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19:41:16

공군항공지원작전단

공군전술항공통제단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공군
직할 독립부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공군본부 직할
파일:공군대학_마크.png 파일:항공우주의료원 부대마크.svg 파일:공군검찰단2.png 파일:공군군사경찰단.png 파일:공군기상단.png
공군대학 항공우주의료원 검찰단 군사경찰단 기상단
파일:공군수사단_발퀄.png 파일:공군시험평가단마크.png 파일:공군역사기록관리단_마크.png 파일:공군전력지원체계사업단_low.png 파일:중전소.png
수사단 시험평가단 역사기록관리단 전력지원체계사업단 지능정보체계관리단
파일:항공안전단.png 파일:공군항공우주전투발전단_마크.svg 파일:사이버방호지원단.png 파일:제7항공통신전대_마크.svg 파일:제35비행전대.png
항공안전단 항공우주전투발전단 사이버작전센터 제7항공통신전대 제35비행전대
파일:제53특수비행전대 부대마크.svg 파일:제91항공공병전대마크.png 파일:공군군악의장대대_마크.png
제53특수비행전대 제91항공공병전대 군악의장대대
작전사령부 직할
파일:공군작전사령부근무지원단.png 파일:공군작전정보통신단_마크.png 파일:공군항공지원작전단_로고.png 파일:항공정보단.png
작전사령부 근무지원단 작전정보통신단 항공지원작전단 항공정보단
공중전투사령부 직할 공중기동정찰사령부 직할
파일:제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png 파일:제38전투비행전대 부대마크.svg 파일:6th_SAR_1600px.png 파일:제28비행전대.png 파일:제51항공통제비행전대부대로고.png
제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 제38전투비행전대 제6탐색구조비행전대 제28비행전대 제51항공통제비행전대
군수사령부 직할 교육사령부 직할 공군사관학교 직할
파일:제60수송전대 부대마크.svg 파일:공군교육사령부_마크.png 파일:공군교육사령부_마크.png 파일:55전대.png 파일:공사근지단.png
제60수송전대 교육사령부 기지지원전대 교육사령부 기지병원 제55교육비행전대 공군사관학교 근무지원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공군의 편제
※둘러보기: 공군의 비행단 | 공군의 여단
}}}}}}}}} ||

공군항공지원작전단
空軍航空支援作戰團
Air Force Operations Command Service & Support Group
파일:공군항공지원작전단_로고.png
Only One! All for One!
<colbgcolor=#2F9AFF><colcolor=#fff> 창설일 1958년 10월 (제31전술통제비행전대)
1971년 8월 (제36전술항공통제전대)
2015년 12월 1일 (전술항공통제단)
2019년 3월 1일 (항공지원작전단)
약칭 항지단
소속 대한민국 공군
상급부대 공군작전사령부
규모
역할 근접항공지원 등 타군과의 합동작전수행
단장 대령 김원태 (공사 40기)
주임원사 원사 전성종 ( 부사후 169기)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원주(횡성)공항[1]

1. 개요2. 상세
2.1. 역사2.2. 부대마크
3. 근무환경
3.1. 공군부대 배치3.2. 육군부대 배치
3.2.1. 육군 당직사관의 통제3.2.2. 시설의 열악함과 홀대3.2.3. 육군 간부 및 병사의 무시3.2.4. 공군 병사의 무시3.2.5. 위치 문제
4. 관련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공군 공군작전사령부 예하 부대로, 근접항공지원과 함께 전군 유일의 공지해(空地海) 합동작전 업무를 맡고 있다.

원래는 '제36전술항공통제전대'였으나, 2015년 12월 1일부로 '전술항공통제단'으로 승격[2]되고 #, 2019년 3월 1일, '항공지원작전단'으로 부대명칭이 변경되었다. #

2. 상세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34582.jpg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34583.jpg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34578.jpg
합동작전모습

1961년 공지협동작전 교육대로 창설, 1971년 공지합동작전학교를 창설했고 1973년에는 동부 항공지원작전본부(EASOC: East Air Support Operation Center), 1983년에는 서부 ASOC(SASOC)를 각각 창설한다. 이어 1993년 육군제2작전사령부에 2작전사ASOC를 창설했고 1994년에는 현재의 모습의 원형인 제36전술항공통제전대로 재창설했고 해병대사령부에 ASOC를 창설했다. ASOC란 근접항공지원작전을 수행하는 핵심부서로 지ㆍ해상군 지원 작전을 위한 정보교환, 계획 수립, 지휘 통제를 수행하는 부대다. # ASOC는 Air Support Operating Center의 약자이다.

