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670000> 태조 후 | 혜종 후 | [ruby(정종, ruby=定宗)] 후 | 광종 후 |
1
신혜왕후2
장화왕후3
신명왕후4
신정왕후5
신성왕후6
정덕왕후
|
1
의화왕후
|
1
문공왕후2
문성왕후
|
1
대목왕후
|
|
<rowcolor=#670000> 경종 후 | 성종 후 | 목종 후 | 현종 후 | |
1
헌숙왕후2
헌의왕후3
헌애왕후4
헌정왕후
|
1
문덕왕후2
문화왕후
|
1
선정왕후
|
1
원정왕후2
원화왕후3
원성왕후4
원혜왕후5
원용왕후6
원목왕후7
원평왕후 |
|
<rowcolor=#670000> 덕종 후 | [ruby(정종, ruby=靖宗)] 후 | 문종 후 | 순종 후 | |
1
경성왕후2
경목현비3
효사왕후
|
1
용신왕후2
용의왕후3
용목왕후
|
1
인평왕후2
인예왕후
|
1
정의왕후2
선희왕후 |
|
<rowcolor=#670000> 선종 후 | 숙종 후 | 예종 후 | 인종 후 | |
1
정신현비2
사숙왕후
|
1
명의왕후
|
1
경화왕후2
순덕왕후3
문정왕후
|
폐
연덕궁주폐
복창원주1
공예왕후2
선평왕후 |
|
<rowcolor=#670000> 의종 후 | 명종 후 | 신종 후 | 희종 후 | |
1
장경왕후2
장선왕후
|
1
의정왕후
|
1
선정왕후
|
폐
태자비 왕씨1
성평왕후
|
|
<rowcolor=#670000> 강종 후 | 고종 후 | 원종 후 | 충렬왕 비 | |
1
사평왕후2
원덕왕후
|
1
안혜왕후
|
1
정순왕후폐
경창궁주
|
1
제국대장공주
|
|
<rowcolor=#670000> 충선왕 비 | 충숙왕 비 | 충혜왕 비 | 공민왕 비 | |
1
계국대장공주
|
1
복국장공주2
조국장공주3
경화공주4
공원왕후
|
1
덕녕공주2
희비 윤씨
|
1
노국대장공주6
순정왕후
|
|
<rowcolor=#670000> 우왕 비 | 공양왕 비 | |||
폐
근비 이씨
|
1
순비 노씨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670000> 태조 태후 | 혜종 태후 | [ruby(정종, ruby=定宗)] ~ 광종 태후 | 경종 태후 |
정화왕후 | 장화왕후 | 신명순성왕태후 | 대목왕후 | |
원창왕후 | ||||
위숙왕후 | ||||
<rowcolor=#670000> 성종 태후 | 목종 태후 | 현종 태후 | 덕종 ~ [ruby(정종, ruby=靖宗)] 태후 | |
태황태후 신정대왕태후 |
헌애왕태후 (천추태후) |
신성왕태후 | 원성왕태후 | |
효숙왕태후 | ||||
선의왕태후 | ||||
왕대비 문화대비 |
||||
왕대비 순안왕대비 |
||||
<rowcolor=#670000> 문종 태후 | 순종 ~ 선종, 숙종 태후 | 헌종 태후 | 예종 태후 | |
원혜태후 | 인예태후 | 사숙태후 | 명의태후 | |
<rowcolor=#670000> 인종 태후 | 의종 태후 | 명종 ~ 신종 태후 | 희종 태후 | |
문경태후 | 공예태후 | 공예태후 | 선정태후 | |
왕대비 선평왕후 |
||||
<rowcolor=#670000> 강종 태후 | 고종 태후 | 원종 태후 | 충렬왕 태후 | |
광정태후 |
태황태후 원덕태후 |
안혜태후 | 순경태후 | |
상황후 성평왕후 |
||||
<rowcolor=#670000> 충선왕 태후 | 충숙왕 태후 | 충혜왕 태후 | 충목왕 ~ 충정왕 태후 | |
인명태후 | 계국대장공주 | 명덕태후 | 덕녕공주 | |
<rowcolor=#670000> 공민왕 태후 | 우왕 태후 | 창왕 태후 | 공양왕 태후 | |
명덕태후 | 인덕태후 |
왕대비 왕대비 이씨 |
왕대비 왕대비 안씨 |
|
순정왕후 |
국대비 삼한국대비 |
|||
}}}}}}}}}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우왕의 왕비
근비 이씨 | 謹妃 李氏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직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려 창왕조 왕대비
왕대비 이씨 | 王大妃 李氏 |
}}}}}}}}} | |
출생 | 12월 12일 | ||
고려
