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범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좁은 의미 |
[[자연과학| 자연과학 ]]
물리학 ·
화학 ·
생물학 ·
지구과학 ·
천문학
|
넓은 의미 |
[[형식과학| 형식과학 ]]
수학 ·
통계학 ·
전산학 ·
논리학 ·
암호학 ·
언어학(생성이론)
|
|
[[응용과학| 응용과학 ]]
거대과학 ·
공학 ·
건축학 ·
경영학 ·
법학 ·
행정학 ·
의학 ·
치의학 ·
한의학 ·
간호학 ·
약학 ·
수의학 ·
농학 ·
임학 ·
수산학 ·
가정학
|
||
[[사회과학| 사회과학 ]]
정치학 ·
경제학 ·
사회학 ·
인류학 ·
심리학 ·
지리학 ·
사회복지학 ·
신문방송학 ·
종교학
|
||
[[인문과학| 인문과학 ]]
언어학 ·
문학 ·
사학 ·
고고학 ·
미술사학 ·
음악사학 ·
철학
|
||
비과학 | 변경지대의 과학 · 병적 과학 · 쓰레기 과학 · 유사과학 · 비과학 · 반과학 | }}}}}}}}} |
1. 개요
水 產 學 / Fishery Science전통적인 농학의 하위 학문으로, 수산업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수산업은 크게 어업, 양식업, 수산가공업으로 나눌 수 있는데, 최근에는 수산물 유통업도 추가하고 있다. 수산해양교육학, 수산질병학, 수산해양관광학에 관한 학문으로도 확장되고 있다.
일부대학[1] 내 관련 단과대학에서 수산학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2]
2. 분야
2.1. 생산
2.2. 가공
2.3. 응용
2.4. 교육
- 수산교육학: 수산고등학교에서 어업을 가르칠 사람을 양성하는 학과.
3. 관련 문서
[1]
경상국립대학교,
군산대학교,
부경대학교,
전남대학교,
제주대학교
[2]
자연과학대학 및 기타 단과대에 수산학 관련 학과만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3]
양식학
[4]
어로, 어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