공군 병 특기 중 정보통신특기(3XX10) 내 전술항공통신체계정비(30710) 특기의 산실인 곳이며, 해당 특기를 받게 될 경우 상당수가 해당 부대로 배치될 가능성이 가능성이 높다. 이 부대는 각급 육군 및 해병대 부대에 전술항공통제부대 배치ㆍ운영하는 것은 물론 공군 전술항공통제 전문요원 즉, 합동최종공격통제관(JTAC: Joint Terminal Attack Controller)과 전술항공통제장비운용요원(ROMAD: Radio Operation Maintenance And Driver)을 양성하는 역할도 한다. ROMAD는 초급 부사관과 병, JATC는 육해공/해병대 특전/특수/특수수색대 장교와 부사관을 대상으로 한다. (공군 TACP 요원은 대부분 이를 취득해야 한다. 부사관은 운전과 장비정비 능력도 요구하여 중사~상사때는 대부분 취득하고, 장교는 전입 후 1, 2년 안에 취득을 요구한다.)

전시 공군에서는 조종사 다음으로 손실률(전사/실종)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 이를 근거로 2010년대 중반 동/서부 ASOC에서 부사관과 전술항공조종사(초/중/고등 비행에서 탈락 또는 스스로 포기한 조종사 장교) 충원율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근거가 되기도 하였다. (결국 충원은 불가)

SOTAC 근접항공지원작전(CAS: Close Air Support Operation)에서 현장에 출동, 항공기에 공격목표를 지정하고 최종공격을 통제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ROMAD는 CAS를 위해 지상군과 협조 및 항공기 유도를 실시하는 최전방 작전기구인 전술항공통제반(TACP: Tactical Air Control Party)의 작전 차량과 무전기 등 장비를 운용 및 유지 관리해 최상의 전비태세 유지의 임무를 수행한다. 이뿐만 아니라 CAS나 대화력전 전력에 대한 전술항공통제 임무도 수행한다. 이런 특성 때문에 부대 장병들은 TACP를 구성해 각 육군부대에서 파견근무를 하고 있다.

본부는 제8전투비행단에 내부에 있으며, 파견대(TACP)는 주로 전방의 육군 부대의 사단 본부에 TACP(전술항공통제반)형태로 주둔한다. 육군 부대에 파견되어 근무하는 인원이 많은 특성상, 2007년부터 정복 약정복, 전투복 등의 왼팔에 다는 부대표지를 공군이 전면 폐지했음에도 다른 부대와 달리 계속 부대표지 부착 규정이 남아 있다. (군사령부, 군단 ASOC의 총무, 정보통신, 보급, 수송에는 적용되지 않고, 전술항공통지 특기에 한한다.)

예하에 공지합동작전학교를 두고 있어서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병대와의 교류가 많을 수밖에 없으며, 부대 전체적으로 합동작전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전입간부, 신병 교육에서도 합동성을 강조하는 편이다. 그러나 공지합동작전학교는 공군교육사령부 예하 특기학교와 공군방공포병학교보다는 업무강도가 매우 약한 편이다. 공군기본군사훈련단에서 바로 이등병이 오지 않으며[3], 병이고 간부고 공군정보통신학교나 군수2학교 또는 항공지원작전단 본부의 공지학교에서 추가적으로 교육을 받고 자대에 배속을 받게 된다.

