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12:03:00

경북도립대학교

경북도립대학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경도(京都)대학에 대한 내용은 교토대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정부상징.svg 글로컬대학 30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3년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강릉원주대학교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부산교육대학교 로고.svg 부산교육대학교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안동대학교
파일:경북도립대학교 UI.svg 경북도립대학교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파일:HallymUniv_UI.png 한림대학교
2024년 발표 예정
2025년 발표 예정
2026년 발표 예정
}}}}}}}}} ||

경북도립대학교
慶北道立大學校
Gyeongbuk Provincial College
파일:경북도립대학교 UI.svg
<colbgcolor=#0c31d0><colcolor=#ffffff> 분류 공립 전문대학 (2/3)년제
설립 1997년 3월 15일
폐교(예정)[1] 2025년 3월 1일
학훈 創造 (창조), 誠實 (성실)
초대학장 남규창 박사[2]
총장 김상동 총장[3]
이사장/도지사 이철우
대학기본역량진단 자율개선대학(2018)
소재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도립대학길 114(청복리 947-1)
홈페이지 공식 홈페이지

1. 개요2. 역사3. 학과
3.1. 2년제3.2. 3년제
4. 건물5. 이모저모
5.1. 안동대학교 통합 과정 절차
6. 역대 총장

[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 예천군에 있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직속 공립대학이다. 공식적인 명칭은 경북도립대학교 1997년 3월 15일에 개교했다. 공립대학이다. 대부분의 학교 운영비는 경상북도가 지원하고 있다.[4] 13개 학과 보유.

2. 역사

  • 1996년 12월 26일 도립전문대학설립인가가 승인되었으며 자동차과 40명, 산업디자인과, 전자과, 정보통신과, 지방행정과 각 80명(5개과 360명)으로 학교가 시작 되었다.
  • 1997년 3월 1일 초대학장 남규창 박사가 취임했고, 보름뒤인 3월 15일에 「예천전문대학」으로 개교했다.

3. 학과

"안동대 통합이후 4개를 남기고 모조리 폐기할 가능성 있다고 언급"

3.1. 2년제

3.2. 3년제

4. 건물

  • 대학본관&도서관
: 여자 기숙사 희망관과 남자 기숙사 창조관의 오른쪽, 왼쪽 대각선에 위치했으며 대학본관 건물에 도서관이 들어간 형태다. 건물의 1층에는 ATM기기가 있으며, 도서관의 경우에는 해당건물의 2/3층에 위치해 있는데, 열람실이 2층, 독서실이 3층에 위치해 있다. 다만 열람실의 많은 서재들이 출판한지 오래된 것이 흠.(90년대 서적이 도서관 치고 많다는 것이 학생들의 평)
  • 학생회관
:총 3층으로 구성되어있으며, 1층에는 학생식당이 위치해 있으며, 2층에는 취창업지원센터와 학생상담센터, 학생휴게실이, 3층에는 기독교 동아리 C.C.C의 동아리실과 해병대 전우회실이 있다. 학생식당에서 판매되는 학식의 경우에는 질이 떨어진다는게 학생들의 주된 평, 뿐만 아니라 배식하는 아줌마들의 서비스 태도가 상당히 불량하다는 것이 학생들의 평(출처: 대학 홈페이지, 대학에바란다) 2층에 위치했던 매점[11]의 경우 편의점보다 비싼 수준의 가격대로 물건을 판매한다는 평이있다. 뿐만 아니라 매점 아저씨께서 수시로 매점을 비우시는 경우가 많아 학생들의 접근성이 떨어진다고한다.
  • 한울학사 (기숙사)
    - 창조관(남자 기숙사)
:창조관은 기숙사들 중에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2016년 여자 전용기숙사 희망관이 준공되기 이전에는 남녀가 반을 나눠 같이 사용하였으나, 희망관 준공 이후에는 대대적인 공사를 통해 남학생 전용기숙사로 개조했다. 2018년 1학기까지 기숙사 내부의 와이파이에 관한 학생들의 청원이 빗발쳤으나(주로 와이파이의 속도 개선 및 자정과 동시에 와이파이를 차단하는 문제) 그해 여름 이후부터는 이와 관련된 청원이 더 이상 없는 것으로보아 와이파이 문제가 어느정도 해결된 모양인듯. 한울관의 경우 미래관 보다 달리 오후11시에 점호가 있고, 오후 11시 반에 와이파이가 차단된다고 한다.[12]
기숙사 건물 지하에 체력단련실, 컴퓨터실, 자습실이 구비 되어있다.
-희망관(여자 기숙사)[13]
-미래관(남자 기숙사)[14][15]

