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린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도시를 관할하는 성에 대한 내용은
지린성 문서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e1c25> | }}} |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8, 자치주 1 |
현급행정구 시할구 21, 현급시 20, 현 16, 자치현 3 |
|
창춘시 성도 长春市
|
|||
지린시 吉林市 |
|||
쓰핑시 四平市 |
|||
랴오위안시 辽源市 |
룽산구 龙山区 시안구 西安区 둥펑현 东丰县 둥랴오현 东辽县 |
||
퉁화시 通化市 |
|||
바이산시 白山市 |
|||
쑹위안시 松原市 |
|||
바이청시 白城市 |
타오베이구 洮北区 타오난시 洮南市 다안시 大安市 전라이현 镇赉县 퉁위현 通榆县 |
||
연변 조선족 자치주 延边朝鲜族自治州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color: rgba(0, 128, 255, .2)"
|
|||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 |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지급시 | |||||
[ruby(吉林, ruby=Jílín)][ruby(市, ruby=shì)] | ᡤᡳᡵᡳᠨ ᡠᠯᠠ 지린시 | Jilin City |
|||||
시정부 소재지 |
지린성 촨잉구 쑹장중루65호 吉林省吉林市船营区松江中路65号 |
||||
지역 | 둥베이 | ||||
면적 | 27,166.37km² | ||||
하위 행정구역 | 4구 4현급시 1현 | ||||
시간대 | UTC+8 | ||||
인문 환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인구 | 3,623,713명 (2020) | |||
민족 구성 |
한족 90.79% |
만주족 4.96% 조선족 3.12% | 몽골족 0.74% 몽골족 0.25% | 기타 0.15 (2020) |
||||
인구밀도 | 133명/km² | ||||
HDI | 0.788 (2016) | ||||
서기 | 허즈량(贺志亮) | ||||
시장 | 왕지(王吉) | ||||
GRDP | 전체 | $225억 1,681만 (2020) | |||
1인당 | $5,517 (2020) | ||||
상징 | 시화 | 해당화 | |||
시목 | 버드나무 | ||||
차량번호 | 吉B | ||||
행정구역 약칭 | 吉[1] | ||||
행정구역코드 | 220200 | ||||
지역전화번호 | 0432 | ||||
우편번호 | 132000 | ||||
ISO 3166-2 | CN-JL-02 | }}}}}}}}} | |||
홈페이지 |
지린역 일대
[clearfix]
1. 개요
중국 지린성 중부에 있는 지급시다. 만주어로 '강기슭(마을)'이란 의미인 '기린울라'(ᡤᡳᡵᡳᠨ ᡠᠯᠠ, 묄렌도르프 로마자 표기: Girin ula, 현대 발음: 지린 울라) [한역]에서 지명이 유래되었고, 지린성 어원이 되었다. 다만 1954년에 지린성 성회가 지린시에서 서쪽으로 80km 떨어진 최대도시인 창춘으로 이전되어 성 이름 기원지와 성정부 소재지가 달라졌다.[3] 그래도 지린시 전체 (지급시 관할, '도시권') 인구는 360만, 도시 인구만도 200만이 넘는 지린성 제2 도시이다.비옥한 토지를 이용한 농업과 동쪽 쑹화강 상류를 막은 펑만( 간화자: 丰满, 정체자: 豐滿, 한어병음: Fēngmǎn)댐에 세운 펑만 수력 발전소에서 전력을 공급을 이용한 화학 공업 도시로 발전하였다. 만주 중남부에 입지한 덕에 만주족 23만명, 조선족 11만 등이 거주하는 다민족 도시이다.
쑹화강 양안에 위치한 시가지는 양면 모두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방어에 적합하고, 순환도로로 둘러져 있다. 쑹위안과 함께 지린은 쑹화강의 대표적인 하항이며, 목재와 곡물의 집결지이다. 도심 서북쪽 외곽에 지린 에르타이지 공항이 있었으나 불과 70km 거리의 창춘 룽자 국제공항이 성장하며 여객이 중단되었고, 현재는 군공항으로 쓰이고 있다. 지린역은 창춘- 옌지 철도와 하얼빈-수란 철도가 교차한다. 시내에는 지린 만주 박물관, 지린 박물관이 있으며 펑만댐으로 인해 생긴 쑹화호(松花湖) 역시 관광지이다. 인근 강변, 구릉지대에 선사시대부터 고구려 / 요나라 / 금나라 시기 고분이 많다.
2. 역사
고대 북부여의 중심지로, 예성(濊城)과 부여성이 위치했다. 이후 고구려와 발해를 거쳐 요나라, 발해부흥국들, 금나라가 지배했다. 명나라 영락제가 당시 일대를 지배하던 여진 안부를 복속시켰으나 일시적인 것에 그쳤다. 17세기 초엽 후금이 일대를 정복했고, 청나라 대인 1671년에 길림성(吉林城)이 세워졌다. 1727년에 영길주(永吉州)가 설치되어 길림성에 중심지를 두었고, 1747년에 영길주를 고쳐 길림청(吉林廳)이 되었다. 1881년에 길림청이 길림직예청으로 승격되었다가 이듬해인 1882년에 다시 길림부(吉林府)로 승격해 거점이 되었다.다만 20세기 들어 창춘이 성장하며 점차 위세가 창춘에 밀리게 되었고, 신해혁명 직후인 1913년에 모든 부(府), 주(州), 청(廳) 단위를 없애며 길림부가 길림현(吉林縣)으로 격하되었다. 그럼에도 성회 지위를 유지했다. 1929년에 길림현에서 영길현(永吉縣)으로 이름이 바뀌고 동시에 길림시정주비처(吉林市政籌備處)가 설치되었다.