2.1. 역사[4]

  • 1958. 10. 제31전술통제비행전대 창설
  • 1971. 08. 제36전술항공통제전대 창설
  • 1973. 02. 전대 예하 제36직접항공지원본부 창설 [5]
  • 1983. 06. 3군사령부에 서부항공지원작전본부(WASOC) 창설
  • 1993. 07. 2작전사령부에 남부항공지원작전본부(SASOC) 창설
  • 2015. 12. 전술항공통제단으로 부대 승격, 창설, 단본부 건물 신축 이전
  • 2019. 03. 항공지원작전단으로 명칭 변경

2.2. 부대마크

||<-2><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F9AFF><tablebgcolor=#fff,#1f2023><bgcolor=#2F9AFF><color=#fff> 공군항공지원작전단
空軍航空支援作戰團
Air Force Operations Command Service & Support Group ||
파일:공군항공지원작전단_로고.png
<colbgcolor=#2F9AFF><colcolor=#fff> 하나된 마음을 표현
파랑 바탕 하늘을 의미하며 공군을 상징함
태극문양을
감싸는 날개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태극문양을 중심으로 조국의 영공방위와
국토를 수호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현
태극문양 대한민국을 상징하며 조국에 대한 충성심을 표현
삼각형 공군(하늘색), 육군(황색), 해군(흑색)을 의미하며
공지해 3군 합동작전을 나타냄
번개 3군의 유기적인 통신협조체계를 상징
파일:36전대.jpg
전술항공통제단 당시 사용한 마크

3. 근무환경

항공지원작전단에 소속되어 항공지원작전단 본부에 배속받거나 전국에 있는 육군부대의 군단, 사단본부로 파견을 나가며 일부 몇몇 간부 및 병사들은 비행단에 소속되어 배속을 받기도 한다.

특징적으로 항공지원작전단에 소속되어 육군부대의 사단본부로 파견을 나가려면 전술항공통신체계정비 특기를 받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1종보통 운전면허가 필수적이다. 공군 의무복무 기간이 길었을 때는 특기학교에서 1종보통 운전면허 시험을 치러 군면허를 얻기도 하였으며, 6개월 이상 군 운전 경력이 쌓이면 2종보통 운전면허 교체 발급이 가능했다.

또한 전술항공통신체계정비 특기를 받게 되었다면 공군정보통신학교에서의 특기학교 교육과 군수2학교에서의 추가 운전보수과정 교육을 받게 된다. 이렇게 2개의 교육이 끝나면 자대로 배속을 받게 되는데 대부분은 육군부대의 사단본부로 파견을 나가고 일부는 비행단에 배속되기도 한다. 육군부대의 사단본부로 파견을 나가게 되면 항공지원작전단에 배속받게 되며 항공지원작전단 본부에서 일정 기간의 교육을 받은 후에 각자 본인이 파견나가야 할 육군부대의 사단본부로 가게 된다.

TACP 생활관은 독립생활관이었으나 화장실 및 샤워실 시설이 열악해 다른 곳에 원정 나가서 씻거나 샤워를 해야 했을 정도였다. 지금은 좀 나아 졌으나 그래도 공군 생활관보다 못 하다. 인원이 워낙 적은 까닭에 축구나 농구 같은 체련활동을 할 때는 TACP 인원이 워낙 적기 때문에 육군하고 같이 해야 한다. 육군하고는 아저씨 취급하는 편이며 서로 터치하지 않는 편. 만약 상호 터치하는 일이 있다면 타군 간부나 병이 디스를 걸어올 것이다.
다만 해당 생활은 굉장히 오래전 이야기이며 2022년 지금은 TACP 생활관이 오히려 본부보다 더 좋다고 칭송받는다.

작전통신장비 정비 특기(유선 및 무선통신정비 등)가 파견대에 배치받을 경우, 복무환경은 확실히 다른 통신관련 부대에 비하여 편하다. 특히 위성통신망을 관리하는 제7항공통신전대 출신들처럼 허구헌날 정비 나가는 7전대에 비해 이곳은 확실히 꿀이라 불린다.

전산특기들에겐 여러모로 힘든 부대. 정보체계관리 특기가 근무하는 예하부대에 따라 작전병이나 전산병으로 직감근무를 복무기간 동안 뛰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ASOC로 배치 받는 장병들은 거의 다 그렇다. 특히 UFG나 키리졸브의 경우 정보체계관리 작전병은 교대근무로 죽을 맛이다. 작전병으로 뛰지 않더라도 컴퓨터나 프린터가 고장나면 온갖 부서로 불려나간다. 행정병이 귀찮아하면서 프린터설치법을 배우게 된다. 대신에 특기 막론하고 초과근무 보상은 확실하게 해 준다.

