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07:00:36

제7기동군단 강습대대

강습대대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징명칭(독수리)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독수리부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직할대대 공동경비구역 경비대대
<colbgcolor=#009600> 수도 제10화생방대대 · 제140정보대대
I 제11화생방대대 · 제141정보대대
II 제12화생방대대 · 제142정보대대
III 제13화생방대대 · 제143정보대대 · 제513방공대대
V 제15화생방대대 · 제145정보대대
VII 제1강습대대 · 제2강습대대 · 제7경비대대 · 제17화생방대대 · 제517방공대대
제2작전사령부
직할대대 제19화생방대대
육군본부 직할부대
수방사 제22화생방대대
군수사 본부근무대대
인사사 육군복지지원대대 · 육군군악의장대대 · 중앙보충대대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80px-%EB%8F%85%EA%B1%B0%EB%AF%B8_%EC%A4%91%EB%8C%80_%ED%9D%89%EC%9E%A5.png 파일:7군단_강습대대_로고.jpg
제35특수임무대대 제1강습대대 · 제2강습대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대대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군 특수임무부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육군
특공대( 제2신속대응사단 · 제1산악여단 · 제700/ 701/ 702/ 703/ 705특공연대 · 제2/ 35특수임무대대 · 제1/2강습대대)
정찰대
수색대
기동대
군사경찰 특수임무대
파일:대한민국 해군 마크.svg 해군 파일:대한민국 해병대 휘장.svg 해병대
해난구조전대(SSU)
군사경찰 특수임무반
수색대( 특수수색대대)
군사경찰 특수임무대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공군
공정통제사(CCT)
항공구조사(SART)
군사경찰 특수임무소대
단, 밑줄 친 부대는 2020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대통령에 의해 국군특수전부대로 소개된 부대
}}}}}}}}}

제1강습대대, 제2강습대대
第1强襲大隊, 第2强襲大隊
The 1st Air Assault Battalion, The 2nd Air Assault Battalion
파일:7군단_강습대대_로고.jpg
창설일 1988년 6월 1일(제707특공공정연대)
1994년(제7강습대대)
2019년 12월 1일(제1, 2강습대대)
상징명칭 독수리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7기동군단
규모 대대
역할 7기동군단 공중강습작전 임무수행 및
국군교도소 탈옥수 추적임무
1대대장 중령
2대대장 중령
위치 경기도 이천시

1. 개요2. 상세3. 편제4. 출신인물
4.1. 대대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5.2. 부대가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이천시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제7기동군단 예하 특공 대대(강습대대)이다.

대한민국 육군 특공대 (ROKSAC;Republic of Korea Special Assault Commando)로 분류되는 부대로 1993년 12월 31일에 제707특공연대를 해체하고 전시에 북한으로 진격하는 제7기동군단의 임무에 맞게 1994년 1일 1일에 제7강습대대로 창설되었다. 2019년 12월 1일에 2개 대대인 제1, 2강습대대로 분리되었다.

2. 상세

제7기동군단 소속. 통칭 독수리부대.

헬리본 공중강습부대이다. 또 다른 주 임무로는 국군교도소 탈옥수 추적 임무가 있다.[1]

경례구호 제7기동군단 및 직할부대와 같이 “ 북진” 이다

UH-60, KUH-1, CH-47를 이용한 공중강습을 통해 기계화사단의 진격로를 확보하는 기동보병의 임무에 특화되어 있다. 말 그대로 2차 한국전쟁이 발발하면 같은 제7기동군단 직할대인 제2신속대응사단과 같이 먼저 북한으로 침투해 임무를 수행한다는 소리이다. 이를 이용한 다른 주 임무 중 하나가 국군교도소 탈옥수 추적임무다. 제7강습대대의 경우 군기가 빡센 편으로 그 영향 덕분인지 낭설이 있다. 실상은 7군단이 기계화군단으로 재편됨에 따라 타군단과는 차별화 된, 현대화 된 기동군단의 임무에 맞게 기동성을 살린 헬기강습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특공부대의 창설이 요구되었고, 그에 따라 기존의 707특공공정연대 중 1대대만 소규모 정예로 강습대대로 개편된 것이다. 그래서인지 주로 7군단 사령부 실무장교 중 보병/정보 병과 소령이 중령으로 진급한 인원 중에서(주로 군단 작전장교) 이 대대의 대대장으로 많이 내려온다.

3. 편제

  • 제1강습대대
    • 본부중대(사자)
    • 전투지원중대(흑룡)
    • 1중대(폭풍)
    • 2중대(표범)
  • 제2강습대대

4. 출신인물

4.1. 대대장

볼드체 대장 진급이 된 대대장.
역대 제1, 2강습대대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 중령 대대장

4.2. 장교/부사관

4.3.

5. 기타

5.1. 근무환경


5.2. 부대가

호국의 일편단심을 그 누가 막으랴
우리는 북진한다 적진을 향해
사랑하는 부모형제 지키기 위해
오늘도 독수리는 어둠을 난다
아아아 사랑으로 뭉친 강습대대
아아아 천하무적 공중강습대대
영원하라 북진! (북진) 선봉! (선봉)
무적 7강습


[1] 주둔지 담당 경찰서인 경기남부도경 경찰기동대나 형사과 및 강력범죄수사대 또는 도경 예하 이천경찰서 형사과/지구대/파출소도 공조한다.