동계
고성현 (現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
|||
사망 | 1389년 이후 (향년 미상) | ||
고려
개경 사저 추정 (現 경기도 개성시) |
|||
능묘 | 미상 | ||
재위기간 | 고려 왕비 | ||
1379년 4월 ~ 1388년 7월 20일 | |||
고려 왕대비 | |||
1388년 7월 20일 ~ 1389년 12월 9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본관 | 고성 이씨[1] | |
부모 |
부친 철성부원군
이림 (鐵城府院君 李琳, ? ~ 1391) 모친 변한국대부인 남양 홍씨 (卞韓國大夫人 南陽 洪氏, ? ~ ?) |
||
배우자 | 우왕 | ||
자녀 |
|
||
궁호 | 후덕부(厚德府) | ||
봉작 | 근비(謹妃) → 왕대비(王大妃) | }}}}}}}}} |
[clearfix]
1. 개요
고려 제32대 군주였던 우왕의 제1비. 본관은 고성.2. 생애
이림과 남양 홍씨 홍승연(洪承演)의 딸 사이의 2남 3녀 중 셋째 딸로 태어났다. 그녀가 우왕의 왕비가 된 것은 이인임의 입김이 들어간 결과였는데, 당시 고려의 세도가였던 이인임은 자신의 고종사촌 이림의 딸이 되는 근비를 우왕의 왕비로 입궁시켜 자신의 지위를 더욱 단단히 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인임의 의도대로 궁궐에 입궐한 그녀는 우왕의 아들인 왕창을 1380년 출산했고 이인임의 세도는 더 강화되었는데 이인임이 몰락한 후 그녀의 입지에 대해서는 역사서에 기록되어 있지 않아 알 수가 없다. 1388년 위화도 회군이 일어나 남편 우왕이 이성계 일파에게 폐위된 후 창왕이 옹립되었으며 그 모후인 근비는 왕대비에 책봉되었다. 그러나 불과 1년 뒤 창왕마저 폐위되면서 근비의 아버지 이림은 충주(忠州)로 귀양을 갔다가 그 곳에서 병사했고 우왕과 창왕은 모두 처형되었다.그 후 그녀의 삶에 대해서는 정사에 적혀진 것이 없으나 조선 전기의 문신 이륙(李陸)이 쓴 야사 <청파극담>에 의하면 근비는 우왕과 창왕이 사사된 뒤에도 개경에서 살았다고 한다. 집에는 살 한 폭이 부러진 병풍이 하나 있었는데 시비가 그걸 고치려 하면 "선왕(우왕)이 친히 부러뜨린 것이니 고쳐서는 안 된다"고 반대해서 부러진 병풍을 그대로 내버려두었다. 우왕의 기일이 되면 제사를 지냈고 영비 최씨와 함께 정절을 기려 수신전을 받았다고 한다.
참고로 의경세자와 조선 예종의 외외증외고외고조이모할머니[2]이다. 즉 창왕과 의경세자, 예종의 미토콘드리아는 동일하다.
이림 → 딸근비 이씨 → 아들창왕
이림 → 딸이씨 → 딸최씨 → 딸흥녕부대부인 이씨 → 딸정희왕후 윤씨 → 아들의경세자, 예종
3. 대중매체에서
- 2014년 KBS 드라마 < 정도전>에서는 배우 서이안[3]이 연기했다. 대체로 이인임의 인척이었기 때문에 이인임의 의도를 충실하게 반영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인임에게 "우왕이 정비 안씨의 처소를 너무 자주 들락거리는거 같다"고 말하는데 이미 무슨 일이 있는지 직감한 모양이다. 심지어 이인임과 함께 정비의 처소를 찾았을 때도 우왕이 뒤늦게 찾아와 술판을 벌이려고 해 결국 눈물 크리. 견디다 못한 정비가 "비구니가 되겠다"며 떠나려 하자 아직 정신 못차린 우왕은 "대체 어머니가 왜 떠나려 하신답니까"라고 이인임에게 묻는데 바로 옆에서 듣고 있던 그녀는 설움을 참지 못하고 빠져나온다. 위화도 회군 이후 아들인 창왕을 살리기 위해 우왕이 폐위되자 창왕을 돌보며 이성계의 동정을 얻는 방식을 포함해 이런저런 일들을 꾸미며 영광을 되찾으려 한다. 하지만 이성계에 의해 고려 왕조가 절단날 것을 두려워한 정몽주가 폐가입진의 논리를 내세워 창왕을 버리자 결국 아들 창왕과 함께 폐위된다.
- 2021년 KBS 드라마 < 태종 이방원>에서는 배우 배유리가 연기했다. 2회에서 갓 즉위한 창왕을 걱정스럽게 보는 장면으로 첫 등장했으며 3회에서 우왕의 이성계 암살 실패 후 창왕에게 화가 미칠 것을 염려하는 모습으로 등장한 것이 전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