통신, 항공관제 특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덜한 총무나 항공기재보급, 회계 특기로 전대본부에 배치될 시에는 사무실 분위기에 따라서 업무 분위기가 바뀌는데, 대체적으로 전대본부는 일이 힘들다. 반면 파견대에 배치될 시에는 일 자체는 쉽지만 포대나 레이더사이트 행정병과 마찬가지로, 이 세 특기의 업무를 모두 익혀야 할 정도로 올라운드 플레이어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행정, 보급병들은 운행 나간 운전병을 대신해 사역셔틀이 된다. 주임원사, 통신반장: "너 할 일 없지?" 실제로 행정 및 보급관련 일이 중요성이 덜하다 보니 다른 부서에서 지원요청제초, 청소, 환경미화가 오게 되면 지겹게 불려나간다. 하지만 전역이 다가올수록 다른 부서에서도 작업지원자를 짬이 안 되는 병사로 차출하기 때문에 말년이 되면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사무실 내에서 잉여 및 커피 셔틀로 흑화한다....

과거에 병사 간 부조리가 심했으나 현재는 병영부조리 척결 분위기가 강하여, 전대장, 주임원사, 으뜸병사 주도로 생활관 환경 개선 및 병영부조리를 척결하여 과거에 있던 병영 악폐습이 빠른 속도로 사라졌다. 또한 부대 전체적으로 면학 분위기가 강해, 자기계발 여건 조성 및 시험외출 제도 정비가 잘 되어 있는 편이다. 일부 먼치킨 상병장들이 업무 끝나고 연등을 이용해 행정고시, 대한민국 공인회계사 등 각종 자격시험과 JLPT, HSK 등 제2외국어 시험을 공부하기도 한다.

공군정보통신학교에서는 이 부대에 대한 정보가 많이 알려졌지만 공군행정학교에서는 정보가 거의 알려지지 않은 부대라, 행정학교 교육생들이 정보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다만 군사경찰특기는 제8전투비행단 군사경찰대대와 타군 경계병력이 부대 외곽경비를 맡는 특성상 이 부대에 절대로 배치되지 않으며, 행정학교에서는 총무와 회계특기가 이 부대로 배치된다. 군수2학교에서는 항공기재보급, 일반차량운전 특기가 배치된다. 공군군수1학교에서는 광학장비정비 특기가 항공전자장비정비 특기로 합쳐진 이후 지속적으로 배속된다. 광학정비는 전투기에게 표적과 아군의 위치를 알려주는 적외선 레이져 포인터를 정비한다.

전역전 교육( ASSA! 캠프)에서는 인접한 두 기수가 8비 프로그램으로 입과하며, 짝수기수의 경우는 ASSA 캠프 후 바로 전역. 홀수기수의 경우는 교육이 끝난 뒤 근무지로 복귀해 한 달 가량을 보내다가 전역 하루 전 전대본부로 와서 전역 관련 절차(보급품 반납 등)를 밟은 뒤 전역한다.

3.1. 공군부대 배치

여기서부터는 병사가 여기 부대에 전입왔을 때 특징을 소개하려 한다. 단 본부, 공지합동작전학교 등에 배치 받으면 이곳으로 오게 되며, 파견부대로 가더라도 단 본부에서 며칠간 지내면서 기본적인 교육을 받고 가게 된다.
단 본부는 항지단에서 최상급부대이며 8비 안에 있는 만큼 공군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몇 안 되는 부대이다. 복지가 좋은 편이며 다만 운항관제나 정보체계관리로 오게되면 작전 쪽으로 배치받으므로 빡센 크루근무에 힘듦을 느낄 수 있다. 통신 특기도 정비 쪽으로 배치 받아 정비 근무를 하기도 한다. 그 외는 편하다.
정보체계관리 중 전산정비병으로 보직되면 주 임무가 고장난 PC, 프린터, 빔프로젝터를 8비 정보통신중대 전산장비정비반으로 넘겨주고 되돌려받는게 주 임무이다.
부사관의 경우 예하부대들의 전산장비를 받아 예비 컴퓨터, 프린터로 교체해주고, 8비 전산정비반장 준위에게 부탁하면서 종종 술도 사고 일도 도와야 한다. 하사의 경우 다양한 업무를 경험할 수 있지만, 항지단 본부 상,원사에게는 기피되는 업무이다.