만주사변이 일어난지 3일 뒤인 1931년 9월 21일에 관동군에게 지린성이 점령당했고, 이듬해인 1932년 3월 1일에 괴뢰국가 만주국이 세워지자 만주국 지린성공서(吉林省公署)가 되었다.
지린은 홍수가 잦았기에 1937년 만주국 시기에 펑만댐 건설이 시작되었다.
1945년 일제가 패망한 뒤 그해 10월 중국공산당 지린시위원회의 조직 하에 지린시정부가 수립되었다. 1948년 해방 후에도 지린성의 성도 지위를 유지했고, 1953년에 펑만댐이 완공되었다. 다만 1954년 성도는 창춘으로 옮겨졌다. 문화대혁명 시기인 1968년 ~ 1980년에는 지린시 혁명 위원회가 자치적으로 통치하기도 했다. 2005년에 석유 화학 발전소 폭발로 6명이 사망하고 수십명이 부상하는 사고가 있었다. 2010년에는 홍수가 발생하여 백명이 넘는 사망자가 나왔고 독성 화학 물질이 담긴 통 수천개가 방류되어 군병력이 동원되는 등 혼란을 겪었다. 이후 펑만댐을 증축하여 2019년 완공, 이후로는 수해 피해가 거의 사라졌다.
3. 교통
관내에 지린역이 존재하는데, 해당 역은 창투철도(长图铁路), 지슈철도(吉舒铁路), 선지철도(沈吉铁路), 창훈 도시간철도(长珲城际铁路)가 교차하는 역이다. 지린역은 창춘같은 바로 옆 도시는 물론이고 베이징, 충칭, 닝보, 칭다오 등 지린에서 상당히 거리가 먼 도시까지도 열차가 운행된다. 그러나 창춘 룽자 국제공항이 지린시에서 꽤 가깝기 때문인지 공항은 없으며 건설계획도 존재하지 않는다.4. 하위 행정구역
지린시의 행정구역 | |||||
행정 구역 | ( 중국어 간체) | ( 중국어 정체) | 면적(km²) | 인구(`20) | 민족 구성(`20) |
창이구 |
昌邑 Chāngyì |
昌邑 ㄔㄤ ㄧˋ |
857.20 | 637,544 |
한족 89.06% 만주족 6.51% |
룽탄구 |
龙潭 Lóngtán |
龍潭 ㄌㄨㄥˊ ㄊㄢˊ |
1,171.49 | 371,607 |
한족 85.72% 만주족 9.76% |
촨잉구 |
船营 Chuányíng |
船營 ㄔㄨㄢˊ ㄧㄥˊ |
685.91 | 464,893 |
한족 89.33% 만주족 5.76% |
펑만구 |
丰满 Fēngmǎn |
豐滿 ㄈㄥ ㄇㄢˇ |
1,059.75 | 421,821 |
한족 90.79% 만주족 5.95% |
자오허시 |
蛟河 Jiāohé |
蛟河 ㄐㄧㄠ ㄏㄜˊ |
6,369.88 | 328,925 |
한족 90.79% 만주족 4.96% |
화뎬시 |
桦甸 Huàdiàn |
樺甸 ㄏㄨㄚˋ ㄉㄧㄢˋ |
6,520.77 | 341,308 |
한족 96.99% 조선족 1.56% |
수란시 |
舒兰 Shūlán |
舒蘭 ㄕㄨ ㄌㄢˊ |
4,559.56 | 406,744 |
한족 93.76% 조선족 3.10% |
판스시 |
磐石 Pánshí |
磐石 ㄆㄢˊ ㄕˊ |
3,861.20 | 370,238 |
한족 92.52% 조선족 4.22% |
융지현 |
永吉 Yǒngjí |
永吉 ㄩㄥˇ ㄐㄧˊ |
2,625.67 | 280,633 |
한족 88.35% 만주족 6.26% |
5. 관련 문서
[1]
지린성과 약칭이 같다. 애초에 둘은 어원이 같으므로 당연한 결과.
[한역]
간화자: 吉林乌拉,
정체자: 吉林烏拉,
한어병음: Jílín Wūlā ← Gílím Wūlāh
#,
국립국어원 중국어 표기: 지린 우라
[3]
조선시대
한국에서
팔도체제에서
충청도
감영이 1602년부터
공주에 있고,
경상도
감영이 1593년부터 1596년까지
칠곡(당시 팔거현)에, 1596년부터 1599년까지, 1601년부터
대구, 1599년부터 1601년까지
안동에 있고,
13도체제에서
강원도 감찰부(
도청이)가
춘천에 있어 도 이름이 유래한 당대 1·2위 고을에 없었음과 같다. 연장선으로 현대 한국에서 ○○군 ○○읍인데 군청소재지가 아닌 곳이 몇 군데-
군청 참조. 심지어 함안은 함안읍도 아니고 함안면이다.-가 있음과도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