주 시인 |
2001 김기창 미술가 |
|
2001 김천흥 국악인 |
2001 장우성 미술가 |
2001 김수영 시인 |
2001 최영희 역사학자 |
2002 임권택 영화감독 |
|
2002 오지호 미술가 |
2003 박동진 국악인 |
2003 윤석중 아동문학가 |
2004 구상 시인 |
2004 이혜구 음악사학자 |
|
2005 박성용 기업인 |
2005 정세영 기업인 |
2006 신상옥 영화감독 |
2006 김동원 연극인 |
2006 차범석 극작가 |
|
2006 조남철 바둑기사 |
2007 송도균 언론인 |
2007 노성대 언론인 |
2007 송범 무용가 |
2008 박경리 소설가 |
|
2008 이청준 소설가 |
2008 김영랑 시인 |
2009 유현목 영화감독 |
2010 전숙희 수필가 |
2010 앙드레 김 패션 디자이너 |
|
2010 김영환 군인, 6.25전쟁기 해인사 폭격명령 거부 |
2011 박완서 소설가 |
2012 지관 해인사 주지 |
2012 이건희 기업인 |
2012 허동수 기업인 |
|
2012 김형규 국어학자 |
2013 이우환 미술가 |
2014 호머 헐버트 선교사, 한글 체계화 공헌 및 한글 보급·한글 홍보 공로 |
2014 전형필 문화재수집가 |
2014 이은관 국악인 |
|
2016 백성희 연극인 |
2016 임영웅 연극인 |
2017 박맹호 출판인 |
2018 최인훈 소설가 |
2018 이영희 한복 디자이너 |
|
2018 정지용 시인 |
2018 황병기 국악인 |
2020 서세옥 미술가 |
2019 김성환 시사만화가, 대표작《 고바우 영감》 |
2020 손창근 미술품소장가 |
|
2021 윤여정 영화배우 |
2021 이어령 문화부장관, 작가, 정치인 겸 문학평론가 |
2021 박서보 화가 |
2022 송기숙 작가 |
2022 송해 희극인 |
|
2022 김우창 문학평론가 |
2022 김지하 시인 |
2022 이정재 배우 |
2022 황동혁 감독 |
2023 이미자 대중음악인 |
|
2023 조수미 성악가 |
2023 이미경 기업인 |
2024 이문열 소설가 |
김소희 金素姬 |
|
아호 | 만정(晚汀) |
출생 | 1917년 12월 1일 |
전라북도 고창군 (現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
|
사망 | 1995년 4월 17일 (향년 77세)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춘향가 보유자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국악인, 인간문화재.
2. 상세
전라북도 고창군 출신으로, 아명은 옥희, 호적상 본명은 김순옥이었지만 본격적으로 소리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이모가 '소희'라는 이름을 다시 지어주었다고 한다. 1920년대에 조선권번 소속의 동기로서 노래, 춤, 기악을 두루 배웠고,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여러 스승들에게 배웠는데 특히 조선성악연구회에서 송만갑과 정정렬의 소리를 많이 배웠고, 그 외에 박동실에게서도 많이 배웠다. 해방 후에도 박록주, 김여란 등 선배 소리꾼들에게 조금씩 소리를 배워 자신만의 소릿제를 짰는데, 속칭 '만정제'가 그것이다. 현재까지도 그녀의 수 많은 뛰어난 제자들과 후학들을 통해 활발하게 전승되어 불려지고 있다.1964년 무형문화재법이 제정되면서 김연수(춘향가), 정광수(수궁가), 김여란(춘향가), 박록주(흥보가), 박초월(수궁가)과 함께 초대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예능보유자로 지정됐다. 세부 종목은 춘향가[1]. 가성을 쓰지 않고 상청, 중청, 하청을 자유자재로 쓰는 것이 소리의 특징이다. (사)한국국악협회 이사장, (사)한국판소리보존회 이사장, 국립창극단 초대 부단장을 역임했다.
근, 현대 명창들을 통틀어 개인이 지닌 음악성, 대중적 인지도, 판소리사에 끼친 영향력 등을 고려하였을 때 국창(國唱)[2]으로 칭해지는 몇 안되는 인물 중 한 명이다. 김소희와 비교할 수 있는 동시대 인물은 임방울, 박록주, 박초월 정도밖에 없다.
신영희, 안향련, 이명희, 김동애, 안숙선, 오정해가 가장 대표격인 무릎 제자이며, 이 중 안향련[3]과 김동애[4]는 스승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다. 이명희는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8호 만정제 흥보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어 활발하게 전승하였으나 2019년 지병으로 별세했다. 마지막 제자라고 여겨지는 오정해는 현재 동아방송예술대학교 교수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현재는 맏제자 신영희[5]와 수제자 안숙선[6]이 국가무형유산 판소리 춘향가 보유자로 지정되어 만정제 소리를 이어가고 있다.
1995년 4월 별세하면서 정부는 금관문화훈장을 추서하였는데, 전통예술인에게 금관문화훈장을 추서한 것은 김소희가 최초다.
제1회 방일영 국악상 수상 후 제자들과 함께한 공연
[1]
지정 당시는 송만갑제로 등록 후에 만정제로 변경
[2]
판소리 명창 중에서도 한 시대를 대표하는 가장 빼어난 명창을 일컫는 말.
[3]
1944년 전남 광산군 송정리에서 출생. 명창 정응민, 정권진, 장영찬에게서 판소리를 배웠으며 '남원명창대회'에서 조상현, 성창순에 이어 3회 대회에서 장원을 한 소리꾼이다. 유부남인 한 동양화가와 못다 이룬 사랑을 비관한 것으로 인해서 1981년 12월 20일에 수면제 과다 복용으로 37살의 짧은 삶을 마감한다. 이로 인해서 판소리계의 윤심덕 이라고 불리고 있다. 또한 혼불의 작가인 최명희가 1992년에 집필한 소설인 '제망매가'(祭亡妹歌)의 실제 모티프이기도 하다.
[4]
1948년 전북 부안 출신이며 1984년 2월 29일에 지병으로 향년 3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5]
2013년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춘향가’ 예능보유자 지정.
[6]
2022년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춘향가’ 보유자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