3.2. 육군부대 배치

위에 공군부대 배치랑은 비교할 수 없이 열악하다. 기본적으로 근무 중에는 공군 간부와 함께있기에 공군 규정에 따라 업무를 보고 휴가, 외출 결재를 올린다. 업무는 항공통제임무나 검열이 없을 경우 상당히 널널하며 ASOC은 영관급 장교, TACP는 위관급 장교가 부대장이고 소수의 인원이 생활하기에 분위기도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그렇지만 일과 전/후는 육군 생활관에서 생활하게 된다.일과 전/후 생활은 ASOC/TACP 본부장, 주임원사, TACP 선임부사관과 육군 간부와의 관계, 육군 당직사관의 성향에 따라 달라지며 아래와 같은 문제를 겪을 수 있다.

3.2.1. 육군 당직사관의 통제

기본적으로 파견부대의 경우 간부가 24시간 당직근무를 하지 않는다. 따라서 육군 당직사관의 통제를 받으며 일과 후 생활을 해야한다. 육군부대로 파견을 간다고 해서 공군에서 육군, 혹은 국직부대로 소속이 바뀌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육군규정이 아니라 공군규정 2-44 및 항공지원작전단 규정에 따라 생활하는게 원칙이다. 이런 차이로 인해 잘못 건드리면 분쟁 및 민원의 소지가 있기 때문에 공군 병사에게 아무런 터치가 없는 부대도 있는 반면 계속해서 육군규정을 언급하며 간섭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당직사관에게 상황을 잘 설명하고 말이 안 통하면 ASOC 주임원사나 TACP 선임부사관에게 보고하도록 하자. 대부분 전화 한 통, 문서 하나면 문제가 해결되지만 ASOC 주임원사나 TACP 선임부사관이 병사에게 관심이 없는 경우 문제가 해결이 안되거나 개악 될 수 있다. 이 경우 설득시켜야 할 사람이 배로 늘어나기 때문에 반응별로 시나리오를 짜서 대응할 논리를 갖추고 설득해야한다. PMP나 휴대전화의 경우 병영생활규정이 아닌 보안규정의 지시를 받는데 보안규정의 경우 원소속부대가 아닌 주둔부대 보안훈령에 의거하여 통제가 이뤄지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따라야한다.

3.2.2. 시설의 열악함과 홀대

기본적으로 좋은 시설은 주둔부대 병사가 독점적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고 공군 병사에게는 통제받는 부대 중에서도 열악한 시설을 받게되는 경우가 대부분 손님이라고 잘 대해주는 부대도 있지만 없었으면 좋겠다는 눈총을 받는 신세가 되는 경우가 많다. 편의시설도 육군 것을 사용해야하는데 일부 생활관은 평상식으로 운용되기도하며 공군병사가 이용가능한 편의시설이 하나도 없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 공군병사와 육군병사를 섞어서 생활하게 하는 미친 부대도 있다. 생활관 하나에 8~10명이 생활할 수 있는데 TACP는 3~4명이 전부이다.

근무시설의 문제는 많이 열악하다. 왜 그러냐 하면 위에서 서술했듯이 좋은 시설은 주둔부대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공군들은 보통 낙후된 시설이나 컨테이너 사무실에서 근무하게 된다. 예시로 제7군단 ASOC가 있다.

