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9631>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FF9631><colcolor=#fff> 동인동 |
[[대구광역시청/동인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10%, #FF9631 10%, #FF9631); font-size: 1em;" ]]
동인동1가 | [[중구청(대구)|구청 ]]
동인동2가 |
동인동3가 |
동인동4가
|
||
삼덕동 | 삼덕동1가 | 삼덕동2가 | 삼덕동3가 | ||
성내1동 | 공평동 | 교동 | 남일동 일부 | 덕산동 일부 | 동성로1가 | 동성로2가 | 동성로3가 일부 | 동문동 | 문화동 | 봉산동 | 북성로1가 | 사일동 | 상덕동 | 완전동 | 용덕동 | 태평로1가 | 포정동 일부 | 화전동 일부 | ||
성내2동 | 계산동1가 | 계산동2가 | 남성로 | 남일동 일부 | 대안동 | 덕산동 일부 | 동산동 일부 | 동성로3가 일부 | 동일동 | 북내동 | 북성로1가 | 북성로2가 | 상서동 | 서내동 | 서문로1가 | 서성로1가 일부 | 서성로2가 | 수동 | 수창동 일부 | 장관동 | 전동 | 종로1가 | 종로2가 | 태평로2가 | 태평로3가 | 포정동 일부 | 하서동 | 향촌동 | 화전동 일부 | ||
성내3동 | 달성동 | 도원동 | 동산동 일부 | 서문로2가 | 서성로1가 일부 | 서야동 | 수창동 일부 | 시장북로 일부 | 인교동 | 태평로3가 일부 | ||
대신동 | 대신동 | 시장북로 일부 | ||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
남산동 | ||
대봉1동 대봉2동 |
대봉동 |
중구의
법정동 교동 校洞 | Gyo-dong |
|
<colbgcolor=#FF9631><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구광역시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행정표준코드 | 2711012500 |
관할 행정동 | 성내1동 |
1. 개요
대구광역시 중구의 법정동. 관할 행정동은 성내1동이다.향교가 있던 자리라 하여 이렇게 불려졌다. 향교골 또는 향교동이라 하였다. 대구부 동상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용덕리 일대를 병합하여 동본정(東本町)이라고 하다가 1947년 4월 1일부터 향교골의 이름을 따서 이렇게 불려 졌다.
이후 1백 90여년간 이곳에 있던 향교가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것을 1599년 관찰사 한준겸과 부사 김구정, 홍사 임상의가 현 달성공원(達成公園) 자리에 새로 건립했는데 당시만 해도 그곳은 외곽지대였으므로 뱀과 빈대등이 들끓어 성현을 모시기에는 불결하다 하여 1605년 관찰사 류영순이 교동자리로 옮겼다. 그후 1933년 일제에 의해 현재의 향교 자리[1]로 이건했다.
대구부 동상면 지역으로 1911년 행정구역 폐합으로 용덕리 일부를 병합하여 동본정(東本町)이라 했다가 1947년에 일본식 동명 변경에 따라 교동(校洞)이라 했다.
흔히 말하는 동성로상권의 북부에 해당하는 위치다. 201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국채보상로 이남에 비해 유동인구도 적고 상권 규모도 훨씬 작은 규모일 뿐 아니라, 구제의류, 보석, 전파사 등 상대적으로 젊은 층보다는 중장년층이 주로 활동하는 장소였다. 하지만 2020년대 들어서 코로나19와 대백 폐점의 영향으로 동성로의 메인이라 할 수 있는 국채보상로 남부 상권이 시들해지면서 사상 최대의 위기를 맞이한 반면, 교동 인근은 기존의 상점이 있던 자리에 젊은 사람들이 자리잡으며 ‘대구의 을지로’등의 네이밍을 통해 일종의 ‘핫플’로 떠오르고 있다. 주로 시청네거리 서쪽의 경상감영길을 중심으로 카페와 빈티지의류샵, 일본식 야키토리, 이자카야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2. 역사
- 경상북도 대구군 동상면 용덕리 일부 (1896)
- 경상북도 대구부 동상면 용덕리 일부 (1910)
- 경상북도 대구부 대구면 동본정 (1911)
- 경상북도 대구부 동본정 (1914)
- 경상북도 대구부 교동 (1947)
- 경상북도 대구시 교동 (1949)
- 경상북도 대구시 중부출장소 교동 (1953)
- 경상북도 대구시 중구 교동 (1963)
- 대구직할시 중구 교동 (1981)
- 대구광역시 중구 교동 (1995)
3. 주요 장소
4. 대중교통
- 교동에는 대중교통이 다니지 않는다. 버스 이용 시 급행2번, 급행6번, 101(-1)번, 204번, 304번, 401번, 410(-1)번, 503번, 524번, 618번, 623번, 650번, 651번, 706번, 708번, 730번, 808번, 980번, 가창2번[2], 동구2번 버스를 타고 대구시동인청사/교동시장/대구역남부역사/경상감영공원 정류장에 내려서 걸어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