5. 이모저모

국공립임을 고려하더라도 등록금이 매우 저렴하다. 학기당 등록금+기숙사비가 190만원에서 200만원 사이일 정도이니... 여타 대학에 비해 금전적으로 매우 이득이 된다.

예천읍내에 위치해 있지만, 읍내와 조금 멀리 떨어져있는게 흠이라면 흠. 걸어서 읍내로 나가는데 최소 3~40분이 걸리니...

예천읍내에 놀거리가 적어서 재학생들은 주로 근처의 안동이나 경북도청이전신도시로 놀러간다.[16] 예천여객에서 88번이 본교를 경유하여 도청까지 1일 16회 운행한다.

5.1. 안동대학교 통합 과정 절차

교육부 추진 '글로컬 대학' 선정을 앞두고 국립인 금오공대 안동대, 공립인 경북도립대의 통합이 추진됐지만 금오공대가 빠진 채 안동대와 경북도립대 통합으로 가닥이 잡혔다. #

2023년 11월 13일, 안동대학교와 공동으로 신청한 글로컬대학 30에 최종 선정되었다. 2025년 3월 국공립대 통합 출범을 목표로 공공형 대학 혁신모델을 추진할 예정이다.

2024년 6월 10일 안동대학교와 통합을 교육부가 최종 승인하면서 이문서의 경북도립대는 그대로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안동대도 사라진건 마찬가지 새 교명은 국립경국대학교 이다.[17]

6. 역대 총장

파일:경북도립대학교 UI.svg
경북도립대학교 총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남규창
제2대
서영수
제3대
김광식
제4대
박용환
제5-6대
김용대
제7대
정병윤
제8대
김상동
}}}}}}}}}



[1] 안동대 통합으로 인한 [2] 안동대학교 총장 [3] 경북대학교 총장 [4] 경상북도지사가 당연직 이사장이다. 서울시립대학교와 처지가 비슷한 상황. [5] 배우는 과목이 주간과 과목이 다르다. [6] 매일 아침 6시 반부터 학교 앞 대운동장에서 구보를 한다고 함 [7] 기존 2년제 [8] 영주시에 대규모 축사가 있어, 매주 실습을 할 수 있다고 한다. [9] 기존 2년제 [10] 기존 2년제,  2020학년도부터 3년제 전환 [11] 현재는 운영하지 않는다. 대신 청남교육관 옆에 이마트24가 생겼다. [12] 미래관은 오전 3시에 와이파이가 끓긴다 [13] 2016년 11월 30일 신축 [14] 2022년 2월 23일 신축 [15] http://www.ycn24.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094 [16] 상대적으로 먼 안동보다 예천읍내에서 노는 횟수가 다수이다. [17] 안동대 역시 안동이란 이름도 사라지게 하면서 두 대학교는 기존이름을 가져오지 않고 이로써 기존 앞 상징을 버리고 새롭게 출발하는것을 증명하였다. [18] 전 안동대학교 총장 [19] 전 안동대학교 회계학과 교수 [20] 전 경찰청장 [21] 전 공무원연금관리공단 이사장, 총무처 중앙공무원교육원장 [22] 전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23] 전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24] 전 경북대학교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