편의시설 문제의 경우 생활관은 바꾸기 어렵고 노래방, 체단시설 등의 경우 명시된 규정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최대한 본인들 편하게 일처리 하련는 육군 간부를 직접 설득하는 것보다는 ASOC 본부장이나 주임원사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낫다. 대부분 공군파견부대가 세들어 살고 있는 육군 사단 본부근무대장은 기껏해야 소령이고 생활하면서 부딫히는 당직사관의 경우 위관장교, 부사관이기 때문에 군단장, 사단장 참모로 나와 있는 공군파견대 간부가 문제제기를 하면 원활하게 해결해주려고 노력한다. 안들어주면 아침 회의때 사단장에게 바로 언급할 수 있고, 사단장과 작전참모들에게도 아무리 포병전력이 발전했다고는 해도 ROZ 문제도 있고 CAS, 전구 내 공수 등의 작전에 있어서 공군 참모인 ASOC/TACP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 실제로 공군파견대에 대한 홀대문제가 ASOC 본부장을 통해 군단장 귀에 들어가서 군단 참모장(준장이나 대령)이 직접 담당 실무자를 턴 적도 있다.
육군 1,3군사와 동/서부 ASOC가 있던 시절 TACP에서 생긴 문제가 ASOC장에게 보고되어 ASOC 본부장이 4성 장군인 군사령관에게 말해서[6] 사단장이 지휘소 훈련 중에 화상회의로 호출된 사례를 목격했다. [7]
훈련에 따른 보상의 경우 공군 부대에서는 ORI/ORE 등에 참여하고 위로휴가를 받지만 파견부대의 경우 육군 훈련참가에 따른 위로휴가를 받지 않는게 원칙이라며 육군만 받는 훈련을 하고도 공군 병만 휴가를 못 받기도 한다. 물론 부대장 재량에 따라 이를 역으로 이용하여 전투휴무, 휴가 등에 있어 수혜를 보는 경우도 있다.

3.2.3. 육군 간부 및 병사의 무시

병사의 경우 역시 부바부이긴 하지만 높은 확률로 자기는 군 복무기간이 짧다고 비아냥 거리는 경우가 태반이다. 간부 역시도 공군 병력 까지 관리하는 것을 귀찮아하는 경우가 많아 정신적으로 괴롭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심지어 일과 후 생활관에서 육군 규칙을 지키지 않는다고 육군인원보다 더 심하게 괴롭힐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은 지휘체계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인원들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규칙과 예의만 지켰다면 민원을 긁었다고 해서 당신에게 직접적인 불이익을 줄 수 없으며 지속되는 괴롭힘이 있을 경우 공군 간부에게 어려움을 토로하거나 국민신문고를 통해 민원을 긁으면 해결된다. 하지만 국민신문고는 공군 지휘체계를 타고 털며 내려오기 때문에 그냥 TACP간부나 ASOC 주임원사에게 말하자. 문제가 생기면 병사야 복무기간 채우고 전역하면 그만이지만 간부의 경우 남은 군생활이 길고 ASOC로 가면 군단장, TACP에서도 사단 주요 지휘관들에게 직접 찍히기 때문에 갑자기 태도를 바꾸어 친절하게 대해주거나 아예 면대면으로 만나는 것을 꺼릴 것이다.

TACP의 공군 병사가 육군 상사에게 군기빠진 행동(무전기와 배터리를 들고 있어 목례)을 했다며 정식으로 문서로 군기교육대 입과를 시도한적이 있는데, 무려 사단에서 군단, 군사령부까지 올라갔으나 군사령부에서 ASOC장에게 확인한 뒤 커트당했다. 다음 단계까지 갔다면 육군본부, 합동참모본부 또는 국방부, 공군본부, 작사, 36전대(당시), ASOC, TACP로 내려왔을 것이다. 병사 1명 군기카드가 무려 합참이나 국방부까지 가는 것이다.

3.2.4. 공군 병사의 무시

여기에 하나가 더해지는데 바로 공군 병사의 무시. 육군으로 파견나가는 공군 병사가 공군의 혜택을 누리지 못해 힘들어 하는 걸 당연시 여긴다. 다른 육군보다 좋으니 참으라고 하는 경우가 태반. 사실 생활면은 조금 힘들 수 있지만 업무강도만 놓고보면 다른 공군부대보다 널널한 편이니 아니꼽게 보일 수도 있다. 육군 부대에서 힘들어 적응하지 못하는 병사보고 폐급이라고 놀리기도 하며 휴머니스트에 쓴 글을 캡쳐했다가 놀리기도한다. 대부분 악의가 있다기보다는 장난에 가깝지만 불쾌하거나 도가 지나치면 본인에게 직접 얘기하자. 가장 많이 교류하는 작전처 CQ나 통신정비대 정비병과의 트러블이 생겼는데 파견부대 특성 상 해결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없어 원주기지 소속 병사와 파견부대 소속 병사간 감정의 골이 깊을 수 있는데 이는 대화로 얘기하면 손쉽게 풀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3.2.5. 위치 문제

대부분 시 단위 지자체에 위치한 공군 비행단과 달리 육군은 상급부대인 군단, 사단 사령부라 할지라도 읍면리 단위의 시골에 위치한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격오지에는 해당이 되지 않는 애매한 위치 때문에 격오지 휴가를 봇 받는 경우가 대부분. 모 부대의 경우 30분씩은 걸어가야 시외버스하나 탈 수 있다. 버스터미날, 기차역 출/도착시간과 연계된 출/퇴영버스가 있는 공군부대랑 비교된다. 부대 밖에서 할 수 있는게 없으니 평일외출은 안쓰는 경우가 많은데 친한 간부가 있다면 간부차에 얻어 타서 같이 놀러나가는 것도 방법이다.이전 서술에 휴가 출발 시간에 있어서 육군규정을 적용받는다고 했는데 이는 근거가 없는 조치이다. 말빨이 좋으면 전날 부서장 및 주임원사를 설득시킨 다음 휴가 출발하면서 생활관에 비치된 공군규정 2-44를 들고 육군 간부에게 입을 털어도 좋지만 민감한 문제인 만큼 이 역시 ASOC 주임원사나 TACP 선임부사관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 최근 코로나19에 영향으로 출타 기준을 육군 부대 지침을 따르고 있다. 차라리 오리지널 육군 규정만 따르면 어떻게라도 나갈 수 있긴한데 육군 규정에 공군 규정까지 전부 만족시켜야 출타가 가능한 수준이다. 사실상 휴가를 못 간다고 봐도 무방
이에 병사들이 우울증, 정신분열증, 대인기피증 등을 호소하고 상담관을 자주 찾아가 상담 받기도 한다. 사실 이는 항공지원작전단 예하 파견부대 뿐 아니라 전군의 병사가 겪고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위의 문제들의 경우 모든 파견부대가 다섯 가지 문제가 다 있다고 하기 보다는 각 군단, 사단에서 겪을 수 있는 부조리를 정리한 것에 가깝다. 소수의 인원이 파견되어 생활하는 만큼 부대별, 부서별 편차가 크고 관계 규정도 미비하며 이런저런 이유로 본 문서에 상술할 수 없는 편리한 점도 많이 존재한다. 파견 전 인트라넷 메일, 입고정비 및 일캠, 상캠 인원들을 통하여 배속 될 수 있는 부대의 상황을 최대한 알아보고 본인의 성향을 잘 파악하여 최대한 편하게 군생활을 보낼 수 있도록 하자.

4. 관련문서



[1] 단 본부 기준 [2] 영문명칭도 전대급 기행부대를 의미하는 Group이 아닌, 비행단급 전투부대를 의미하는 Wing이 적용되었으며, 참모조직도 전대급 부대의 과/실 조직이 아니라 비행단급 부대의 처-과/실 형태로 설치되어, 실질적으로 준장 티오만 증가한다면 제1미사일방어여단과 함께 준장이 지휘관으로 보임할 가능성이 높은 부대 중 하나이다. [3] 이건 당연한건데 애초에 공군은 병이고 간부고 간에 기훈단 마치고 바로 자대에 배치하지 않고, 특기학교 수료 후 자대에 배치시킨다. [4] 출처: 월간공군 2021년 7월 [5] 1군사에 창설했으며, 이후 동부항공작전지원본부(EASOC)로 변경된다. [6] 지휘계통이 달라 보고도 아니고 ☆⁴에게 협조라고 할수도 없어 말했다 표연함 [7] 2010년대 초반 동부ASOC 작전과가 들어갔던 문서고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